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화의 대항해와 동서문화교류 대항해 추진 배경 대항해 교류 내용 정화 대항해 과정과 교류방식

 1  정화의 대항해와 동서문화교류 대항해 추진 배경 대항해 교류 내용 정화 대항해 과정과 교류방식-1
 2  정화의 대항해와 동서문화교류 대항해 추진 배경 대항해 교류 내용 정화 대항해 과정과 교류방식-2
 3  정화의 대항해와 동서문화교류 대항해 추진 배경 대항해 교류 내용 정화 대항해 과정과 교류방식-3
 4  정화의 대항해와 동서문화교류 대항해 추진 배경 대항해 교류 내용 정화 대항해 과정과 교류방식-4
 5  정화의 대항해와 동서문화교류 대항해 추진 배경 대항해 교류 내용 정화 대항해 과정과 교류방식-5
 6  정화의 대항해와 동서문화교류 대항해 추진 배경 대항해 교류 내용 정화 대항해 과정과 교류방식-6
 7  정화의 대항해와 동서문화교류 대항해 추진 배경 대항해 교류 내용 정화 대항해 과정과 교류방식-7
 8  정화의 대항해와 동서문화교류 대항해 추진 배경 대항해 교류 내용 정화 대항해 과정과 교류방식-8
 9  정화의 대항해와 동서문화교류 대항해 추진 배경 대항해 교류 내용 정화 대항해 과정과 교류방식-9
 10  정화의 대항해와 동서문화교류 대항해 추진 배경 대항해 교류 내용 정화 대항해 과정과 교류방식-10
 11  정화의 대항해와 동서문화교류 대항해 추진 배경 대항해 교류 내용 정화 대항해 과정과 교류방식-11
 12  정화의 대항해와 동서문화교류 대항해 추진 배경 대항해 교류 내용 정화 대항해 과정과 교류방식-12
 13  정화의 대항해와 동서문화교류 대항해 추진 배경 대항해 교류 내용 정화 대항해 과정과 교류방식-13
 14  정화의 대항해와 동서문화교류 대항해 추진 배경 대항해 교류 내용 정화 대항해 과정과 교류방식-14
 15  정화의 대항해와 동서문화교류 대항해 추진 배경 대항해 교류 내용 정화 대항해 과정과 교류방식-15
 16  정화의 대항해와 동서문화교류 대항해 추진 배경 대항해 교류 내용 정화 대항해 과정과 교류방식-16
 17  정화의 대항해와 동서문화교류 대항해 추진 배경 대항해 교류 내용 정화 대항해 과정과 교류방식-17
 18  정화의 대항해와 동서문화교류 대항해 추진 배경 대항해 교류 내용 정화 대항해 과정과 교류방식-18
 19  정화의 대항해와 동서문화교류 대항해 추진 배경 대항해 교류 내용 정화 대항해 과정과 교류방식-19
 20  정화의 대항해와 동서문화교류 대항해 추진 배경 대항해 교류 내용 정화 대항해 과정과 교류방식-20
※ 미리보기 이미지는 최대 20페이지까지만 지원합니다.
  • 분야
  • 등록일
  • 페이지/형식
  • 구매가격
  • 적립금
자료 다운로드  네이버 로그인
소개글
정화의 대항해와 동서문화교류 대항해 추진 배경 대항해 교류 내용 정화 대항해 과정과 교류방식에 대한 자료입니다.
