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 문학 - 경기체가 - 작품연구 - 형성 - 연행방식

 1  한국 문학 - 경기체가 - 작품연구 - 형성 - 연행방식-1
 2  한국 문학 - 경기체가 - 작품연구 - 형성 - 연행방식-2
 3  한국 문학 - 경기체가 - 작품연구 - 형성 - 연행방식-3
 4  한국 문학 - 경기체가 - 작품연구 - 형성 - 연행방식-4
 5  한국 문학 - 경기체가 - 작품연구 - 형성 - 연행방식-5
 6  한국 문학 - 경기체가 - 작품연구 - 형성 - 연행방식-6
 7  한국 문학 - 경기체가 - 작품연구 - 형성 - 연행방식-7
 8  한국 문학 - 경기체가 - 작품연구 - 형성 - 연행방식-8
 9  한국 문학 - 경기체가 - 작품연구 - 형성 - 연행방식-9
 10  한국 문학 - 경기체가 - 작품연구 - 형성 - 연행방식-10
 11  한국 문학 - 경기체가 - 작품연구 - 형성 - 연행방식-11
 12  한국 문학 - 경기체가 - 작품연구 - 형성 - 연행방식-12
 13  한국 문학 - 경기체가 - 작품연구 - 형성 - 연행방식-13
 14  한국 문학 - 경기체가 - 작품연구 - 형성 - 연행방식-14
 15  한국 문학 - 경기체가 - 작품연구 - 형성 - 연행방식-15
 16  한국 문학 - 경기체가 - 작품연구 - 형성 - 연행방식-16
 17  한국 문학 - 경기체가 - 작품연구 - 형성 - 연행방식-17
 18  한국 문학 - 경기체가 - 작품연구 - 형성 - 연행방식-18
 19  한국 문학 - 경기체가 - 작품연구 - 형성 - 연행방식-19
 20  한국 문학 - 경기체가 - 작품연구 - 형성 - 연행방식-20
※ 미리보기 이미지는 최대 20페이지까지만 지원합니다.
  • 분야
  • 등록일
  • 페이지/형식
  • 구매가격
  • 적립금
자료 다운로드  네이버 로그인
소개글
한국 문학 - 경기체가 - 작품연구 - 형성 - 연행방식에 대한 자료입니다.
본문내용
경기체가
목 차
경기체가(景幾體歌)
景幾體歌 硏究
1. 연구사 및 연구 과제
2. 경기체가의 형성
3. 경기체가의 연행 방식
작품 연구 --------------------------57
가성덕(假聖德)---------------------------57
관동별곡(關東別曲)------------------------ 58
금성별곡(錦城別曲)------------------------ 62
기우목동가 (騎牛牧童歌)--------------------- 65
도동곡(道東曲)---------------------------69
독락팔곡(獨樂八曲)------------------------ 71
미타찬(彌陀讚) ------------------------- 77
불우헌곡(不憂軒曲)------------------------ 80
상대별곡(霜臺別曲)------------------------ 83
서방가(西方歌)---------------------------88
안양찬(安養讚)---------------------------92
엄연곡(儼然曲)---------------------------96
연형제곡(宴兄弟曲)------------------------ 99
오륜가(五倫歌)-------------------------- 101
육현가 (六賢歌)--------------------------103
죽계별곡(竹溪別曲) ----------------------- 104
태평곡(太平曲)-------------------------- 115
한림 별곡(翰林別曲)----------------------- 116
화산별곡(華山別曲)------------------------127
화전별곡(花田別曲)------------------------131
경기체가(景幾體歌)
◎ 요점 정리
○ 정의 : 고려 고종 때 발생하여 조선 선조 때까지 약 350년간 이어진 별곡체 형태의 시가를 이른다. 그 최초의 작품은 한림학사들이 지은 한림별곡(翰林別曲)이다.
