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고전문학사] - 한국 최초의 소설 - 금오신화

 1  [고전문학사] - 한국 최초의 소설 - 금오신화-1
 2  [고전문학사] - 한국 최초의 소설 - 금오신화-2
 3  [고전문학사] - 한국 최초의 소설 - 금오신화-3
 4  [고전문학사] - 한국 최초의 소설 - 금오신화-4
 5  [고전문학사] - 한국 최초의 소설 - 금오신화-5
 6  [고전문학사] - 한국 최초의 소설 - 금오신화-6
※ 미리보기 이미지는 최대 20페이지까지만 지원합니다.
  • 분야
  • 등록일
  • 페이지/형식
  • 구매가격
  • 적립금
자료 다운로드  네이버 로그인
소개글
[고전문학사] - 한국 최초의 소설 - 금오신화에 대한 자료입니다.
본문내용
한국 최초의 소설, 금오신화
1. 작자, 김시습
우리나라 최초의 한문소설인 금오신화를 저술한 조선 초기의 학자 김시습은, 문인으로 생육신 중 한명이다. 그는 1435년에 출생하여 1493년에 생을 마감하였다.
단종이 세조에게 밀려날 때, 김시습은 끝까지 신의를 잃지 않고 벼슬길을 포기하고 자연에 몸을 맡겼다. 배운 것은 꼭 실천하는 성격의 소유자였던 김시습은, 서울 성균관 근처에서 강릉 김 씨로 태어났다. 김시습은 세 살 때 글자를 처음 배웠으며, 한시까지도 지을 수 있었다. 세 살이라는 나이에 한시를 지어 신동이라는 소리를 들은 김시습은 다섯 살 이라는 어린 나이에 당시 통치하던 세종의 부름에 궁으로 들어가게 되었다. 어린 김시습은 이런 저런 세종의 요구에도 불구하고 그에 알맞은 시를 지어 사람들의 감탄을 자아냈다. 이에 세종은 훗날 큰 인재로 쓰겠다며 비단을 내렸는데, 김시습이 이를 허리에 차고 궁궐 밖을 나갔다는 유병한 일화가 전해져 내려온다. 이후 사람들은 5살 때부터 실력을 발휘했다하여, 그를 김오세라고 불렀다. 하지만 그에게도 어머니의 사망과 함께 고난이 시작되었다. 아버지마저 돌아가시고 결혼생활 마저 순탄하지 못하였다. 이에 그치지 않고, 그에게 약속을 했던 세종마저 사망을 하여 그에게 관료로 나가 나랏일을 하게 할 명분이 사라졌다.
김시습이 스물한 살 때에는 수양대군이 조카인 단종을 몰아내고 왕위에 올랐는데, 이를 비통하게 여긴 김시습은 하던 공부를 그만두고 스스로 스님이 되는 길을 택하였다. 김시습과 같이 세조가 왕위를 찬탈했을 당시에 벼슬을 마다하고 절개를 지킨 사람들을 생육신이라고 하는데, 이들은 세조가 벼슬을 권하는 것도 마다하고 단종에 대한 신의를 지켰다. 또한 김시습은 세조 집권 당시 처형당한 사육신을 아무도 두려움에 매장하지 못할 때, 나서서 노량진에 임시로 매장하였다고 한다. 돌아와 그에 대해 다시 설명 할 때, 이긍익의『연려실기술』에 의하면 그는 유,불,도에 해박한 지식을 두루 갖추었음과 함께 시대와의 마찰로 인해 광적인 행동을 보인 것을 알 수 있다. 김시습은 초상화에서조차 다른 유학자들과 다르게 그들이 쓰지 않은 흔치않은 모자를 쓰는 등, 도가 사상을 수용하여 기인의 풍모를 여실히 지닌 것을 알 수 있다. 김시습에 대해 이이는 그의 전기를 쓰면서 심유적불이라는 네 글자로 그의 삶을 표현했다. ‘심유적불’ 은 마음은 유가였지만 자취는 불가라는 뜻으로, 시대와 어울리지 못하고 도피적으로 살아간 그의 행실에 대해 바람직하지 못하다고 생각하여 이이는 부정적으로 평가 한 것이다. 하지만, 방랑을 하고 은둔생활을 지속한 김시습도 결코 현실을 외면한 것은 아니다. 왕도 정치를 구현하려고 성종 즉위 후에는 오랫동안 이어온 은거 생활을 마치기도 하였다.
2. 금오신화 분석
1) 금오신화 작품 줄거리 및 해석, 작품의 의의 및 이 작품이 미친 영향
① 만복사저포기
만복사저포기는 조선 전기인 15세기 후반에 김시습이 남원에 있는 만복사를 배경으로 쓴 단편 한문소설이다. 이 작품은 원본 없이 소설집인 금오신화에 실려 있다. 살아있는 남자와 죽은 여자의 사랑을 소재로 한 애정소설이며, 이는 이생규장전과 함께 구조 유형상 명혼소설이며, 시애소설이다.
만복사저포기의 내용은 다음과 같다. 전라도 남원에 살던 양생은 일찍이 부모를 잃고 만복사의 구석에 위치한 방에서 외로이 지냈다. 혼인할 상대가 없음을 슬퍼하던 중에 그는 부처와 저포놀이를 하였고, 거기에서 이겨서 그 대가로 아름다운 처녀를 얻게 되었다. 그 처녀는 왜적의 난 중에 부모와 생이별하고 정절을 지키고 있다가 혼인 시기가 되어 배필을 구하던 터였다. 둘은 부부의 연을 맺고 며칠 동안 열렬히 사랑을 하였다. 그리고 그들은 다시 만나기로 약속을 한 후 헤어졌다. 약속한 장소에서 부인을 기다리던 양생은 죽은 딸의 상을 치르러 가는 양반집의 행차를 만났다. 양생은 이 양반 집의 죽은 딸이 자신과 함께 사랑을 누었던 여자라는 것을 알게 되었다. 여자는 양생과 부모가 준비한 음식을 먹고, 저승의 명을 거역할 수 없다면서 양생을 떠나갔다. 이제 양생은 쓸쓸히 혼자 귀가했다. 양생은 장가를 다시 가지 않고 여자를 그리워 한 채 지리산에 올라가 약초 등을 캐며 지냈는데, 그 미친 바를 알 수 없었다고 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