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고전문학연구] 조선 시대 기녀 시조 분석과 의의 재평가

 1  [고전문학연구] 조선 시대 기녀 시조 분석과 의의 재평가-1
 2  [고전문학연구] 조선 시대 기녀 시조 분석과 의의 재평가-2
 3  [고전문학연구] 조선 시대 기녀 시조 분석과 의의 재평가-3
 4  [고전문학연구] 조선 시대 기녀 시조 분석과 의의 재평가-4
 5  [고전문학연구] 조선 시대 기녀 시조 분석과 의의 재평가-5
 6  [고전문학연구] 조선 시대 기녀 시조 분석과 의의 재평가-6
 7  [고전문학연구] 조선 시대 기녀 시조 분석과 의의 재평가-7
 8  [고전문학연구] 조선 시대 기녀 시조 분석과 의의 재평가-8
 9  [고전문학연구] 조선 시대 기녀 시조 분석과 의의 재평가-9
 10  [고전문학연구] 조선 시대 기녀 시조 분석과 의의 재평가-10
 11  [고전문학연구] 조선 시대 기녀 시조 분석과 의의 재평가-11
 12  [고전문학연구] 조선 시대 기녀 시조 분석과 의의 재평가-12
 13  [고전문학연구] 조선 시대 기녀 시조 분석과 의의 재평가-13
 14  [고전문학연구] 조선 시대 기녀 시조 분석과 의의 재평가-14
 15  [고전문학연구] 조선 시대 기녀 시조 분석과 의의 재평가-15
 16  [고전문학연구] 조선 시대 기녀 시조 분석과 의의 재평가-16
 17  [고전문학연구] 조선 시대 기녀 시조 분석과 의의 재평가-17
※ 미리보기 이미지는 최대 20페이지까지만 지원합니다.
  • 분야
  • 등록일
  • 페이지/형식
  • 구매가격
  • 적립금
자료 다운로드  네이버 로그인
소개글
[고전문학연구] 조선 시대 기녀 시조 분석과 의의 재평가에 대한 자료입니다.
본문내용
조선 시대 기녀 시조
분석과 의의 재평가
목차
Ⅰ. 서론
1-1 연구 목적
1-2 연구 방법
Ⅱ. 본론
2-1 조선 시대 시조의 모습
2-2 기녀시조의 등장
ⅰ) 조선시대 기녀의 생활상
ⅱ) 기녀의 사회적 기능
ⅲ) 기녀시가의 창작 배경
2-3 기녀시조의 문학적 특징
ⅰ) 주제적 측면
ⅱ) 소재적 측면
ⅲ) 표현적 특징
Ⅲ. 결론
3-1 정리
3-2 기녀시조의 문학적 의의 재평가
Ⅳ. 참고문헌
Ⅰ. 서론
1-1 연구 목적
우리 문학사에서 시조의 역사는 고려 말부터 시작되어, 조선시대에 꽃을 피웠다고 볼 수 있다. 시조는 3장의 짧은 형태 속에 작자가 노래하고 싶은 내용을 압축해야하기 때문에 운율감과 정제미를 느낄 수 있다. 시조가 조선의 풍토와 조선인의 성정이 음조를 빌어 그 와동의 일형상을 구현한 것 최남선, 「조선국민문학으로서의 시조」, 『조선문단』 6호, 1926, 4쪽
이라고 볼 때, 시조가 조선시대를 대표하는 문학이라는 것은 익히 알 수 있는 사실이다. 시가문학은 고대부터 있어 왔으나, 남아 있는 자료로 보나 작품 수로 보나 시조를 따를 만한 것이 없어 보인다. 많은 수의 작품과 작자가 있기에 주제도 또한 다른 시가작품에 비해 다양하다. 이처럼 시조가 가지는 문학성은 뛰어나지만 작자 층의 폭이 넓지는 않은데, 이는 조선시대에는 여성에게 순종과 유교적인 규범만을 요구했을 뿐, 인간의 기본 감정을 쉽게 노출하거나 여성이 적극적인 사회 활동을 하도록 허락되는 사회가 아니었기 때문이라 생각된다. 여성의 역할이 극히 제한적이며 소극적일 수밖에 없는 사회였다는 점과 시조가 주고받는 가창 중심의 문학이었으므로, 규방의 여인들은 감히 개방적인 시조 놀음을 할 수 없었기 때문에 김명희, 「기녀문학의 특질」, 『시조학논총』 제9집, 1993, 105~106쪽 참고
, 일반 여성들은 시조문학 전반에 뚜렷한 업적을 남길 수 없었던 것이다. 따라서 양반 사대부가의 여성들은 문자를향유하고 있었으나 시조를 짓지는 않았으며 남성들만의 전유물처럼 여겨질 정도였다. 이는 이황의 『규중 요람』 가운데 “여자는 역대 국호와 선대 조상의 이름자를 알면 족하다. 문필의 공교함과 시사를 아는 것은 창기의 본색이니, 사대부 집안에서 취할 바가 아니다.” 이황(전), 『규중 요람』, (필사본), 국립중앙도서관장, 「부의편」, 4쪽
라는 문장을 통해서도 느낄 수 있다.
이와 같이 일반 부녀자의 문학 활동에는 많은 제약을 가하였음에도 기녀에게는 문학 활동의 참여가 허용된 것은 기녀들의 특수한 신분적 조건 때문이다.
기녀는 여러 명의 남성들을 상대해야 했는데, 남성들과의 자유롭고 폭넓은 교제를 위해서는 성적인 서비스와 정신적인 교감이 동시에 이루어져야 했다. 곧, 사대부 남성의 언어와 사고방식, 생활양식에 동참할 수 있어야 하며, 사대부 남성의 탐미적 욕구 또한 만족시켜 주어야 했다.
조선중기 이러한 요구에 부응하기 위하여 일반 여성에게는 금지되었던 시, 서, 가무 등을 교육받을 수 있는 기회를 부여했으며, 사대부의 시문학을 익히고 나아가 기녀 특유의 시문학을 형성하게 되었다. 이처럼 기녀는 신분적으로는 최하층에 속해 있으면서 직업적으로는 상류층의 문화적 보조자라는 역할을 했던 독특한 존재였다. 즉 본질적으로는 사대부 계층의 이념을 공유할 수 없는 계층이지만 현실적으로는 사대부 문화에 동참해야 하는 입장이었던 것이다. 류인숙, 「기녀시가의 의식세계 연구」, 세명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쪽 참고
이렇게 기녀들이 창작한 시조가 전하고 조선시대 기녀들이 시조를 창작할 수 있었던 것은 당시의 시대상, 기녀의 신분적 특성과 관련지어 설명할 수 있다. 기녀문학은 신분상으로 하층에 속하는 기녀들에 의한 것이지만, 시조 문학적 위치에서는 여성작자들의 출현이라는 점에서 의의가 크다고 할 수 있다. 기녀들은 시조를 통하여 독특하고 솔직한 표현을 하며, 언어의 유희를 즐길 줄 알았다. 물론 전체적으로 시조의 진정한 맛을 느끼게 해주는 점, 순수한 우리말을 잘 살려 표현한 점, 여성으로서 우리 문학사에 기여한 점 등은 주목할 만하다.
그러나 기녀시조는 사대부시조에 비해 그 가치가 높게 평가되지 않고 있다. 그것은 작품 수가 사대부시조에 비해 현저히 적고, 문헌상에서도 제대로 정립되지 않고 소홀히 다루어진 점 때문에 생긴 결과로 보인다. 박순, 「기녀시조의 문학적 특성 연구」, 동의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쪽 참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