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논문] [국문학교육론] 창가(唱歌)의 학교 교육 현황과 교육방법론

 1  [논문] [국문학교육론] 창가(唱歌)의 학교 교육 현황과 교육방법론-1
 2  [논문] [국문학교육론] 창가(唱歌)의 학교 교육 현황과 교육방법론-2
 3  [논문] [국문학교육론] 창가(唱歌)의 학교 교육 현황과 교육방법론-3
 4  [논문] [국문학교육론] 창가(唱歌)의 학교 교육 현황과 교육방법론-4
 5  [논문] [국문학교육론] 창가(唱歌)의 학교 교육 현황과 교육방법론-5
 6  [논문] [국문학교육론] 창가(唱歌)의 학교 교육 현황과 교육방법론-6
 7  [논문] [국문학교육론] 창가(唱歌)의 학교 교육 현황과 교육방법론-7
 8  [논문] [국문학교육론] 창가(唱歌)의 학교 교육 현황과 교육방법론-8
 9  [논문] [국문학교육론] 창가(唱歌)의 학교 교육 현황과 교육방법론-9
 10  [논문] [국문학교육론] 창가(唱歌)의 학교 교육 현황과 교육방법론-10
 11  [논문] [국문학교육론] 창가(唱歌)의 학교 교육 현황과 교육방법론-11
 12  [논문] [국문학교육론] 창가(唱歌)의 학교 교육 현황과 교육방법론-12
 13  [논문] [국문학교육론] 창가(唱歌)의 학교 교육 현황과 교육방법론-13
 14  [논문] [국문학교육론] 창가(唱歌)의 학교 교육 현황과 교육방법론-14
 15  [논문] [국문학교육론] 창가(唱歌)의 학교 교육 현황과 교육방법론-15
 16  [논문] [국문학교육론] 창가(唱歌)의 학교 교육 현황과 교육방법론-16
※ 미리보기 이미지는 최대 20페이지까지만 지원합니다.
  • 분야
  • 등록일
  • 페이지/형식
  • 구매가격
  • 적립금
자료 다운로드  네이버 로그인
소개글
[논문] [국문학교육론] 창가(唱歌)의 학교 교육 현황과 교육방법론에 대한 자료입니다.
본문내용
[‘창가(唱歌)’의 학교 교육 현황과 교육방법론]
/
/
/
‘창가(唱歌)’의 학교 교육 현황과 교육방법론
< 차 례 >
Ⅰ. ‘창가(唱歌)’의 교육적 가치
Ⅱ. ‘창가(唱歌)’의 학교 교육 현황
1. 교육과정에 나타난 교수학습 요소 분석
2. 교과서에 수록된 ‘창가(唱歌)’의 실태 분석
Ⅲ. ‘창가(唱歌)’의 교수학습 방법 탐구
1. 「경부철도가」를 적용한 교수학습 방법
2. 「독립군가」를 적용한 교수학습 방법
Ⅰ. ‘창가(唱歌)’의 교육적 가치
갑오경장(1894)을 전후하여 이전의 가사 형식에 개화의 내용을 담은 개화 가사가 등장한 이후, 창가(唱歌)는 학교나 교회, 가정 등에 두루 계몽적인 내용을 다루는 창가가 두루 불렸다. 개화 가사와 신체시를 잇는 교량적 역할을 하였다는 문학적 전승의 의의를 지니지만, 여기에 많은 비중을 두고 교육하지 않는 것이 현실이다. 이에 따라 ‘경부철도가’, ‘권학가’, ‘한양가’ 등의 일부 작품만 문학사의 흐름에 맞추어 간략히 지도하는 경우가 많았다. 그러나 창가는 당시 사람들에게 두루 불리어졌다는 점에서 전파의 효과를 간과해서는 안되며, 그런 점에서 창가의 교육적 가치는 문학적 전승으로서의 형식적 가치보다는 그것이 담고 있는 내용적 가치가 더 부각될 필요가 있다. 김윤희(2012), 20세기 초 창가(唱歌) 『한양노래』의 창작 동인과 한양(漢陽) 표상의 특징, 인문과학연구 제34집(pp.73-97), 강원대학교 인문과학연구소
최근 창가 연구가인 김연갑 김연갑(58), (사)한겨레아리랑연합회 상임이사
에 의해 현존 창가집 가운데 가장 앞선 것으로 보이는 1910년 필사본 ‘애국창가집(唱歌ㆍ單/17x22cm/韓裝本)’이 언론 연합뉴스, 창가 전문가 김연갑 씨가 본 창가집 발굴 의미, 2012.10.25자
에 알려졌다. 필사 시기와 필사자, 소장자 이름이 밝혀진 창가집은 처음이라며 근대 시가와 애국창가, 독립운동사 연구에 획기적인 자료가 될 것이라고 평가했다. 이 창가집은 ‘정신가(精神歌)’부터 ‘건원절(乾元節·순종 탄신일) 경축가’까지 총14편을 담고 있다. 총14편 중 2장, 4장, 12장(이상 ‘애국가’)과 7장(‘학도애국가’)등 ‘애국가’ 이름의 창가가 4편에 달한다. 1907년에 작사된 것으로 추정되는 현행 애국가는 실려 있지 않다. 이는 1908년 이후 보급되기 시작한 ‘애국가’가 기독교계 학교 등 사립학교 학생들에게서만 제한적으로 불렸으며 널리 일반 백성에게는 전파되지 않았던 것으로 추정된다.
제1장 ‘정신가(精神歌)’는 처음에 ‘애국가’가 아닌 ‘정신가’를 실었다는 점에서 당시에는 ‘애국가’가 국가가 아니었음을 추측하게 한다. 또한 애국가란 명칭의 창가가 4편이나 있다는 것도 이를 입증한다. 수록 창가의 가사에 ‘동해’, ‘남산 초목’, ‘무궁화’, ‘삼천리’라는 단어가 나오는데, 이는 현재 애국가의 주요 단어이다. 또 애국가 4편의 경우 후렴이 제각각 다른 점, 12장 ‘애국가’의 후렴이 ‘무궁화 삼천리…’로 오늘의 애국가와 같다는 점도 매우 흥미롭다.


이러한 점에서 미루어 창가는 당시 민족의식의 고취를 위한 노력과 현재 애국가가 나오게 된 배경으로서 학생들에게 가르칠 교육적 가치가 있다. 단지 개화 문물을 전파하기 위한 계몽적 수단으로서의 의의를 넘어, 문학과 노래와 애국의식의 발로가 만들어낸 가치 있는 교육 자료이다.
Ⅱ. ‘창가(唱歌)’의 학교 교육 현황
1. 교육과정에 나타난 교수학습 요소 분석
오늘 본 자료
더보기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해당 정보 및 게시물의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위 정보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에 신고해 주시기 바랍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