본문내용
정화의 대항해와 동서문화교류
목 차
Ⅰ. 서론
Ⅱ. 대항해의 추진 배경
1. 정치·경제적 배경 : 정화의 항해욕구와 영락제의 ‘대항해’ 기획
① 항해사 마삼보(정화)
② 정치·경제적 배경
2. 기술적 배경 : 명(明)제국 조선술의 완숙
① 정크선과 명의 조선기술
② 정화의 함대
Ⅲ. 대항해의 교류 내용
1. 정화의 대항해 과정과 교류방식 : ‘문화적 네트워크’의 구축
① 정화의 항해 과정
② 정화의 항해대의 교류방식
2. 정화의 대항해 속 세부 교류내용 : ‘충돌’이 아닌 ‘공생’
① 정화의 대항해의 지역별 주요 교역품
② 종교적 교류
③ 인적 교류
④ 경제적 교류
⑤ 문화적 교류
Ⅳ. 대항해의 결과
1. 정화의 대항해가 가지는 의의 : ‘대항해시대’ 이전의 ‘대(大)교류’
2. 정화의 대항해가 끼친 영향 : ‘상호공생 네트워크’의 실현
Ⅴ. 결론
Ⅵ. 참고문헌
Ⅰ. 서론
21세기 들어 전 세계는 경계가 없는 정보, 문화, 자본의 흐름 속에서 하나로 급속히 통합되고 있다. 정보, 문화, 자본을 독점한 국가는 중심부로 도약하게 되고 이러한 흐름에 뒤쳐진 국가는 주변부로 떨어지게 된다. 이러한 극명한 국가 간의 명암 속에서 해결책은 문화의 끊임없는 교류를 통한 새로운 문화의 창출이다. 그리고 이를 보다 쉽게 달성하기 위해서는 과거의 비슷한 사례들을 살펴볼 필요가 있다. 그 중에서 우리가 주목할 것은 정화(鄭和)의 대항해이다.
정화의 대항해는 영락(永樂) 3년(1405년) 정화(鄭和)와 왕경홍(王景弘)이 황제의 칙명을 받들어 중국 남양과 인도양 및 홍해와 페르시아 만 일대로 장거리 항해를 한 것에서 시작한다. 미야자키 마사카쓰, 이규조 역, 『정화의 남해대원정』, 도서출판 일빛, 1999, p.155
이후 7차례에 걸친 정화의 대항해를 중국 역사학계에서는 당시 인도양이 중국의 서쪽에 있었기 때문에 이를 ‘정화의 하서양(下西洋) 여기에서 서양은 중국을 중심으로 했을 때 서쪽에 있는 지역을 말한다. 중국에서 동, 서양의 구분은 원나라 시기 형성되었는데 당시 말라카 해협과 수마트라 섬의 람부리를 경계로 그 동쪽은 동양 그 서쪽 인도양 지역을 서양이라고 칭하였다.
’이라고 부른다, 정수일, 『씰크로드학』, 창작과 비평사, 2001, p.429
이하 보고서에서의 명칭은 ‘정화의 대항해’로 통일함.
정화의 대항해에 대한 연구는 20세기 초부터 꾸준히 이루어져 왔다. 1900년대 초기에는 정화 개인에 대한 파악과 항해활동의 경과에 대한 연구가 주를 이루었으나 문헌자료와 기타 방면의 제한을 받아 깊이 있는 연구는 이루어지지 못하였다. 1930년대 중반부터 새로운 사료가 발견되어 정화 원정의 목적, 특성, 항해기술, 보선에 대한 연구가 활발히 이루어졌다. 1950년대부터는 연구주제가 확대되어 정화 원정과 아시아, 아프리카 및 대만관계에 대한 연구가 진행되었다. 1980년대부터는 중국 정부가 정화 항해의 중요성을 인식해 정화연구에 대해 대대적으로 지원하였다. 이후 전문 학술기구를 설립하여 기념학술대회를 열고 지속적인 학술교류활동을 하고 있다. 최운봉, 「정화 연구의 동향과 연구논저」, 『중국의 대항해자 정화의 배와 항해』, 심산, 2005, pp. 440-450
그러나 이러한 연구 성과에도 불구하고 정화의 대항해가 가진 목적성에 대한 연구는 미비한 편이다. 정수일, 앞의 책, p.169
당시 정화의 항해대는 그 규모가 방대했다. 매번 출항할 때 마다 백 척이 넘는 배들과 2만 명나라가 넘는 인원들, 그리고 대량의 물자들을 적재했다. 신원구, 「정화의 하서양」, 『중국의 대원정자 정화의 배와 항해』, 심산, 2005, p.22
그렇기 때문에 이는 당시 명나라 정부에게는 재정적 부담이 되었고 적자로 이어졌다. 신원구, 위의 글, p. 4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