○ 형성 : 고려 중엽에 무신들이 정권을 잡게 되자, 여기에서 패배한 문신들은 재야에 묻혀서 시와 술로써 자신들의 감정을 토로했는데 이로부터 발생됨.
○ 발생 동기 : 귀족들의 특권 의식과 유흥적이고, 향락적인 생활에서 나왔으며, 문신들의 풍류 생활에서 나왔다는 의견과 지나치게 융성하게 된 한문학에 대한 반동으로 나왔다는 견해가 있다.
○ 형식 : 분절체, 연장체, 3음보로 되어 있다. 기본 형식은 고려 속요와 같은 연시이며, 기본율은 3·3·4조이다. 형식은 대체로 기본형· 변격형· 파격형으로 나눌 수 있고, 여러 장이 연속되는 장가 형식으로 되어 있다.
○ 명칭 : 노래 말미에 반드시 경긔 엇더하니잇고 또는 경기하여라는 구를 붙이기 때문에 경기체가 또는 경기하여가라고도 하며, 제목에 별곡이라는 말이 붙어 있어, 속요의 청산별곡 등과 구별하기 위해 별곡체라고도 한다.
○ 특징 : 고려 고종 때부터 조선 선조 때까지 존속한 문학이다. 한학자들의 파한(破閑)에서 발생한 과도기적 시가이다. 한문구를 나열하였으며, 부분적으로 이두를 사용했다. 내용은 퇴폐적, 고답적, 현실도피적이다. 일부 작품은 신진 사류들의 의욕적인 기개와 의식 세계를 나타내고 있다.
◎ 내용 연구
○ 개관
고려 중엽 이후에 발생한 장가(長歌). 또 ‘경기하여가(景幾何如歌)’라고도 한다. 노래 말미에 반드시 “경(景) 긔 엇더니잇고” 또는 “景幾何如”라는 구(句)를 붙이기 때문에 붙은 이름이다. 고려 중엽 이후로부터 조선 초기에 걸쳐 주로 한학자들에 의하여 읊어졌는데, 고려시대의 것으로는 고종 때의 제유(諸儒)의 작으로 알려진 《한림별곡(翰林別曲)》과 고려 말의 안축(安軸)이 지은 《관동별곡(關東別曲)》 《죽계별곡(竹溪別曲)》 등이 있으며, 조선시대의 것으로는 권근(權近)의 《상대별곡(霜臺別曲)》, 변계량(卞季良)의 《화산별곡(華山別曲)》, 정극인(丁克仁)의 《불우헌곡(不憂軒曲)》과 작자 미상의 《오륜가(五倫歌)》 《유림가(儒林歌)》 《연형제곡(宴兄弟曲)》, 이 밖에도 김구(金絿)의 《화전별곡(花田別曲)》, 권호문(權好文)의 《독락곡(獨樂曲)》 등이 있다.
처음 발생시에는 무신들에 의하여 초야로 쫓겨난 문신들이 향락적·유흥적인 생활과 그들 심상(心像)을 읊었는데, 조선시대에 와서는 그 형식을 본떠 조선 건국을 칭송하는 내용을 담기도 하였다. 훈민정음이 창제된 후에는 한글을 약간 섞어 짓기도 하였으나, 그 이전에는 한학자들이 순전히 한문으로 지었다. 따라서 일반대중과는 유리된 일종의 기형적인 문학이라는 평을 받았다. 이와 같은 점에서 《청산별곡(靑山別曲)》 《가시리》 등 고려의 속요와 대조를 이룬다. 이들 속요는 일반대중 가운데에서 발달하여 구전되었기 때문에 보통 그 작자를 알 수 없으나 경기체가는 한학자라는 특수층이 한자만으로 지었기 때문에 대개 작자가 알려져 있다. 내용에 있어서도 경기체가는 사물이나 경치를 나열·서술하는 것이 특징인 데 대하여, 속요는 사랑의 노래가 흔하며 사랑도 육감적이고 노골적으로 표현된 경우가 많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