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흔문학과 반사문학 중국 문화 이해 상흔문학 등장 배경 상흔문학 시작과 어원

 1  상흔문학과 반사문학 중국 문화 이해 상흔문학 등장 배경 상흔문학 시작과 어원-1
 2  상흔문학과 반사문학 중국 문화 이해 상흔문학 등장 배경 상흔문학 시작과 어원-2
 3  상흔문학과 반사문학 중국 문화 이해 상흔문학 등장 배경 상흔문학 시작과 어원-3
 4  상흔문학과 반사문학 중국 문화 이해 상흔문학 등장 배경 상흔문학 시작과 어원-4
 5  상흔문학과 반사문학 중국 문화 이해 상흔문학 등장 배경 상흔문학 시작과 어원-5
 6  상흔문학과 반사문학 중국 문화 이해 상흔문학 등장 배경 상흔문학 시작과 어원-6
 7  상흔문학과 반사문학 중국 문화 이해 상흔문학 등장 배경 상흔문학 시작과 어원-7
 8  상흔문학과 반사문학 중국 문화 이해 상흔문학 등장 배경 상흔문학 시작과 어원-8
※ 미리보기 이미지는 최대 20페이지까지만 지원합니다.
  • 분야
  • 등록일
  • 페이지/형식
  • 구매가격
  • 적립금
자료 다운로드  네이버 로그인
소개글
상흔문학과 반사문학 중국 문화 이해 상흔문학 등장 배경 상흔문학 시작과 어원에 대한 자료입니다.
본문내용
傷痕文學이 등장하게 된 배경
“문예는 절대적으로 반드시 정치에 부속되어야 한다”는 모택동(毛澤東)의 문예 사상이 개념화되고 공식화된 중국에서는 그 충돌이 더욱 격렬할 수 밖에 없었다. 중국은 그동안 정치적 목적에 따라 의도적으로 작가들의 창작자유를 방임 하다가 모택동 문예주의로 옭아 조이는 수축 정책을, 또는 수축에서 다시 방임정책을 번갈아 가며 실시했다. 이러한 수축과 방임 정책으로 인해 중국의 작가들은 커다란 재난을 겪어야만 했으며 1965년 겨울부터 시작된 ‘文化大革命’이 진행된 10년간은 중국 역사상 유래를 찾아 볼 수 없는 문예의 암흑시기 였다. 문혁이 모택동의 죽음과 4인방의 축출로 그 막을 내린 이후 화국봉 체제가 들어섰으며 , 77년 7월 등소평이 다시 등장 하였고 78년 11기 3중전회에서 ‘4개 현대화’가 국가목표로 최종적으로 결정되었다.
특히 78년의 전중회에서는 사상해방을 위하여 ‘百방침’을 다시 집행 한다는 내용을 공포 하였는 바 , 문예계는 이를 계기로 새로운 시기로 접어들게 되었다.즉 그동안 극심한 탄압과 굴레에 묶여 있던 지시인들이 다시금 그들의 자유로운 활동을 공식적으로 보장받게 되었고, 이에 따라 문단도 활기를 띠게 되었다. 문화대혁명 기간에 下放되었던 대분분의 작가들이 복권되었고 , 또한 새로운 작가들이 대거 등장함에 따라 갖가지 형태의 주제, 문학수법들이 당야하게 표출되고 문예이론들이 주장되었다. 이처럼 정권이 지식인들에 대한 족쇄를 풀어준 것은 기본적으로 정치적 필요에 의한 것이었다.
