교육학 초등학교 국어 새 교과서의 좋은 읽기 제재 선정 1학년 2학년

 1  교육학 초등학교 국어 새 교과서의 좋은 읽기 제재 선정 1학년 2학년-1
 2  교육학 초등학교 국어 새 교과서의 좋은 읽기 제재 선정 1학년 2학년-2
 3  교육학 초등학교 국어 새 교과서의 좋은 읽기 제재 선정 1학년 2학년-3
 4  교육학 초등학교 국어 새 교과서의 좋은 읽기 제재 선정 1학년 2학년-4
 5  교육학 초등학교 국어 새 교과서의 좋은 읽기 제재 선정 1학년 2학년-5
 6  교육학 초등학교 국어 새 교과서의 좋은 읽기 제재 선정 1학년 2학년-6
 7  교육학 초등학교 국어 새 교과서의 좋은 읽기 제재 선정 1학년 2학년-7
 8  교육학 초등학교 국어 새 교과서의 좋은 읽기 제재 선정 1학년 2학년-8
 9  교육학 초등학교 국어 새 교과서의 좋은 읽기 제재 선정 1학년 2학년-9
 10  교육학 초등학교 국어 새 교과서의 좋은 읽기 제재 선정 1학년 2학년-10
 11  교육학 초등학교 국어 새 교과서의 좋은 읽기 제재 선정 1학년 2학년-11
 12  교육학 초등학교 국어 새 교과서의 좋은 읽기 제재 선정 1학년 2학년-12
※ 미리보기 이미지는 최대 20페이지까지만 지원합니다.
  • 분야
  • 등록일
  • 페이지/형식
  • 구매가격
  • 적립금
자료 다운로드  네이버 로그인
소개글
교육학 초등학교 국어 새 교과서의 좋은 읽기 제재 선정 1학년 2학년에 대한 자료입니다.
본문내용
차례
1. 보고서를 시작하며
2. 읽기 교육의 이론적 배경
(1) 행동주의적 관점
(2) 형태심리학적 관점
(3) 인지심리학
3. 읽기의 이론적 고찰
(1) 읽기의 본질
(2) 읽기의 과정
4. 읽기의 이론적인 측면을 고려한 좋은 제재의 선정 기준
(1) 읽기의 구성요소
(2) 읽기 교육의 목표
(3) 읽기교육의 내용구성
(4) 읽기 교육의 내용
5. 읽기 이론을 통해 알아본 ‘좋은 제재 선정기준’
6. 1, 2학년 읽기 교과서에서 좋은 제재 선정을 위한 기준
7. 1, 2 학년 새《읽기》교과서 中 좋은 제재 선정 분석
1) 1-1 3단원, 만복이는 풀잎이다.
2) 1-1 4단원, 오는 길 -피천득
3) 1-1 6단원, 꾀를 내어서, 떡시루 잡기
4) 2-1 1단원, 설문대 할망
※ 참고문헌
1. 보고서를 시작하며
우리 3조는 2007개정교육과정에 따른 교과서 중 초등학교 1, 2학년 읽기 교과서에 실린 제재들이 좋은 제재인가를 알아보았다. 우리는 국어과에서 읽기 교육을 할 때, 읽기의 본질과 목표, 내용을 고려한 제재가 좋은 읽기 제재가 될 것이라 생각하였다. 그래서 읽기 교육의 이론적인 측면(읽기의 본질, 목표, 내용)을 살펴보았고, 그 안에서 좋은 제재인지를 판단 할 수 있는 기준을 찾았다. 이 보고서에서는 먼저 읽기교육이론의 바탕이 되는 관점들을 살펴보고, 읽기교육의 이론적인 측면을 살펴볼 것이다. 그리고 이론적인 측면을 바탕으로 나온 ‘읽기 교과 중 좋은 제재를 선정하는 기준’에 대해서 알아보고, 나아가 초등학교 1, 2학년 읽기교과서에 실린 제재 중 좋은 제재를 선정하는 기준에 맞는 제재를 분석해보도록 하겠다.
2. 읽기 교육의 이론적 배경
읽기는 간단하게 정의를 하면 문자언어를 통한 상호간의 의사소통과정이다. 읽기는 인간 문화현상에서 매우 중요한 부분을 담당하고 있는 하나의 현장이다. 이러한 읽기를 무엇이라고 생각하는가에 따라 우리의 읽기 교육의 목표와 내용 및 교수 학습이 달라진다. 따라서 좋은 제재를 선정하기 위해서는 어떤 관점으로 읽기를 생각했느냐를 파악하는 것이 굉장히 중요하다. 읽기 이론에 영향을 미친 관점들은 크게 다음과 같다.
(1) 행동주의적 관점 : 1920년대 이후 ~ 최근
‘음운 → 단어 → 문장 → 담화 → 의사소통’의 순서로 복합적인 행동을 형성하게 하면 읽기를 가르칠 수 있다고 생각한다. 따라서 읽기학습을 각 부분을 더해서 전체가 되어가는 첨가과정이라고 할 수 있다.
부분 → 전체
(2) 형태심리학적 관점 : 1980년대 이후 주목 ~ 최근
우리에게 어떠한 자극이 가해졌을 때, 우리는 우리의 배경이나 필요, 관심 등에 의해 형성된 가정을 토대로 자극을 받아들이게 된다. 즉, 우리는 우리가 필요로 하는 것, 원하는 것을 보고, 기대나 이론과 같은 ‘전체’에 기반을 두고, ‘부분’을 인식한다.
전체 → 부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