비교문학 장한몽과 금색야차 일재 조중환 오자키 고요 장한몽과 금색야차 줄

 1  비교문학 장한몽과 금색야차 일재 조중환 오자키 고요 장한몽과 금색야차 줄-1
 2  비교문학 장한몽과 금색야차 일재 조중환 오자키 고요 장한몽과 금색야차 줄-2
 3  비교문학 장한몽과 금색야차 일재 조중환 오자키 고요 장한몽과 금색야차 줄-3
 4  비교문학 장한몽과 금색야차 일재 조중환 오자키 고요 장한몽과 금색야차 줄-4
 5  비교문학 장한몽과 금색야차 일재 조중환 오자키 고요 장한몽과 금색야차 줄-5
 6  비교문학 장한몽과 금색야차 일재 조중환 오자키 고요 장한몽과 금색야차 줄-6
 7  비교문학 장한몽과 금색야차 일재 조중환 오자키 고요 장한몽과 금색야차 줄-7
 8  비교문학 장한몽과 금색야차 일재 조중환 오자키 고요 장한몽과 금색야차 줄-8
 9  비교문학 장한몽과 금색야차 일재 조중환 오자키 고요 장한몽과 금색야차 줄-9
 10  비교문학 장한몽과 금색야차 일재 조중환 오자키 고요 장한몽과 금색야차 줄-10
 11  비교문학 장한몽과 금색야차 일재 조중환 오자키 고요 장한몽과 금색야차 줄-11
 12  비교문학 장한몽과 금색야차 일재 조중환 오자키 고요 장한몽과 금색야차 줄-12
 13  비교문학 장한몽과 금색야차 일재 조중환 오자키 고요 장한몽과 금색야차 줄-13
 14  비교문학 장한몽과 금색야차 일재 조중환 오자키 고요 장한몽과 금색야차 줄-14
 15  비교문학 장한몽과 금색야차 일재 조중환 오자키 고요 장한몽과 금색야차 줄-15
 16  비교문학 장한몽과 금색야차 일재 조중환 오자키 고요 장한몽과 금색야차 줄-16
 17  비교문학 장한몽과 금색야차 일재 조중환 오자키 고요 장한몽과 금색야차 줄-17
 18  비교문학 장한몽과 금색야차 일재 조중환 오자키 고요 장한몽과 금색야차 줄-18
 19  비교문학 장한몽과 금색야차 일재 조중환 오자키 고요 장한몽과 금색야차 줄-19
 20  비교문학 장한몽과 금색야차 일재 조중환 오자키 고요 장한몽과 금색야차 줄-20
※ 미리보기 이미지는 최대 20페이지까지만 지원합니다.
  • 분야
  • 등록일
  • 페이지/형식
  • 구매가격
  • 적립금
자료 다운로드  네이버 로그인
소개글
비교문학 장한몽과 금색야차 일재 조중환 오자키 고요 장한몽과 금색야차 줄에 대한 자료입니다.
본문내용
비교문학
「장한몽과 금색야차」
===========================
==========================
§ 목차 §
1. 서론
2. 두 작품 간의 외적비교
2.1. 작가
2.1.1. 일재 조중환
2.1.2. 오자키 고요
2.2. 소설과 신파극
2.3 번역과 번안, 그리고 가정소설
3. 두 작품 간의 내적비교
3.1. 외교 상황
3.2. 배경장소에 대한 인식
3.3. 경제적인 발전 정도
3.4. 내면의 구체화 정도
3.5. 여성에 관한 인식
3.5.1. 교육받은 여성
3.5.2. 여성의 정절
3.6. 공익에 대한 인식 차이
4. 결론
===========================
1. 서론
‘아름다운 이 땅에 금수강산에~’로 시작하는 이라는 노래가 있다. 제목처럼 약 100여명의 위인이 등장하는 이 노래에 유일하게 등장하는 두 명의 가상의 인물이 있으니 바로 이수일과 심순애다. 한국사의 유명 인물들이 나열된 이 노래에 온전히 허구의 인물들이 등장했다는 것은 바꿔 말하면 이수일과 심순애라는 두 인물이 그만큼 한국인에게 많은 영향을 끼친, 익숙하고 친근한 존재라는 사실을 일깨워준다. 이 뿐만이 아니다. 젊은 시절의 신성일과 윤정희가 나오는 신상옥 감독의 동명의 영화나 은방울 자매의 노래 역시 수일과 순애의 이야기를 다루고 있다. 대중문화의 양대 축이라 할 수 있는 영화와 가요가 같은 작품을 다루고 있다는 점에서 이수일과 심순애의 이야기, 즉 『장한몽』의 지속적인 인기를 알 수 있다.
연재 당시의 인기는 물론 훨씬 더 대단했다. 『장한몽』은 1913년 5월 13일부터 10월 1일까지 『매일신보』에 119회에 걸쳐 연재되었는데, “쟝한몽과 눈물 두 쇼셜은, 참미가 만어요, 신문이 좀 늣게 오면, 아조발광” 『매일신보』, 1913.8.2.
이 난다는 독자의 기록이 그 인기를 짐작케 한다. 또한 임화가 “우리 작가의 누구를 물론하고 이 속문학보다도 떨어지는 문학의 작가라고 불러짐으로 만족할 사람은 없을 것”이지만, “이수일과 심순애보다 훌륭한 전형적 인물을 창조한 사람이 누구이냐고 불러볼 때 ‘내다!’고 직답할 사람이 누구일지 나는 심히 의심스럽다” 『문학의 논리』, 학예사, 1940, 31~32쪽.
고 한 기록을 보면 일반 대중뿐만 아니라 당대 지식인들에게도 인정받고 있었다는 사실을 알 수 있다.
본고에서는 연재 당시 각 나라에서 선풍적인 인기를 끌었던 『장한몽』과 『금색야차』 두 작품을 비교·분석하고, 이를 통해 메이지 30년의 일본과 식민지 초기 조선의 상황에 대해 알아보고자 한다. 우선 두 작품을 둘러싼 외적 상황들을 비교하며 작가인 조중환과 오자키 고요의 일생을 조망해볼 것이다. 또한 두 작품 모두 신파극으로도 만들어졌다는 점에 착안하여 두 작품이 신파극으로 나타난 모습에 대해, 왜 신파극으로 만들어졌는지에 대해 다루어보고 장한몽이 번안소설로 만들어진 배경에 대해서도 알아보고자 한다.
작품 내적으로는 『금색야차』를 번안하는 과정에서 변한 부분이 무엇인지를 두 가지 시각으로 살펴보았다. 우선 작가가 식민지 조선인들의 취향과 그들에게 익숙한 환경을 작품 속에 나타냈다는 측면에서 작품을 살펴보고자 한다. 또한 그 작품을 실은 곳이 당시 조선 총독부의 기관지였던 『매일신보』라는 점을 감안했을 때 조선총독부의 의도가 반영된 측면도 있었을 거라 생각하였다. 본문의 3.1부터 3.4까지는 전자의 측면에 근거해서 살펴보았고, 3.5와 3.6은 후자의 시각에 좀 더 무게를 두어 살펴보았다.
2. 두 작품 간의 외적 비교
2.1. 작가
2.1.1. 일재 조중환 조중환의 생몰년과 행적은 박진영의 『일재 조중환과 번안소설의 시대』를 참조하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