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문어학 여우의 상징세계

 1  인문어학 여우의 상징세계-1
 2  인문어학 여우의 상징세계-2
 3  인문어학 여우의 상징세계-3
 4  인문어학 여우의 상징세계-4
 5  인문어학 여우의 상징세계-5
 6  인문어학 여우의 상징세계-6
 7  인문어학 여우의 상징세계-7
 8  인문어학 여우의 상징세계-8
 9  인문어학 여우의 상징세계-9
 10  인문어학 여우의 상징세계-10
 11  인문어학 여우의 상징세계-11
 12  인문어학 여우의 상징세계-12
 13  인문어학 여우의 상징세계-13
 14  인문어학 여우의 상징세계-14
 15  인문어학 여우의 상징세계-15
※ 미리보기 이미지는 최대 20페이지까지만 지원합니다.
  • 분야
  • 등록일
  • 페이지/형식
  • 구매가격
  • 적립금
자료 다운로드  네이버 로그인
소개글
인문어학 여우의 상징세계에 대한 자료입니다.
본문내용
여우의 상징세계
< 목차 >
Ⅰ. 서론
Ⅱ. 본론
1. 민속과 풍습에 나타나는 여우
2. 문헌에 나타난 여우
2.1. 고대 중국의 여우에 대한 관념
2.2. 우리의 역사에 나타난 여우
3. 구전설화에 나타난 여우
3.1. 여우변신설화에 나타난‘변신 모티프’의 의미
3.2. 여우변신설화의 유형 분류
3.3. 여우변신설화의 유형과 그 양상
3.3.1. 변신물퇴치(變身物退治)형
3.3.2. 신물획득(神物獲得)형
3.3.3. 변신교구(變身交)형
3.3.4. 변신원조(變身援助)형
Ⅲ. 결론
Ⅰ. 서론
선술집을 한 지 10년이 다 된 주인 여자는 여우가 다 됐다.
짙게 화장한 마담은 돈푼이나 있어 보이는 손님에게 여우 짓을 하고 있었다.
계집은, 그러나, 민 주사가 생각하고 있는 것보다도 훨씬 더 여우였다.
≪박태원, 천변 풍경≫
위의 예문은 우리가 흔히 쓰는‘여우’라는 어휘의 뜻을 잘 드러내고 있다. 아마도 우리는 일상생활에서 본래 동물의 이름을 지칭하는 의미로써‘여우’보다는 매우 교활한 사람이나 잇속이 밝은 영악한 사람 혹은 그런 행동 등을 함축적으로 담아 표현하고 싶을 때 더 자주 사용할 것이다. 그럼 왜 이렇게 여우가 부정적인 의미의 원형이 되어버렸는지 살펴볼 필요가 있을 것이다. 이 과정에서 여우가 내포하는 의미의 변천양태도 함께 살펴보면 여우의 상징에 대해 깊이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본고에서는 여우가 나타나는 모든 텍스트의 접근보다는 여우에 관한 모티프를 가진 설화에 한정하여 살펴보도록 하겠다.
Ⅱ. 본론
1. 민속과 풍습에 나타나는 여우
우리나라의 민속과 풍습에 나타나는 여우 식육목(食肉目) 개과에 속하는 한 종. 한자어로는 호(狐)라 한다. 학명은 Vulpes vulpes Peculiosa KISHIDA 이다. 우리나라에 분포된 여우는 유럽, 북아프리카, 아시아, 북아메리카에 널리 분포되는 ‘레드폭스’로 통칭되는 종류이다. 형태적으로는 일본산 여우와 북방여우와의 중간색형이며 다만 다른 점은 주둥이의 색깔이 일본산 여우에 비하여 엷어서 황갈색에 가깝다. 몸뚱이는 길고 콧날이 가늘고 뾰족하며 귀는 삼각형이다. 다리는 개보다 짧고 꼬리는 부슬부슬하고 길어서 발의 3배나 된다. 눈동자는 고양이처럼 세로로 길게 바늘모양으로 수축한다. 털색은 대체로 적갈색이나 가슴과 등은 희며, 앞다리는 몸뚱이의 빛깔보다 다소 어둡다. 몸의 길이는 60~90cm, 꼬리는 35~40cm, 어깨 넓이 35cm, 수컷의 몸무게는 6~10kg, 암컷은 5~8kg으로 평균 7kg이다. 『브리태니커 백과사전』
는 대부분 부정적인 형상으로 나타난다. 이는 원시사회의 신앙, 동물에는 정령이 있다는 믿음과 그것의 토템 토템이라는 말은 북아메리카 인디언인 오지브와족(族)이 어떤 종류의 동물이나 식물을 신성시하여 자신이 속해 있는 집단과 특수한 관계가 있다고 믿고 그 동· 식물류(독수리· 수달· 곰· 메기· 떡갈나무 등)를 토템이라 하여 집단의 상징으로 삼은 데서 유래한다. 이와 같이 인간집단과 동· 식물 또는 자연물이 특수한 관계를 유지하고 집단의 명칭을 그 동· 식물이나 자연물에서 따붙인 예는 미개민족 사이에서 널리 발견되고 있다. 『두산세계대백과』
화를 더 이상 믿지 않음으로써 생겨난 것이다. 즉, 삶의 실제 경험에서 이미 여우를 현실적인 동물이자 금수(禽獸)의 하나로 인식하게 되었음을 의미한다.
한국의 여우는 보통 개와 비슷하나, 몸이 홀쭉하고 주둥이가 길고 뾰족하고, 꼬리는 굵고 길며 털빛은 대개 누른 갈색과 붉은 갈색을 지닌다. 그리고 여우는 굴에 주로 사는데, 굴 파는 기술이 좋지 않아 오소리의 굴에 몰래 들어가 방뇨와 배변을 하여 굴을 빼앗는 교활한 습성과 일을 하지 않는 게으른 근성을 지녔다. 또한 여우는 실제로 매우 영리해, 위장술이 다른 동물보다 뛰어나며 특히 울음소리가 아이의 울음소리와 같아 사람도 잘 속는다고 한다. 그뿐 아니라 사람들이 여우를 잡으려고 화약을 묻거나 줄에 걸어두면 그것을 조심스럽게 파내거나 물어서 절벽에 버릴 줄도 알고, 웅크리고 있는 고슴도치를 앞발로 굴려 물에 넣어 놀라서 날뛰면 한쪽 발로 목을 누르고 다른 발로 껍질을 벗겨 먹는다. 이러한 여우의 습성은 여우가 영리하기 때문에 오래 살면 사람만큼 영리해지고, 아예 사람을 둔갑한다는 생각을 낳았다. 또한 여우는 주로 깊은 산속이나 야산의 공동묘지에 거주해 옛날에는 산에 수시로 여우가 출현해 고개 이름이‘여우 고개 ‘여우고개’는 호현(狐峴), 호고개현(狐古介峴), 호산제(狐山堤) 등 우리나라의 옛 지명에 나타난다. 민족문화추진회, 국역『신증동국여지승람』, 1971. 현재에도 전국적으로 지역마다 ‘여우 고개’가 있다. 재인용.
’인 것이 전국적으로 나타나고 있다. 이는 여우가 사람들의 생활권 가까이 근접해 살았음을 알게 한다.
이러한 여우의 생태가 사람들에게 알려지게 되면서 여우와 관련해 많은 부정적인 속신, 금기, 풍습 등이 만들어졌다고 여겨진다. 다음의 속담을 보면 이러한 인식을 더욱 극명하게 느낄 수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