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문학배경론] 관동별곡에 나타난 도가적 사상의 고찰

 1  [한국문학배경론] 관동별곡에 나타난 도가적 사상의 고찰-1
 2  [한국문학배경론] 관동별곡에 나타난 도가적 사상의 고찰-2
 3  [한국문학배경론] 관동별곡에 나타난 도가적 사상의 고찰-3
 4  [한국문학배경론] 관동별곡에 나타난 도가적 사상의 고찰-4
 5  [한국문학배경론] 관동별곡에 나타난 도가적 사상의 고찰-5
 6  [한국문학배경론] 관동별곡에 나타난 도가적 사상의 고찰-6
※ 미리보기 이미지는 최대 20페이지까지만 지원합니다.
  • 분야
  • 등록일
  • 페이지/형식
  • 구매가격
  • 적립금
자료 다운로드  네이버 로그인
소개글
[한국문학배경론] 관동별곡에 나타난 도가적 사상의 고찰에 대한 자료입니다.
본문내용
관동별곡에 나타난 도가적 사상의 고찰
- 차 례 -
1. 머리말
2. 본론.
2-1. 도가사상(道家思想)의 개관
2-2. 관동별곡에 드러난 신선사상(神仙思想)
2-3. 관동별곡에 드러난 자연애사상(自然愛思想)
2-4. 관동별곡에 드러난 허무사상(虛無思想)
3. 맺음말
4. 참고문헌
1. 머리말
머나먼 옛날부터 지금에 이르기까지 인간들은 ‘문학’에 사상이나 감정을 투영시켜 끊임없이 창작하고 향유하여 왔다. 문학은 인간에 의해 창작이 되고 읽히는 것인 이상, 개인이나 집단의 사상이 자연스럽게 녹아 들어가 있을 수밖에 없다. 만약 이 사상을 이해하지 못한 채 작품을 접하게 된다면 어렴풋이 내용 이해는 할 수 있겠지만 완벽하게 그 작품을 소화하지는 못할 것이다. 따라서 한 문학작품의 사상을 연구하는 것은 작품의 폭넓은 이해함에 있어 중요한 요소라 할 수 있다.
다양한 사상들이 존재하지만 우리 옛 문학의 주(主) 기반을 이루는 것이 바로 유불도(儒佛道)의 사상이다. 고려시대에는 주로 불교사상이, 조선시대에는 유교사상과 아울러 도교사상이 문학작품에 투영되어 있었다. 필자는 이 중, 조선 선조(宣祖)때 쓰여진 송강 정철(松江 鄭澈)의 대표작 「관동별곡(關東別曲)」에 투영된 도가적 사상에 초점을 맞추어 살펴보고자 한다.
이 작품은 중간중간 연군의 정을 노래하여 유가적인 사상이 큰 틀을 이루고 있는 것이 사실이긴 하나 내금강, 외금강, 해금강, 관동팔경 등을 두루 유람하면서 뛰어난 경치를 노래하거나 그에 따른 감흥을 표현함에 있어 도가적인 사상이 짙게 녹아들어가 있음을 알 수 있다. 필자는 이 도가적 사상에 초점을 맞추어 상고(詳考)해보고자 한다. 몇몇의 이본들이 있지만 성주본(星州本)을 그 텍스트로 삼고자 한다.
2. 본론
2-1. 도가사상(道家思想)의 개관
중국 초(楚)나라의 노자(老子)에 의해 창시되고 송(宋)나라의 장자(莊子)에 의해 계승되고 발전된 도가사상은 크게 무위자연(無爲自然)과 현실도피(現實逃避)사상이라고 할 수 있다.
유교와 대척적 관계에 있는 이 도교(道敎)의 도가사상은 노자의 사상인 허무(虛無)를 주제로 한 무위자연설이며, 현실도피의 심리를 가지고 있다. 장자는 이 사상을 연역(演繹)하여 자유를 숭상(崇尙)하였고 향락적이고, 또 매우 출세간적(出世間的)인 풍조(風潮)를 띠었기 때문에 노장학도(老莊學徒)들은 점점 일체의 질서 밖에 도피하여 자자방종(自恣放縱) 인의도덕(仁義道德)을 멸시하고 본능적 자연생활을 즐겨 하였던 것이다. 김주곤(1998), 『韓國歌辭와 思想硏究』, 國學資料院, p.199
완적(阮籍), 혜강(康) 등 소위 죽림칠현(竹林七賢)은 이 노장학파의 가장 대표적인 인물이라고 할 수 있는데, 김주곤(金周坤)은 그들의 은둔도피사상(隱遁逃避思想)은 염세사상(厭世思想)과 아울러, 도리어 번잡한 현세를 초월하여 불노불사(不老不死)의 경지에 이르고자 하는 원망(願望)이 생기게 되어 신선경(神仙境)을 안출(案出)하였으니, 이에 따라 발생한 것이 신선사상(神仙思想) 김주곤, 앞의 책, p.199
오늘 본 자료
더보기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해당 정보 및 게시물의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위 정보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에 신고해 주시기 바랍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