월파 김상용 레포트

 1  월파 김상용 레포트-1
 2  월파 김상용 레포트-2
 3  월파 김상용 레포트-3
 4  월파 김상용 레포트-4
 5  월파 김상용 레포트-5
 6  월파 김상용 레포트-6
※ 미리보기 이미지는 최대 20페이지까지만 지원합니다.
  • 분야
  • 등록일
  • 페이지/형식
  • 구매가격
  • 적립금
자료 다운로드  네이버 로그인
소개글
월파 김상용 레포트에 대한 자료입니다.
본문내용
월파 김상용(月坡 金尙鎔)
1. 작가의 생애와 활동
월파(月坡) 김상용(金尙鎔)은 1902년 경기도 연천에서 2남 2녀 중 장남으로 출생했다. 누이동생 김오남은 시조시인이다. 부친 김기환은 한의사로서 한약방을 경영하는 한편, 1만여 평의 농지를 소유한 지주였다. 1917년 경성제일고등보통학교에 입학했으나 1919년 31운동이 일어나자 학생운동에 가담하였으며, 이 때문에 경성제일고등보통학교에서 제적되고 낙향한다. 연천에 있는 동안 결혼하고 그 뒤 보성고등보통학교에 입학하여 1921년 졸업했다. 그 후 일본 릿쿄(立敎)대학 영문과를 졸업(1927)하고 귀국하여 모교인 보성고등보통학교에서 교편을 잡는 한편, 이화여전에서 영문학 교수로 근무하기 시작했다.
월파는 1926년 『동아일보』에 시 「일어나거라」를 발표하면서 시작활동을 출발하였고, 그 뒤 「이날도 앉아서 기다려 볼까」,「無常」,「그러나 거문고의 줄은 없고나」등 을 발표하고, 『동아일보』와 잡지『신생』에 투르게네프, E.A.포, 바이런, 테니슨 등의 번역시를 발표하면서 본격적으로 문학 활동을 시작했다.
그의 시가 주목받기 시작한 것은, 1934년에 발표한 「남으로 창을 내겠오」를 비롯한 전원시풍의 시를 쓰면서부터였다. 1939년 『문장사』에서 시집『望鄕 『望鄕』에는 전원귀의를 지향하는 시 27편이 실려 있다. 맨 앞에 수록된 작품으로 전원 귀의 의지가 대표적으 로 나타나는 작품으로 「남으로 창을 내겠오」를 들 수 있다. -이건청 「남으로 창을 내겠오」
』을 출간했다.
1943년 일제의 탄압으로 영문학 강의가 폐지되자 이화여전을 사직하고 종로에서 장안화원(꽃집)을 2,3년간 경영하기도 했다. 광복 직후 강원도 지사로 임명되었지만 공무원이 체질에 맞지 않다고 여겨 수일 만에 사임했으며 이화여대 교수로 잠시 지내다가 1946년 미국에 건너가 보스턴대학에서 영문학을 연구했다. 1949년 귀국하여 이화여대에 복직하였으며 1950년, 사회와 현실에 대한 풍자적 시각을 담은 수필집 「무하선생방랑기 무하선생방랑기(無何先生放浪記)는 풍자적 경수필이다. 이 수필집에 실려 있는 작품들은 소설, 특히 콩트식 구성을 지니고 있는데, 이는 생활의 여유에서 비롯되는 은근하고 기지가 넘치는 웃음으로 요약된다. 1948년 보스턴 대학에서 영문학을 연구한 후 귀국하여 광복 후에는 과거의 관조적인 작품 경향에서 벗어나 인생과 사회에 대한 비판적인 안목을 보여주고 있다. -조용란(1991), 「김상용론」,한국비평문학회,비평문학
」를 『수도문화사』에서 간행했으며 이외에도 20여편의 산문집도 간행되었고 평론활동도 하였다.
1950년 전쟁이 발발하고 서울이 함락되자 그는 숨어 지내다, 928 수복 이후 공보처 고문을 역임하고 『코리아 타임즈』의 사장을 지내다가 1951년 6월 20일 부산에서 게를 먹고 식중독에 걸렸는데 그 이후 왕진을 온 의사의 잘못된 투약으로 인해 49세의 나이로 사망했다.
이상에서 보듯 그는 시조, 번역시, 수필, 평론, 번역희곡 등 다양한 장르에서 활발히 활동한 문학인이자 거의 모든 생애를 대학의 강단에서 학문과 창작으로 보낸 사람이다. 잘못되어 가는 사회 현실에 대하여 어느 정도 적극적인 자세만 취하였더라도 그가 지위를 유지하기는 어려웠을 것이다. 그는 반민족행위자로서 친일적인 작품 조선의 징병제 실시를 규정한 병역법 개정이 1943년 8월 1일부터 시행되면서 ‘국민총력조선연맹’은 7일까지의 일주일간을‘징병제 실시 감사 결의 선양주간’으로 정하고 대대적인 결의 선양대회를 벌였다. 이 일환으로 당시 조선총독부 기관지였던 매일신보는 8월 1일∼8일에 걸쳐 현역 화가들의 삽화를 겻들인 징병 축하시 「님의 부 르심을 받들고서」를 연재했다. 현역 시인 7명(김팔봉, 김용제, 김상용, 노천명, 김동환, 이하윤 등)이 같은 제목 으로 실었는데, 여기서‘님’은‘일본일왕’을, ‘부르심’은‘징병’인 것이다.
을 쓰기도 했다. 이는 당시의 상황을 고려하더라도 그의 교육자로서의, 또는 문인으로서의 인격에 오점으로 여겨지기도 한다.
2. 작품 활동 -김상용론 조용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