文革이후 四人幇에 대한 비판은 새로운 당 중앙의 혁명임무가 되었고, 관례에 따라 그들의 문예노선 역시 四人幇의 비판에 집중 되었다. 그러나 당장 문혁 그 자체가 부정된 것은 아니었다. 문혁은 모택동이 주동하였는데, 무엇이나 모택동의 관점을 기준으로 판단해서는 문혁은 결코 부정될 길이 없었다. 무엇이든 실제 상황을 기준할 때에만, 문혁이 중국의 국민에게 끼친 막대한 재해가 인정될 수 있고, 동시에 문혁의 부정이 가능하게 되며, 문혁이론에 상반되는 근대화노선의 추구가 합리화되는 것이다. 이러한 상황하에서 문예는 이를 위한 유효한 수단이 될 수 있었다.
傷痕文學의 시작과 어원의 유래
1)상흔문학의 시작과 어원의 유래
인민문학(人民文學)에(1978년 11월) 유심무(劉心武)가 담임 선생님(班主任)이 게재되었는데, 작가는 이 작품에서 상반된 두 인물을 통해 사인방이 청소년들의 심령과 사상에 끼친 해악과 그에 따르는 교육문제를 비판하고 있다. 이 작품을 기점으로 중국에서는 대량으로 傷痕계열의 작품이 쏟아져나와 일시를 풍미하였다.
원래 ‘상흔’(傷痕)이란 말의 출전은 上海 復旦大學 일학년생이었던 노신화(盧身)가 1978년 8월 11일 문회보(文匯報)에 게재했던 단편소설 제목 ‘상흔’(傷痕)이었다. 이 소설의 내용은 16세의 소녀 왕효화(王曉華)가 문화대혁명 때 반동분자로 몰린 어머니로 인해 9년 동안 당한 박해와 모녀간의 생리사별(生離死別)의 고통을 그린 것으로, 당시 대단한 반향을 불러 일으켰다. 문회보에서는 ‘상흔’ 소설을 의해 특별히 한차례 토론을 열기까지 했다. 이 자리에서 문회보(文匯報)의 편집자 풍목(馮牧)은 “傷痕”은 보편적 의의를 지니고 있는 문제를 꽉 잡고서 생활의 현상을 개괄하였다. 즉 4인방은 생산력을 어마어마하게 파괴했을 뿐만 아니라 당에 충성스런 간부들을 박해했고, 청년의 심령에 해악을 입혀, 보상되기 어려운 상처자국을 남겼다고 지적한 바 있다. 또한 화교 학자 허개욱(許芥昱) 미국 캘리포니아 주립대학 중국문학 토론회 석상에서 다음과 같이 말했다. “1976년 10월 이후 문학작품방면 에서는 단편소설이 가장 활발했으며, 대중의 주목을 가장 크게 받았다. 나는 이를 ‘Hurts Generations라고 부르는데 이것이 바로 ’상흔문학’ 이다. 왜냐하면 어떤 주목받는 소설제목이 상흔(傷痕)인데, 그 작가는 문혁 시기에 받았던 박해가 단지 심령과 육체의 박해만이 아니라 그것이 커다란 후유증을 남겼다고 회고하고 있다. 나는 이러한 종류의, 현재도 계속해서 부단히 사람들의 주의를 끌고 토론의 대상이 되는 문학을 상흔문학이라고 일컫는다” 여기에서 처음으로 ‘상흔문학’(傷痕文學)이란 용어가 사용되었으며 상흔문학의 주제가 무엇인지 밝혀지고 있다. 1978년 후반부터 중국의 각개 연령층의 작가들은 분분히 붓을 들어 문화대혁명 동안 겪어야만 했던 심신의 참상을 그리기에 바빴다. 그러므로 1978년 후반부터 1979년 초는 상흔문학의 풍성기라 할 수 있으며 대부분 단편소설이 그 주류를 이루었다.
2) 상흔문학의 특색
고난의 특징 : 침중(沈重) 하면서 경솔하지 않고, 비관(悲慣)하면서 황당하지 않은 점
이상주의적 색채 : 헌신의 정신으로서 이상 추구를 표현한 점
오늘 본 자료
더보기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해당 정보 및 게시물의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위 정보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에 신고해 주시기 바랍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