유아 쌓기 놀이에 관한 학술지, 학위 논문의 경향분석

 1  유아 쌓기 놀이에 관한 학술지, 학위 논문의 경향분석-1
 2  유아 쌓기 놀이에 관한 학술지, 학위 논문의 경향분석-2
 3  유아 쌓기 놀이에 관한 학술지, 학위 논문의 경향분석-3
 4  유아 쌓기 놀이에 관한 학술지, 학위 논문의 경향분석-4
 5  유아 쌓기 놀이에 관한 학술지, 학위 논문의 경향분석-5
 6  유아 쌓기 놀이에 관한 학술지, 학위 논문의 경향분석-6
 7  유아 쌓기 놀이에 관한 학술지, 학위 논문의 경향분석-7
 8  유아 쌓기 놀이에 관한 학술지, 학위 논문의 경향분석-8
 9  유아 쌓기 놀이에 관한 학술지, 학위 논문의 경향분석-9
 10  유아 쌓기 놀이에 관한 학술지, 학위 논문의 경향분석-10
 11  유아 쌓기 놀이에 관한 학술지, 학위 논문의 경향분석-11
 12  유아 쌓기 놀이에 관한 학술지, 학위 논문의 경향분석-12
 13  유아 쌓기 놀이에 관한 학술지, 학위 논문의 경향분석-13
 14  유아 쌓기 놀이에 관한 학술지, 학위 논문의 경향분석-14
 15  유아 쌓기 놀이에 관한 학술지, 학위 논문의 경향분석-15
 16  유아 쌓기 놀이에 관한 학술지, 학위 논문의 경향분석-16
 17  유아 쌓기 놀이에 관한 학술지, 학위 논문의 경향분석-17
 18  유아 쌓기 놀이에 관한 학술지, 학위 논문의 경향분석-18
 19  유아 쌓기 놀이에 관한 학술지, 학위 논문의 경향분석-19
 20  유아 쌓기 놀이에 관한 학술지, 학위 논문의 경향분석-20
※ 미리보기 이미지는 최대 20페이지까지만 지원합니다.
  • 분야
  • 등록일
  • 페이지/형식
  • 구매가격
  • 적립금
자료 다운로드  네이버 로그인
소개글
유아 쌓기 놀이에 관한 학술지, 학위 논문의 경향분석에 대한 자료입니다.
본문내용
< 목 차 >
Ⅰ. 연구의 필요성과 목적2
Ⅱ. 연구방법5
1. 분석 대상5
2. 분석 기준 및 분석 방법 5
Ⅲ. 결 과 6
1. 쌓기 놀이에 대한 연구 요약 6
2. 연구 내용 20
3. 연구 방법 20
Ⅳ. 논의 및 결론 23
1. 연구 내용의 경향23
2. 연구 방법의 경향23
참고문헌
유아 쌓기 놀이에 관한 학술지, 학위
논문의 경향분석
본 연구는 유아 쌓기 놀이의 중요성에 대한 인식을 토대로 그동안 이루어진 쌓기 놀이 관련 학술지, 학위논문 7편을 대상으로 쌓기 놀이 연구의 내용과 방법의 경향을 고찰하고자 하였다. 이를 바탕으로 지금까지 이루어진 유아 쌓기 놀이 연구를 재인식하고 앞으로의 유아 쌓기 놀이 연구의 발전적 방향을 모색해 보는데 연구의 의의를 두었다. 연구 결과는 첫째, 연구 내용의 경향에서, 모든 연구가 쌓기 놀이와 유아 발달심리의 관계를 주제로 하였다. 유아발달심리에는 인지발달, 사회성발달, 성 유형화 및 놀이행동이나 놀이 형태가 발달에 미치는 영향을 다룬 논문이 있었다. 7개의 논문 중 2개의 논문은 유아의 발달심리뿐만 아니라 쌓기 놀이와 교육과정 프로그램 중 교수 전략 및 방법의 관계에 대해 다루어졌다. 둘째, 연구 방법의 경향에서, 연구 대상의 연령은 한 연령만 연구한 논문이 5개의 논문, 4, 5세를 연구한 논문이 1개의 논문, 3, 4, 5세를 연구한 논문이 1개의 논문이었다. 연구 대상의 표집크기는 대부분이 50명 미만이었고, 1개의 논문에서만 50명 이상이었다. 연구 유형은 양적연구가 3개의 논문, 질적 연구가 4개의 논문이었다. 양적연구 모두 실험연구 방법을 사용하였다. 자료수집방법은 양적연구에서는 관찰과 검사를 사용하였다. 질적 연구에서는 참여관찰, 면접, 기타의 방법을 사용하였다.
