고산 가집의 간행과정과 사_판본의 특징

 1  고산 가집의 간행과정과 사_판본의 특징-1
 2  고산 가집의 간행과정과 사_판본의 특징-2
 3  고산 가집의 간행과정과 사_판본의 특징-3
 4  고산 가집의 간행과정과 사_판본의 특징-4
 5  고산 가집의 간행과정과 사_판본의 특징-5
 6  고산 가집의 간행과정과 사_판본의 특징-6
 7  고산 가집의 간행과정과 사_판본의 특징-7
※ 미리보기 이미지는 최대 20페이지까지만 지원합니다.
  • 분야
  • 등록일
  • 페이지/형식
  • 구매가격
  • 적립금
자료 다운로드  네이버 로그인
소개글
고산 가집의 간행과정과 사_판본의 특징에 대한 자료입니다.
본문내용
고산 가집의 간행과정과 사판본의 특징
- 목 차 -
Ⅰ. 머리말
Ⅱ. 고산 가집의 간행 과정
Ⅲ. 고산 가집의 사본 및 판본의 특징
Ⅳ. 맺음말
Ⅰ. 머리말
고산 윤선도(1587-1671)는 우리 시가사에 있어서 탁월한 조어와 우수한 형상성을 확보한 걸출한 작품을 지은 작가로 평가되어 왔다. 특히漁父四時詞를 비롯한 일군의 시조 작품에서 보여 준 뛰어난 문학적 성취는, 그를 송강 정철(1536-1593)과 함께 한국 고전 시가 사상 최고의 작가로 평가하는 데에 이견이 없게 하였다. 지금까지 윤선도에 관한 연구는 그가 창작한 시조 및 한시, 산문 작품, 혹은 작품에 나타난 자연관에 이르기까지 다양하게 이루어져왔다. 그러나 지금까지의 연구 대부분이 작가론이나 작품론, 또는 작가와 작품의 관계에만 관심을 집중시켜왔다는 데 한계가 있다. 특히 고산 가집의 간행경위나 판본 및 책판에 대한 연구는 연구 초기에 단편적으로 언급되었을 뿐이다. 김문기와 홍재휴에 의해 고산 가집의 寫本과 板本에 대한 특징적 면모와 간행 경위 등이 대체적으로 밝혀진 이후로는 현재 여기에 주목하여 연구를 진행하고 있지는 않다.
고전문학의 연구는 原典에 대한 정확한 고증과 비판으로부터 시작하여야 한다. 따라서 고전문학 작품의 판본에 대한 연구는 작품의 정확한 연구를 위해 매우 필요한 작업이다. 윤선도의 문학 연구에 있어서도 개별 작품을 살펴보기에 앞서 서지학적 접근을 통한 가집의 간행경위와 판본에 대한 이해가 필요한 것은 이 때문이다.
현재 고산 가집은 寫本과 板本이 전하고 있다. 사본은 『山中新曲』, 『金鎖洞集古』, 『金鎖洞記』, 『漁父詞』를 들 수 있고, 판본은 목판본 『孤山遺稿』가 있다. 본고는 고산 가집을 서지학적 접근을 통해 살핀 기존의 연구 성과 고산 가집을 서지학적 접근을 통해 부분적 혹은 전체적으로 살펴본 연구는 다음과 같다.
이재수, 『尹孤山硏究』, 학우사, 1955.
최진원, 『孤山遺稿 解題』, 성균관대학교 대동문화연구원, 1961.
박성의, 『松江·蘆溪·孤山의 詩歌文學』, 현암사, 1966.
김문기, 松江·蘆溪·孤山의 歌集 板本 및 冊板 硏究, 『국어교육연구』21, 국어교육학회, 1989.
홍재휴, 『尹孤山 詩硏究』, 새문사, 1991.
본고에서는 이 가운데 김문기(1989)와 홍재휴(1991)의 연구를 참조하여 요약하여 서술하였음을 밝혀둔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