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후기구조주의] 포스트구조주의

 1  [후기구조주의] 포스트구조주의-1
 2  [후기구조주의] 포스트구조주의-2
 3  [후기구조주의] 포스트구조주의-3
 4  [후기구조주의] 포스트구조주의-4
 5  [후기구조주의] 포스트구조주의-5
 6  [후기구조주의] 포스트구조주의-6
 7  [후기구조주의] 포스트구조주의-7
 8  [후기구조주의] 포스트구조주의-8
 9  [후기구조주의] 포스트구조주의-9
 10  [후기구조주의] 포스트구조주의-10
 11  [후기구조주의] 포스트구조주의-11
 12  [후기구조주의] 포스트구조주의-12
※ 미리보기 이미지는 최대 20페이지까지만 지원합니다.
  • 분야
  • 등록일
  • 페이지/형식
  • 구매가격
  • 적립금
자료 다운로드  네이버 로그인
소개글
[후기구조주의] 포스트구조주의에 대한 자료입니다.
목차
1. 후기 구조주의란?

2. 구조주의와 후기 구조주의의 이론적 차이점
1) 기원
2) 어조와 문체
3) 언어에 대한 태도

3. 구조주의와 후기구조주의의 실제적 차이점

4. 후기구조주의 비평가들이 하는 일

5. 후기구조주의 비평가들
1) 롤랑바르트
2) 자크데리다
3) 자크라캉
4) 줄리아 크리스테바
5) 미국해체이론
6) 미셀 푸코와 에드워드 사이드

6. 실전으로 알아보는 해체주의 비평

7. 맺음말

본문내용
Ⅰ. 후기구조주의란?

포스트구조주의 비평 방법은 모든 문학 연구 방법론 가운데에서 가장 뒤늦게 생겨난 방법론이다. 이 접근 방법은 그 역사를 아무리 일찍 잡는다고 하여도 1960년대 후반을 넘어서기가 어렵다. 포스트구조주의란 글자 그대로 ‘구조주의 다음에’ 나타난 새로운 비평방법을 말한다. 물론 포스트구조주의와 구조주의의 관계는 얼핏 보이는 것처럼 그렇게 간단하지만은 않다. 어떤 이론가들은 이 비평방법을 구조주의가 논리적으로 발전한 형태(후기 구조주의)로 보는가 하면, 다른 이론가들은 오히려 구조주의에 대한 비판이나 그 대안(탈구조주의)으로 본다.
포스트구조주의 비평방법은 단일한 비평방법이 아니다. 물론 이러한 특성은 역사비평이나 심리주의 비평 또는 신화 비평과 같은 다른 접근 방법에서도 쉽게 찾아볼 수 있지만 특히 포스트구조주의 비평방법에서 훨씬 두드러지게 나타난다. 포스트구조주의는 모든 문학비평론 가운데에서 아마 가장 잡종적이고 가장 포괄적인 특성을 띠고 있다고 하여도 크게 틀리지 않는다.
롤랑바르트의 후기구조주의 이론을 비롯하여 자크데리다의 해체주의, 자크라캉의 정신분석, 비셀 푸코의 역사이론, 쥘드뢰즈와 펠릭스 가타리의 이른바 ‘정신분열 분석’, 그리고 더 나아가서는 쥘리아 크리스테바의 페미니즘 이론 따위가 모두 다 포스트구조주의라는 넓은 우산 속에 들어간다.

Ⅱ. 구조주의와 후기 구조주의의 이론적 차이점

1. 기원
구조주의의 뿌리는 언어학이다. 언어학은 우리가 정확하게 관찰하고 체계적으로 자료를 수집하여 논리적으로 추론한다면 언어와 세계에 대해 확실한 결론에 도달할 수 있다고 믿는다. 구조주의는 이렇듯 언어학이 내세우는 대담하리만큼 과학적인 관점을 그대로 계승한다.
이와는 대조적으로 후기구조주의는 철학에 기원을 두고 있다. 철학은 늘 그렇듯 사물에 대해 확실한 지식을 얻는 것이 얼마나 어려운가를 강조하는 학문이다. 철학적 사색은 대개 우리가 당연하다고 생각하는 사물의 질서와 체계에 이의를 제기하는 것으로부터 시작된다. 후기구조주의는 이러한 회의주의적 경향을 계승하여 한층 강화한다.

2. 어조와 문체
구조주의자들의 저작을 보면 추상화와 일반화로 치우치는 경향이 있다. 그들이 이상으로 삼는 어조는 어느 한쪽으로 치우침 없이 ‘과학적인 냉정함’을 잃지 않는 문체다. 구조주의는 언어학에 뿌리를 두고 있으며, 따라서 언어학의 방법론을 그대로 따르고 있다. 롤랑바르트가 1966년에 쓴 과 같은 논문은 이러한 어조와 문체의 전형으로, 질서정연한 해설에다 도표까지 갖춘 별도의 코너를 마련해놓고 있을 정도다.
반대로 후기구조주의 저작들은 훨씬 더 감정적인 경향이 있다. 어조는 팽팽한 긴박감과 함께 도취된 듯 들떠 있으며, 문체는 현란하고 저자의 자의식을 드러내는 말들로 온통 요란스럽다. 제목에는 말장난과 인유가 들어있기 일쑤고, 논쟁의 중심이 언어유희에 바탕을 두고 있는 경우도 다반사다.

3. 언어에 대한 태도
구조주의자들은 세계가 언어에 의해 구성된다고 생각한다. 왜냐하면 언어라는 매체를 통하지 않고는 실재에 접근할 수 없기 때문이다. 그러나 그들은 이러한 사실을 감수하고, 계속해서 언어를 사고와 인식의 도구로 이용하고자 한다. 결국 언어는 무질서한 체계가 아니라 나름의 질서를 갖춘 조직적인 체계이기 때문에, 언어에 의존한다고
참고문헌
피터베리, 한만수 역, 『현대문학이론 입문』,시유시, 2001.
이선영, 『문학비평의 방법과 실제』, 삼지원, 2001.
김욱동, 『광장을 읽는 일곱가지 방법』, 문학과 지성사, 1996
테리 이글턴, 김명환 외 역, 『문학이론 입문』, 창작과 비평사, 1989
크리스토퍼 노리스, 이기우 역, 『해체비평-디컨스트럭션의 이론과 실천』,한국문화사, 1986
빈센트 B. 라이치, 권택영 역, 『해체비평이란 무엇인가』,문예출판사, 1988
오늘 본 자료
더보기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해당 정보 및 게시물의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위 정보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에 신고해 주시기 바랍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