《요 약》
핵심어 : 쌓기놀이, 연구경향
Ⅰ. 연구의 필요성 및 목적
유아는 깨어있는 시간의 대부분을 놀이 활동에 보내고 있으며 놀이는 유아에게 생활의 전부라고 할 수 있을 만큼 보편적이고 자연스러운 활동이다(Hughes, 1997: 김미영, 2005: 재인용). 또한 놀이는 유아에게 세계를 발견, 경험, 소유해가는 통로가 될 뿐만 아니라 생활세계 속에서 유아가 부여한 주관적인 의미들을 종합적으로 표출하는 생생한 생활경험 그 자체이다(이경순, 2007). 유아들은 놀이를 통해 자신의 내면의 세계와 실제 생활세계를 접목시키며 그 속에서 자신과 세계에 대해 인식하고 발달해 가는 것이다.
또한 유아는 놀이를 통해 자신의 모든 것을 반영한다. 놀이를 통해 신체, 언어, 인지, 정서, 사회적 모든 영역이 놀이에 반영되기 때문에 놀이를 통해 유아가 어느 수준에 있는지 평가 할 수 있을 뿐 아니라 발달상의 문제점도 진단할 수 있다(이숙재, 1997). 유아는 놀이를 통해 기쁨, 슬픔, 좌절 등 모든 감정을 표출시키기 때문에 유아의 정서적 문제들이 자연스럽게 치료된다. 이렇게 유아의 놀이는 유아에게 즐거움과 기쁨을 주며 유아의 전인적 발달을 도모한다.
유아의 전인적인 발달을 돕는 놀이의 종류는 다양하다. 그 중에서 유아에게 활발한 상호작용을 제공하는 놀이이며 입체적인 구조물을 구성 할 수 있는 놀이 즉 쌓기 놀이는 유아들에게 가장 폭넓게 받아들여지는 놀이로 일명 블록으로 불리어져 왔다. 오래전부터 유아를 위한 기본 자료로 중요시되어온 블록은 여러 가지 크기와 모양을 가지고 있어서 실제로 볼 수 있고, 만질 수 있고, 때로는 부숴버릴 수도 있는 3차원의 견고한 특성을 가졌고(노치현외, 1989), 용도가 무제한으로 개방된 놀잇감이기 때문에 다양한 놀이에 활용될 수 있다(이숙재, 1997).
이외에도 블록의 교육적 의미는 여러 학자들에 의해 높이 평가되어왔다(김경란, 1994; Brody & Hirsh, 1996; Cartwright, 1988; Gelfer & Perkins, 1988; day, 1983; Johnson, 1996; Leeb-Lundberh, 1996; Moffitt, 1996; Reifel, 1984; Welhousen & Kieff, 2001). 가장 기본적으로 주목받는 블록의 역할은 신체적 발달에 미치는 영향이다. 크고 작은 블록을 쌓거나 운반하는 과정에서 대소 근육의 발달을 비롯한 눈과 손 및 양손의 협응력을 키워준다는 것이다(Reifel, 1984; Cartwright, 1988)
특히 블록을 만드는 과정은 집단으로 일어나기 쉽고(Cartwright, 1988), 이 과정에서 서로 의견을 교류하고 도움을 주며 다양한 사회적 지식을 습득할 수 있다(Brody & Hirch, 1996). 또한 블록을 자유로이 쌓고 부수는 과정을 통해 자신감과 성취감 등의 긍정적인 자아개념(Brody & Hirsh, 1996)과 정서적 조절력을 발달시키며(day, 1983), 수학적 개념과 과학적논리적 사고 등의 인지발달에도 놀라운 교육적 효과를 가지고 있다.
Gelfer & Perkins(1988)는 무엇보다도 블록은 예술적 표현을 위해 유용한 놀잇감임을 강조한다. Hirsch(1996)는 블록의 즐거움은 기본적으로 미적 경험으로부터 나와서 인간 전체와 연결된다고 보고 있다. 성인 사회에서 건축이 예술과 기술이 어우러지는 하나의 종합예술(이광로, 1994)인 것과 같이 유아들에게도 구성행위는 하나의 창조(Cartwright, 1988; Johnson, 1996)라는 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