고산 윤선도의 오우가 연구

 1  고산 윤선도의 오우가 연구-1
 2  고산 윤선도의 오우가 연구-2
 3  고산 윤선도의 오우가 연구-3
 4  고산 윤선도의 오우가 연구-4
 5  고산 윤선도의 오우가 연구-5
 6  고산 윤선도의 오우가 연구-6
 7  고산 윤선도의 오우가 연구-7
 8  고산 윤선도의 오우가 연구-8
 9  고산 윤선도의 오우가 연구-9
 10  고산 윤선도의 오우가 연구-10
 11  고산 윤선도의 오우가 연구-11
 12  고산 윤선도의 오우가 연구-12
 13  고산 윤선도의 오우가 연구-13
※ 미리보기 이미지는 최대 20페이지까지만 지원합니다.
  • 분야
  • 등록일
  • 페이지/형식
  • 구매가격
  • 적립금
자료 다운로드  네이버 로그인
소개글
고산 윤선도의 오우가 연구에 대한 자료입니다.
본문내용
고산 윤선도의 오우가 연구
< 목 차 >
1. 서 론
2. 고산의 생애와 인품
3. 산중신곡(山中新曲)
4. 오우가 내용분석
5. 오우가 표현특성
6. 결 론
1. 서론
(1) 연구방향
윤선도(1587~1671)는 자(字)가 약이(約而), 호(號)는 고산(孤山) 또는 해옹(海翁)으로 정철과 더불어 한국시가의 거봉이다. 그는 조선조의 선조, 광해군, 인조, 효종, 현종 때의 문신으로, 정치적 사회적으로 변란이 끊이지 않던 시대를 살았던 인물이다. 유년시절에 임진왜란을 겪었고, 장년기에는 정묘재란ㆍ병자호란을 겪었으며, 이후에도 격심해진 당쟁 속에 살아갔다. 이러한 혼란과 격변의 시기에 살았던 그는 많은 작품을 남겼다.
그 당시 사대부들은 자신의 사상과 감정을 한시로 표현하여 한문을 우월하게 여기고 국문을 국자로 취급하기를 꺼려했다. 이런 사정이다 보니 당시 사대부들은 대부분 음성 언어와 문자 언어가 다른 이중적인 생활을 하고 있었다. 그러나 윤선도는 우리 나라 사람이 우리의 사상과 감정을 우리말에 실음으로 나타나는 표현과 감동의 진가를 깨달았다. 그리하여 그의 시조에는 우리 시가 양식에 우리의 정서와 감정을 토속적인 우리말로 살려 사용하는 선구자가됨으로써 오늘날에도 조선 사회의 모습과 사람들의 생활 감정을 이해하고 음미할 수 있는 소중한 자산을 물려주었다. 다시 말해, 윤선도는 국문시에 대한 인식이 투철하여 「山中新曲」과 ,등 훌륭한 국문시를 이룸으로써 조선 시대의 대표적인 국문시가 시인으로 지목되어 왔다. 박준규, 『孤山 尹善道의 生涯와 文學』, 전남대출판부, 1997, 428쪽.
국문을 사용한 작품에 드러나는 격조 높은 서정성과 아름다운 시어의 조탁, 예술적이고 기교적인 언어의 구사, 토속어의 활용, 자연미의 발견 등으로 그 이유를 볼 수 있다.
본고에서는 위와 같이 우리 시가에서 중요한 위치를 지니고 있는 고산 작품에 대한 선행연구를 검토해 보고, 고산의 생애와 인품, 오우가가 포함되어 있는 산중신곡, 오우가의 내용과 표현특성을 종합적으로 고찰하고자 한다.
(2) 고산 작품의 先行硏究 檢討
시조는 우리 나라만이 가진 독특하고 고유한 시가로 고려 중엽에 형식이 나타나기 시작하여 고려 말에 그 형태가 확립되었다. 이는 700~800여 년이 지난 오늘까지 그 형태가 유지되어 창작되면서 생명력이 가장 긴 ‘국민 문학’으로, 고전 문학의 대표적 장르로 오랫동안 그 전통을 이어오고 있다. 이 연장선상에서 윤선도 문학의 가치는 중요하며, 지금까지 수 많은 연구자들의 관심 대상이 되었고 많은 선행연구가 이루어졌다. 그러므로 가의 본격적인 연구에 앞서 윤선도 전체작품에 관한 선행연구가 어떻게 이루어져 왔는지 먼저 살펴보기로 한다.
윤선도의 작품과 그에 대한 연구는 다양하고도 지속적으로 이루어져 왔다. 초기에는 그의 문학 일반에 대한 연구에 집중되었고, 이후에는 자연관에 대한 연구와 사상론, 작품론, 작가론, 문헌적 자료의 비교 연구 등으로 확대되어 갔다. 이들의 연구 성과를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먼저, 윤선도의 문학 일반에 대한 연구는 윤곤강(1948) 윤곤강,『孤山歌集』, 정음사, 1948.
이 『고산집주(孤山歌集)』을 발간하며 시작하였다. 이후 이재수(1955) 이재수,『尹孤山硏究』, 학우사, 1955.
가 작가론, 작품론, 작품 주해 등의 체계를 갖춘 저서를 출판하면서 윤선도의 작품 가치를 표현미에 중점을 두었다. 조윤제(1954) 조윤제,『韓國詩歌史講』, 을유문화사, 195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