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본 역사 교과서 왜곡의 사적전개와 대응 일본 역사왜곡 사적전개 일본 역사왜곡

 1  일본 역사 교과서 왜곡의 사적전개와 대응 일본 역사왜곡 사적전개 일본 역사왜곡-1
 2  일본 역사 교과서 왜곡의 사적전개와 대응 일본 역사왜곡 사적전개 일본 역사왜곡-2
 3  일본 역사 교과서 왜곡의 사적전개와 대응 일본 역사왜곡 사적전개 일본 역사왜곡-3
 4  일본 역사 교과서 왜곡의 사적전개와 대응 일본 역사왜곡 사적전개 일본 역사왜곡-4
 5  일본 역사 교과서 왜곡의 사적전개와 대응 일본 역사왜곡 사적전개 일본 역사왜곡-5
 6  일본 역사 교과서 왜곡의 사적전개와 대응 일본 역사왜곡 사적전개 일본 역사왜곡-6
 7  일본 역사 교과서 왜곡의 사적전개와 대응 일본 역사왜곡 사적전개 일본 역사왜곡-7
 8  일본 역사 교과서 왜곡의 사적전개와 대응 일본 역사왜곡 사적전개 일본 역사왜곡-8
 9  일본 역사 교과서 왜곡의 사적전개와 대응 일본 역사왜곡 사적전개 일본 역사왜곡-9
 10  일본 역사 교과서 왜곡의 사적전개와 대응 일본 역사왜곡 사적전개 일본 역사왜곡-10
 11  일본 역사 교과서 왜곡의 사적전개와 대응 일본 역사왜곡 사적전개 일본 역사왜곡-11
 12  일본 역사 교과서 왜곡의 사적전개와 대응 일본 역사왜곡 사적전개 일본 역사왜곡-12
※ 미리보기 이미지는 최대 20페이지까지만 지원합니다.
  • 분야
  • 등록일
  • 페이지/형식
  • 구매가격
  • 적립금
자료 다운로드  네이버 로그인
소개글
일본 역사 교과서 왜곡의 사적전개와 대응 일본 역사왜곡 사적전개 일본 역사왜곡에 대한 자료입니다.
본문내용
일본 역사 교과서 왜곡의 사적전개와 대응
< 목 차 >
1. 서론
2. 역사왜곡의 사적전개
Ⅰ. 제 1차 교과서 공격(1955~1981)
Ⅱ. 제 2차 교과서 공격 (1982~2000)
Ⅲ. 제 3차 교과서 공격 (2001~2010)
3. 역사왜곡의 대응
Ⅰ. 1960~70년대의 대응
Ⅱ. 1980~90년대의 대응
Ⅲ. 2000년대의 대응
4. 한일역사공동연구위원회
5. 결론
6. 참고문헌
1. 서론
한국과 일본은 서로의 역사에서 많은 부분이 중첩되어 있다. 그것은 상호간의 관계가 그만큼 밀접했다는 것을 의미한다. 그러니 지나온 역사과정을 돌이켜 보면, 상호간에 선린우호의 과정도 있었지만 대립과 갈등, 침략과 약탈, 지배와 예속의 적대적인 관계도 있었다. 이러한 과정에서 상호간의 중첩된 역사사실에 대한 이견이 생기게 되었다.
역사적 사실은 객관적이어야 하며, 객관적 사실을 인정하는 데에는 이견이 있을 수 없다. 반면 역사적 사실은 객관적이지만, 그것을 해석하고 이해하는 대에는 다양한 방법이 용인된다. 그리고 다양한 해석과 방법에 의해 역사의 메시지를 제대로 들을 수 있다.
그런데 한·일간에 역사적 사실의 존재 자체를 인정하는 데에도 의견을 달리하는 부분이 있으며, 또 함께 인정하는 역사적 사실에 대한 해석에서도 현격한 차이를 드러내기도 한다. 양국사이에 이러한 역사사실에 대한 인식의 차이 및 사실해석에 대한 이견으로 인해 역사분쟁이 진행되고 있다.
한·일간의 역사분쟁은 기본적으로 일본 제국주의 학자들이 황국사관 내지 식민사관 때문에 발생하였다. 그리고 20세기 후반에는 이들이 역사관을 계승한 군국주의적·극우적 역사관을 적용하는 역사관에 의해 더욱 가열되었다. 뿐만 아니라 21세기에 들어서 한·일간의 역사분쟁은 학자간의 문제에 그치지 않고 양국 정부간의 외교문제로 비화되면서, 한일양국의 상호이해와 발전을 저해하고, 동아시아지역의 공동번영에도 심각한 위협이 되고 있다. 이 때문에 2002년 이후, 한일양국은 민관합동기구인 ‘한일역사공동연구위원회’를 발족시켜 2세기에 갈쳐 6년간 활동하여 나름대로 성과를 거두었으나 제 3기의 발족이 중단된 상태이다. 전환기 일본 교과서문제의 제상 pg. 11,경인문화사, 2010년
2. 역사왜곡의 사적전개
Ⅰ. 제 1차 교과서 공격(1955~1981)
해방 직후, 일본에 군정을 실시한 미국은 일본의 제국주의적 이념을 심어주는 역사교육을 금지시켰다, 그리하여 연합군 최고사령부(GHQ)의 지도로 제작된 역사교과서는 일본이 패망하기 전과는 전혀 다른 내용으로 기술되었으며, 경우에 따라서는 문제가 되는 부분을 까맣게 칠한‘먹칠교과서’가 사용되기도 했다. 예를 들면 전쟁의 책임을 일부 우익정치인과 군부에 전가한 역사관이 문제였지만, 1931년 일본의 만주침략, 1937년 중일전면전쟁, 동남아시아 점령 등을 모두 ‘일본의 침략’으로 기술하였다.
그러나 1955년부터 일본의 극우세력들은 역사 교과서에 대한 본격적인 통제를 기도하며 군국주의를 찬양하는 등 황국사관의 부활을 기도했고, 역사교과서의 ‘침략’ 기술을 문제 삼기 시작했는데, 이것을 ‘제 1차 교과서 공격‘이라고 한다. 일본 정부는 이때부터 교육에 국가정책을 본격적으로 반영하기 시작했으며, 검정을 전문으로 하는 교과서 조사관 인력을 확보하여 교과서 검정을 통해 이를 실현하려고 하였다. 그래서 문부성령으로 교과용도서 조사관제도를 상설화하고 교과용도서 검정심의회의 인원도 16명에서 80명으로 늘렸다. 이들 가운데 황국사관을 황국사관이란 일본의 천황을 신격화하는 것.
가진 상당수의 사람들이 사회과 교과서 조사관에 포함되었다. 당시 문부성 일본의 행정 기관인 성(省)의 하나. 학교 교육, 사회 교육, 학술 및 문화의 진흥과 보급에 관한 사무를 관장하며, 우리나라의 교육 과학 기술부와 비슷한 역할을 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