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디어비평] 광고 속의 여성 -tv광고의 섹스어필을 중심으로

 1  [미디어비평] 광고 속의 여성 -tv광고의 섹스어필을 중심으로-1
 2  [미디어비평] 광고 속의 여성 -tv광고의 섹스어필을 중심으로-2
 3  [미디어비평] 광고 속의 여성 -tv광고의 섹스어필을 중심으로-3
 4  [미디어비평] 광고 속의 여성 -tv광고의 섹스어필을 중심으로-4
 5  [미디어비평] 광고 속의 여성 -tv광고의 섹스어필을 중심으로-5
 6  [미디어비평] 광고 속의 여성 -tv광고의 섹스어필을 중심으로-6
 7  [미디어비평] 광고 속의 여성 -tv광고의 섹스어필을 중심으로-7
 8  [미디어비평] 광고 속의 여성 -tv광고의 섹스어필을 중심으로-8
 9  [미디어비평] 광고 속의 여성 -tv광고의 섹스어필을 중심으로-9
 10  [미디어비평] 광고 속의 여성 -tv광고의 섹스어필을 중심으로-10
 11  [미디어비평] 광고 속의 여성 -tv광고의 섹스어필을 중심으로-11
 12  [미디어비평] 광고 속의 여성 -tv광고의 섹스어필을 중심으로-12
 13  [미디어비평] 광고 속의 여성 -tv광고의 섹스어필을 중심으로-13
 14  [미디어비평] 광고 속의 여성 -tv광고의 섹스어필을 중심으로-14
 15  [미디어비평] 광고 속의 여성 -tv광고의 섹스어필을 중심으로-15
 16  [미디어비평] 광고 속의 여성 -tv광고의 섹스어필을 중심으로-16
 17  [미디어비평] 광고 속의 여성 -tv광고의 섹스어필을 중심으로-17
 18  [미디어비평] 광고 속의 여성 -tv광고의 섹스어필을 중심으로-18
 19  [미디어비평] 광고 속의 여성 -tv광고의 섹스어필을 중심으로-19
 20  [미디어비평] 광고 속의 여성 -tv광고의 섹스어필을 중심으로-20
※ 미리보기 이미지는 최대 20페이지까지만 지원합니다.
  • 분야
  • 등록일
  • 페이지/형식
  • 구매가격
  • 적립금
자료 다운로드  네이버 로그인
소개글
[미디어비평] 광고 속의 여성 -tv광고의 섹스어필을 중심으로에 대한 자료입니다.
목차
Ⅰ. 서론

1. 문제제기 및 연구목적


Ⅱ. 이론적 배경

1. 기호학 광고학

2. 페미니즘과 광고
1) 페미니즘 이론과 매체 연구
(1) 자유주의 페미니즘
(2) 급진주의 페미니즘
(3) 마르크스주의 및 사회주의 페미니즘
(4) 정신분석주의 페미니즘
2) 광고의 페미니즘 성찰
(1) 몸의 소비, 그리고 상품화
(2) 나르시즘적 환상
(3) 응시와 시선
(4) 통합적 여성상
3) 페미니즘적 대안


