국어 -분석 분류 생성 문장의 분석- 김기현

 1  국어 -분석 분류 생성 문장의 분석- 김기현-1
 2  국어 -분석 분류 생성 문장의 분석- 김기현-2
 3  국어 -분석 분류 생성 문장의 분석- 김기현-3
 4  국어 -분석 분류 생성 문장의 분석- 김기현-4
 5  국어 -분석 분류 생성 문장의 분석- 김기현-5
 6  국어 -분석 분류 생성 문장의 분석- 김기현-6
 7  국어 -분석 분류 생성 문장의 분석- 김기현-7
 8  국어 -분석 분류 생성 문장의 분석- 김기현-8
 9  국어 -분석 분류 생성 문장의 분석- 김기현-9
 10  국어 -분석 분류 생성 문장의 분석- 김기현-10
 11  국어 -분석 분류 생성 문장의 분석- 김기현-11
 12  국어 -분석 분류 생성 문장의 분석- 김기현-12
 13  국어 -분석 분류 생성 문장의 분석- 김기현-13
 14  국어 -분석 분류 생성 문장의 분석- 김기현-14
 15  국어 -분석 분류 생성 문장의 분석- 김기현-15
 16  국어 -분석 분류 생성 문장의 분석- 김기현-16
 17  국어 -분석 분류 생성 문장의 분석- 김기현-17
 18  국어 -분석 분류 생성 문장의 분석- 김기현-18
 19  국어 -분석 분류 생성 문장의 분석- 김기현-19
 20  국어 -분석 분류 생성 문장의 분석- 김기현-20
※ 미리보기 이미지는 최대 20페이지까지만 지원합니다.
  • 분야
  • 등록일
  • 페이지/형식
  • 구매가격
  • 적립금
자료 다운로드  네이버 로그인
소개글
국어 -분석 분류 생성 문장의 분석- 김기현에 대한 자료입니다.
본문내용
국어 -분석 분류 생성-
김기현 지음
목차
1. 안간과 언어
1.1. 언어는 애 연구하는가? / 4
1.2. 언어 연구의 대상과 대상화 / 5
1.3. 언어(국어)를 어떻게 연구할 것인가 /5
2.1 문장의 분석 / 6
2.1.1. 언어 연구의 중심 대상으로서 문장 / 6
2.1.2. 문장의 구조와 분석 / 7
2.1.3. 논항과 격 /11
2.2. 단어의 분석 / 13
2.2.1. 단어의 구조와 유형 / 13
2.2.2. 합성어 / 14
2.2.3. 파생어 / 16
2.3 형태소 분석 / 17
2.3.1. 형태소 분석의 한계 / 17
2.3.2. 형태소와 대표형태 / 17
2.3.3. 조사와 어미 / 18
2.4. 의미 분석 / 19
2.4.1. 단어의 의미 / 19
2.4.2. 문장의 의미 / 21
2.5. 소리의 분석 / 22
2.5.1. 말의 소리 / 22
2.5.2. 소리와 글자 / 23
분류
3.1. 단어의 분류 / 24
3.1.1. 품사 / 24
3.2. 어휘 형태와 문법 형태 / 25
3.2.1. 체언과 조사 / 25
3.2.2. 용언과 어미 / 26
3.3. 어미의 문법 범주와 문법 현상 / 28
3.3.1. 높임 / 28
3.3.2. 시간 / 28
3.4. 문장 성분 / 29
3.4.1. 주어 / 29
3.4.2. 목적어 / 30
3.4.3. 보어 / 30
3.4.4. 관형어 / 31
3.4.5. 부사어 / 31
3.4.6. 독립어 / 31
3.5. 서술어 / 31
3.5.1. 서술어의 분류 / 32
3.5.2. 서술어의 문법 범주 /32
4. 생성
4.1. 습득 언어의 생성 / 32
4.1.1. 문장의 생성 / 32
4.1.2. 단어의 생성 / 33
4.2. 언어의 습득과 생성 / 33
참고문헌 / 34
1. 인간과 언어
1.1. 언어는 왜 연구하는가?
국어학은 우리의 언어인 국어를 연구하는 학문이다. 우리는 왜 국어를 연구하고, 국어는 연구할 만한 가치가 있는 것인가? 이 문제에 대한 근본적인 의식 없이 국어학을 시작할 수 없다.
