고구려 벽화 이야기

 1  고구려 벽화 이야기-1
 2  고구려 벽화 이야기-2
 3  고구려 벽화 이야기-3
 4  고구려 벽화 이야기-4
 5  고구려 벽화 이야기-5
 6  고구려 벽화 이야기-6
 7  고구려 벽화 이야기-7
 8  고구려 벽화 이야기-8
 9  고구려 벽화 이야기-9
 10  고구려 벽화 이야기-10
※ 미리보기 이미지는 최대 20페이지까지만 지원합니다.
  • 분야
  • 등록일
  • 페이지/형식
  • 구매가격
  • 적립금
자료 다운로드  네이버 로그인
소개글
고구려 벽화 이야기에 대한 자료입니다.
본문내용
벽에 새긴 고구려인의 세계 - 고구려 벽화 이야기
The research on the mural painting tomb of Koguryo
서론
본론
1. 고구려 벽화의 시대구분
2. 고구려 벽화 제1시기
(계세적 세계관와 초기불교사상의 유입)
3. 고구려 벽화 제 2시기
(계세적 세계관의 쇠퇴와 불교적 전생(轉生) 내세관을 유행)
4. 고구려 벽화 제 3기
(선계,불교,사신,하늘별 다양해 지는 내세세계관)
결론
서론
고구려(기원전 37년 ~ 668년)는 백제, 신라와 함께 삼국시대의 주요 고대국가 중 하나이다. 지역적으로는 현재의 한반도 북부와 중국 대륙의 동북부에 위치하였으며, 뛰어난 외교술과 강력한 군사력으로 이 지역을 무려 700년 동안 지배하였다. 고구려는 그 높은 위상 만큼이나, 많은 문화유산을 남겼다. 그 중, 고구려 벽화는 현재 세계문화유산에 공식 등재되면서, 전세계의 주목을 받는 문화유산 중 하나가 되었고, 현재까지 120기에 가까운 고구려 벽화가 발견됨으로써, 많은 사학자와 문화예술 관련 학자들에게 고구려에 관한 연구 발전의 기초 자료가 되었다. 고구려 벽화에는 고대 한반도의 회화 양식과 고구려인의 세계관과 사상이 투영되어 있다. 고구려 벽화는 쉽게 말해서, 고구려인들중 귀족 혹은 왕족을 중심으로한 고분내 벽에 그려진 회화을 일컫는다. 당시의 고대인들은 죽음을 삶의 끝이 아닌, 새로운 삶(사후세계의 삶)과의 연속으로 보았다. 그들은 내세를 믿었으며, 죽음 이후에 사후세계가 존재하고 그것과 가장 밀접한 관계를 가지는 것으로 무덤(죽은이의 집)을 생각했다. 무덤은 사후에 머무는 집으로, 매우 중요한 의미를 가졌던 것이다.
따라서 이 고구려 고분 내의 벽화들은 당시의 고구려인들의 내세관을 가장 잘 이해할수 있는 사료인 동시에, 고대 한반도 문화양식, 특히 회화양식을 가장 잘 표현하고 있는 예술품이다. 이로써 우리는 고구려 벽화를 통해, 당시 고구려인들의 세계관을 쉽게 이해할 수 있으므로, 이 벽화를 공부하고 이해하는 것은, 그야말로 그 당시의 생활상 및 세계관을 들여다 볼 수 있는 좋은 기회가 될 것이다. 고구려 벽화는 현대 동북 아시아인에게 고구려를 조금 더 가까이 관찰할 수 있는 하나의 중요한 창문인 것이다.
이 글은 새로운 연구에 관한 전문적인 학술 논문이 아닌, 지금껏 학자들의 기존 연구 내용 및 논지를 조금 발전 통합시킨, 하나의 고구려벽화 도론에 가까운 글이다. 따라서, 본 내용은 고구려의 시기별 고구려 벽화 양식과 제재가 어떻게 변화하였으며, 이는 무엇에 연유한 것인지를 독자와 같이 사고해보는 것에 중점을 두었다. 그리하여, 본 답사집이 좀 더 답사자 본인들에게 더 쉽고 흥미롭게 유적지를 읽어가는데 도움이 되게하였다. 모쪼록 이 글이 답사하시는 분들께 도움이 되어, 동북 아시아인의 중요하고도 아름다운 문화재인 고구려벽화에 조금 더 쉽게 다가가길 바란다.
본론
1. 고구려 벽화의 시대구분
고구려 벽화를 자세히 공부하기 앞서서, 우리는 먼저 고구려 고분 및 벽화가 크게 3부분의 시대구분으로 이루어진다는 것을 알아야한다. 고구려 벽화 및 무덤의 시대구분은 전기, 중기, 후기의 총 세 시기로 구분하여 볼 수 있다.
전기는 제 1기로 4-5세기초를 말하고, 대표적인 고분으로는 안약 3호분 및 덕흥리 고분이 있다. 이러한 초기고분은 ‘品’자형 구조의 무덤형태를 지니고 묘주의 생활풍속과 초상화가 벽화 내용의 주를 이룬다.
중기는 제 2기로 5-6세기경을 뜻하며 대표적인 고분으로는 무용총, 각저총, 쌍영총이 있다. 중기에는 ‘呂’자형 구조로 형태가 단순해지고 인물풍속도와 내세세계를 표현한 그림이 함께 나타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