Ⅲ.연구결과

1. 연상적 섹스어필 광고
1)GS 홈쇼핑 광고
2)클라세 에어컨 광고

2. 기능적 섹스어필 광고
1) LG CYON 광고

3. 상징적 섹스어필 광고
1) 요맘때
2) SK주유소

4. 나르시즘적 섹스어필 광고
1) 올림푸스 광고



5. 부적절한 섹스어필 광고
1) 대한항공 광고
2) 포카칩


Ⅳ.결론 및 제언

1.결론 및 제언

2. 한 계 점
본문내용
Ⅰ. 서론

1. 문제제기 및 연구목적

지금 우리문화의 핵심어는 ‘몸’이다. 이효리 ・ 전지현 등 섹시함을 강조하는 스타들이 최고의 인기를 누리고 있는 것이 이를 잘 보여준다. 하지만 이런 ‘몸’의 문화는 외모지상주의의 문제점과 함께 인간의(특히 여성의) 상품화를 초래하게 된다. 왜 이런 현상들이 나타나는 것일까.
문화는 경제에서 자유로울 수 없듯이 ‘몸’의 문화도 자본주의란 안경을 통해 가장 잘 이해할 수 있다. 보드리야르는 사물은 사용 ・ 교환 ・ 기호 ・ 상징이란 네 개의 지위를 가지고 있는데 자본주의 사회에서는 사용가치가 아닌 교환가치가 중요시 된다고 하였다. 즉, 소비사회에서는 이용할 수 있는 모든 것을 경제적 가치로 환산하기 시작했고 인간 역시 이를 피해갈 수 없었던 것이다. 따라서 자본주의 사회에서 인간의 몸은 어떤 소재보다 매력적인 물건이 될 수 있었고, 문화를 통해 인간의 몸이 상품화되는 것을 정당화 시키는 것이다.
이와 같은 자본주의 사회에서의 몸의 문화를 이해하기 위해서 우리는 광고 속에 나타나는 여성의 이미지를 분석하고자 한다. 광고 속에 나타나는 여성의 이미지를 분석하는 이유는 다음과 같다. 첫째, 자본주의의 상징은 광고이다. 광고는 자본주의의 거울인 것이다. 둘째, 광고를 텍스트삼아 사회 현상을 분석하는 것은 안정되고 정확한 결과를 담보해 줄 수 있다. 광고 속에 나타나는 이미지들은 새로운 것들이라고 생각하기 쉽지만 실상 그렇지 않다. 광고에 사용되는 소재는 사회적 여과과정을 거친 것인데 이는 투자에 대한 확실한 이익을 요구하는 광고의 특성상 광고의 소재는 보수적일 수밖에 없기 때문이다. 셋째, 광고는 남성의 몸보다 여성의 몸을 더욱 이용한다. 현재는 남성의 몸에 관한 상품화도 많이 진전되어 있지만 여성의 몸을 이용한 광고의 양이 절대적으로 많다. 남성의 상품화는 진행형이라면 여성의 상품화는 완성형인 것이다. 따라서 안정적이고 정확한 분석을 위해 여성의 이미지에 관하여 분석하고자 한다.
광고 속에 나타나는 여성의 이미지분석을 통해 우리가 알아보고자 하는 것은 다음과 같다.
첫째, 광고 속에 나타나는 여성의 모습이 어떤 왜곡을 거치고 어떻게 표현되는지 분석해보고자 한다.
둘째, 페미니즘적 시각을 통해 자본주의의 표준화된 여성상에 대한 반성의 기회를 제기하고 이를 극복하기 위한 방안을 고찰해본다.
이를 위하여 2005년 TV광고 중 우리의 목적에 가장 부합하는 8편의 광고를 선정하여 바르트의 이론을 모방한 ‘기호학 중심의 신화’의 방법으로 분석한다.
참고문헌
․논문

박영원(2002. 겨울). 성적 소구 광고표현의 의미작용에 관한 연구 : 성적 소구 시각이미지의 사례분석을 중심으로. 『광고학 연구』. 13권 5호. 301~319.

백민숙․이희승(1996. 3). 페미니즘 관점에서의 의류광고에 대한 기호론적 연구. 『논문집』. 17호. 349~378.

이영자(1997). 소비광고 속의 남성과 신여성. 『성평등연구 1』. 1997. 2. 219~247.

원용진(2000.5). 성에 대한 편견과 왜곡된 재현, 그 상징적 폭력의 폭로. 『광고정보』. 230호. 74~79.

한은경(1995. 11). 광고에 나타난 여성이미지; 페미니즘을 성적 이미지로 연결. 『신문과 방송』. 299호. 16~20.


․단행본

강준만․박주하․한은경 (편역). (1994). 『광고의 사회학.』. 서울 : 한울.

김명혜․정기현․유세경 (편). (1999). 『대중매체와 성의 정치학』. 서울 : 나남.

김명혜․김훈순․유선영 (편). (1994). 『성․미디어․문화 - 여성과 커뮤니케이션』. 서울 : 나남.

김선남(2000). 『미디어 속의 여성 읽기』. 서울 : 일진사.

김선남(1997). 『매스미디어와 여성』. 서울 : 범우사.

김정탁, 염성원(2000년). 『기호의 광고학』. 서울 : 커뮤니케이션북스.

김홍탁(2003). 『광고, 리비도를 만나다』. 서울 : 동아일보사.

한은경․이동후 (편). (2003). 『미디어의 性과 像』. 서울 : 나남.


․번역서

Ann Brooks(1997). Feminism, cultural theory and cultural forms.
김명혜 옮김(2003). 『포스트페미니즘과 문화이론』. 서울 : 한나래.

Susan Bordo(1993). UNBEARABLE WEIGHT.
오늘 본 자료
더보기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해당 정보 및 게시물의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위 정보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에 신고해 주시기 바랍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