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여성학이론] 새로운 여성주체 형성을 위한 이론과 적용

 1  [여성학이론] 새로운 여성주체 형성을 위한 이론과 적용-1
 2  [여성학이론] 새로운 여성주체 형성을 위한 이론과 적용-2
 3  [여성학이론] 새로운 여성주체 형성을 위한 이론과 적용-3
 4  [여성학이론] 새로운 여성주체 형성을 위한 이론과 적용-4
 5  [여성학이론] 새로운 여성주체 형성을 위한 이론과 적용-5
 6  [여성학이론] 새로운 여성주체 형성을 위한 이론과 적용-6
 7  [여성학이론] 새로운 여성주체 형성을 위한 이론과 적용-7
 8  [여성학이론] 새로운 여성주체 형성을 위한 이론과 적용-8
 9  [여성학이론] 새로운 여성주체 형성을 위한 이론과 적용-9
 10  [여성학이론] 새로운 여성주체 형성을 위한 이론과 적용-10
 11  [여성학이론] 새로운 여성주체 형성을 위한 이론과 적용-11
 12  [여성학이론] 새로운 여성주체 형성을 위한 이론과 적용-12
 13  [여성학이론] 새로운 여성주체 형성을 위한 이론과 적용-13
 14  [여성학이론] 새로운 여성주체 형성을 위한 이론과 적용-14
 15  [여성학이론] 새로운 여성주체 형성을 위한 이론과 적용-15
※ 미리보기 이미지는 최대 20페이지까지만 지원합니다.
  • 분야
  • 등록일
  • 페이지/형식
  • 구매가격
  • 적립금
자료 다운로드  네이버 로그인
소개글
[여성학이론] 새로운 여성주체 형성을 위한 이론과 적용에 대한 자료입니다.
목차
Ⅰ. 들어가는 말

Ⅱ. 여성주체 형성의 이론 점검

1. 실존과 타자화된 여성
1) 보브와르의 이론과 미덕
2) 보브와르 이론의 한계

2. 성 차이와 여성주체
1) 근대와 탈근대의 경합
2) 이리가레이의 성 차이 이론과 강점
3) 이리가레이 이론의 한계

3. 경계 없는 현장과 여성주체
1) 모한티 이론과 현장의 실천성

Ⅲ. 차이와 실천에 기반한 새로운 여성주체의 형성

1. 차이와 실천의 정치학과 여성주체 형성의 이론

2. 한국사회에서 새로운 여성주체의 모색
1) 1980년대 이후 여성주체 논의의 흐름
2) 새로운 주체 형성의 가능성과 대안

Ⅳ. 나오는 말

본문내용
Ⅰ. 들어가는 말

여성인 나는, 여성인 우리는 누구인가? 이러한 여성 정체성에 관한 물음은 역사 속에서 여성의 존재가 철저히 가리워져 왔다는 현실 인식으로부터 출발했다. 남성중심의 역사로부터 빼앗긴 여성의 목소리를 되찾고, 여성이 사회적 행위와 인식의 주체로 바로 세워져야 한다는 여성들 스스로의 자각으로부터 시작된 것이기도 하다.
여성 정체성 이 글에서 여성 정체성이란 여성은 누구이며 무언인가에 대한 존재론적인 의미규정을 말한다.
과 주체성 이 글에서 여성 주체성이란 정체성으로 규정된 여성이 사회 행위와 인식의 주체로서 의식적으로 갖는 정체감을 말한다.
에 관한 언설들은 여성주의의 탄생과 함께 성장 과정 속에서 늘 자리하고 있던 명제였다. 여성의 정체성을 기반으로 하는 주체의 형성은 역사적 과정 속에서 여성주의의 정치적 그리고 실천적 문제와 맞닿아 있다.
그렇다면 구체적으로 여성의 정체성을 기반으로 하는 인식의 주체 즉 여성주체 고정갑희는 여성주체와 여성주의적 주체를 구분하고, 여성주체는 호명된 주체를 의미하지만 여성주의적 주체는 여성주체에서 출발하면서도 그것으로부터 거리를 둘 수 있는 의식화된 주체를 의미하는 것으로 주체생산의 가능성과 그 주체 생산이 정치성을 담보하는 주체라고 의미규정하고 있다(고갑희,1999:25). 이 글에서의 여성주체는 단순히 호명된 주체를 넘어 의식화되고 정치성을 담보로한 주체로 여성주의적 주체 개념까지 포함하는 포괄적 의미로 사용하고자 한다.
란 과연 무엇이며 어떻게 규정되어 왔는가? 이에 대한 입장과 해법들은 페미니스트들이 갖고 있는 사회 문화적 맥락과 다양한 위치 속에서 담론과 이론의 치열한 경합을 통해 만들어져 왔다.
“여성은 태어나는 것이 아니라 만들어진다”라는 유명한 명제를 탄생시키며 1949년 여성주의의 고전 「제 2의 성」을 집필한 보브와르는 여성주체 논의에 불을 지폈다. 보브와르 이후 자유주의, 급진주의, 마르크스 사회주의 페미니즘과 정신분석, 생태주의, 흑인 페미니즘 등 여성주의의 다양한 갈래 속에 여성주체에 대한 내용이 다르게 구성되어 왔다. 1980년대 이후 서구에서 진행된 포스트모던니즘의 물결 속에 여성주체에 대한 해체가 거론되었으며, 계급․ 민족․ 인종․ 성 등 여성들 사이의 다양한 차이에 주목하고 새로운 여성주체에 대한 모색이 진행되기도 하였다.
참고문헌
이소영․정경호 공편, 페미니즘과 포스트모더니즘, 1992, 한신문화사.
이영자, 2000, “대안적 패러다임으로서의 페미니즘 : 가능성과 딜레마”, 한국여성학 제 16 호, 한국여성학회.
이정순, 2000, “타자로서의 여성 - 시몬드 드 보브와르”, 페미니즘 어제와 오늘, 민음사.
장미경, 1996, 오늘의 페미니즘, 세계 여성운동, 문원.
-----, 1999. 페미니즘의 이론과 정치, 문학과학사.
조순경, 2004, “한국여성운동의 제도화와 여성운동 정체성”, 한국여성단체연합 여성운동 전 망팀 제 7차회의 ‘여성학자와의 만남’ 자료집
조주현, 2000, 여성정체성의 정치학, 또 하나의 문화.
태혜숙, 2001, 탈식민주의 페미니즘, 여이연.
-----, 1999, “몸의 정치, 성차의 윤리 - 뤼스 이리가라이”, 제 2호 여/성 이론, 여이연.
Alcoff, "Cultural Feminism versus Post-Structualism, SW.
Chodorow, "Family, Structure and Feminine Personality"
Mohanty, "Feminist Encounter: Locating the Politics of Experience", FTR
오늘 본 자료
더보기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해당 정보 및 게시물의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위 정보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에 신고해 주시기 바랍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