국어를 이해하고 연구하는 것은 인간을 바르게 이해하기 위한 것이다. 언어는 왜 연구하는가? 이에 대한 가장 분명한 대답은 언어는 인간을 알기에 가장 구체적이고 분명한 대상이기 때문이다. 사람은 자기 자신, 즉 인간의 본질에 대해 의문하고 그 대답을 얻기를 바란다. 이 대답을 가장 잘 제시하여 줄 수 있는 것이 언어라고 보기 때문에 사람들은 언어에 대해 관심을 갖고 언어를 연구한다.
언어와 사고가 밀접한 관계를 이루고 있음을 부인하는 사람은 없다. 사고가 언어에 의하여 이루어진다는 점에 대해서도 대부분 긍정적인 견해를 가지고 있다. 언어가 없다고 사고 자체가 불가능한 것은 아니지만 이 단계의 생각이나 느낌은 구조적이며 논리적이지 못하다. 우리가 언어를 습득한 후에 우리의 사고는 언어에 의해 구조적 논리적으로 된다. 그래서 언어가 없으면 사고도 없다는 주장이 가능해진다. 언어와 사고가 밀접한 관계를 가지고 있는 점은 우리가 언어를 연구하는 가장 큰 이유이다. 언어를 통해 우리의 생각을 탐구할 수 있기 때문이다.
언어를 인간만이 가진 특징으로 보는 것은 다른 동물들은 언어가 없다는 견해에 근거한다. 언어를 오직 의사 전달의 도구로 보면 동물들은 언어가 없다고 할 수 없다. 그러나 언어는 단순히 의사소통의 수단만은 아니다. 언어는 의사소통의 체계적 수단이라기보다 인간의 사고 그 자체라는 점에서 이해되어야 한다.
언어가 동물의 의사소통 수단과 구별되는 점은 동물의 의사소통은 자극적이며 유한함에 비해 인간의 언어는 자발적이며 무한한 것이다. 인간의 언어는 유한한 단어를 가지고 무한한 문장을 만들어 내는 점에서 무한적 창조성을 가지고 있다. 이 창조성은 언어가 분질되기 때문에 이루어지는 것이다.
이처럼 언어는 인간 탐구에 가장 중요한 대상이다. 언어는 인간의 다른 특성과는 달리 인간의 거의 모든 정신 활동 또는 인지 활동에 깊숙이 관련되어 있다. 인간이 사유를 위하여 언어를 사용한다는 점에서 인간의 본질에 대한 이해와 더불어 인간의 정신 문화의 향유를 위한 도구로서의 언어도 중요하다. 인간은 존재 단위의 측면에서 개인으로서의 인간과 사회적 구성으로서의 인류로 나누어 생각할 수 있다. 언어는 개인의 존재를 사회적 존재인 인류로 엮어 주는데 중요한 구실을 한다.
언어를 연구하는 목적을 순수하게 진리를 탐구하려는 것과 이 연구를 통하여 다른 실용적인 이익을 얻으려는 목적으로 나누어 볼 수 있다. 언어 연구의 실용성은 언어 연구가 인간의 생활에 어떠한 이로움을 줄 수 있는가의 문제이다. 언어 사용은 모든 인간에게 필수적이기 때문에 공통적이며 공감적인 언어 사용이 요구된다. 이런 점에서 언어의 교육, 언어의 규범화의 측면에서 언어 연구가 실용적인 가치를 가질 수 있었다. 맞춤법이나 표준어의 통일, 규범의 정리 등의 연구는 이란 점에서 실용적 효과를 거두고 있다.
현대의 정보화 사회에서는 언어의 실용적인 쓰임이 더 부각된다. 컴퓨터와 관련된 기계번역이나, 인공지능, 자연언어처리, 등은 언어 연구의 실용적인 가치를 높인다. 현대 사회에서 중심적인 역할을 차지하고 있는 컴퓨터도 운영 체계 자체가 인공적이기는 하나 언어를 바탕으로 하고 있다.
1.2. 언어 연구의 대상과 대상화
언어학의 대상인 언어 활동에는 심리적, 생리적, 사회적 여러 가지 요소가 혼합되어 있고 또한 무한히 변이한다. 이처럼 걷잡을 수 없는 무한한 현상을 그대로 언어학의 대상으로 삼기는 어렵다. 그러므로 혼돈된 현상 가운데서 어떠 본질적인 것을 규정하여 언어학의 대상으로 삼을 수 밖에 없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