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어과 학습지도안 교육연극을 통한 정서적 언어 사용 능력 신장 이야기가 재미있어요

 1  국어과 학습지도안 교육연극을 통한 정서적 언어 사용 능력 신장 이야기가 재미있어요-1
 2  국어과 학습지도안 교육연극을 통한 정서적 언어 사용 능력 신장 이야기가 재미있어요-2
 3  국어과 학습지도안 교육연극을 통한 정서적 언어 사용 능력 신장 이야기가 재미있어요-3
 4  국어과 학습지도안 교육연극을 통한 정서적 언어 사용 능력 신장 이야기가 재미있어요-4
 5  국어과 학습지도안 교육연극을 통한 정서적 언어 사용 능력 신장 이야기가 재미있어요-5
 6  국어과 학습지도안 교육연극을 통한 정서적 언어 사용 능력 신장 이야기가 재미있어요-6
 7  국어과 학습지도안 교육연극을 통한 정서적 언어 사용 능력 신장 이야기가 재미있어요-7
 8  국어과 학습지도안 교육연극을 통한 정서적 언어 사용 능력 신장 이야기가 재미있어요-8
 9  국어과 학습지도안 교육연극을 통한 정서적 언어 사용 능력 신장 이야기가 재미있어요-9
 10  국어과 학습지도안 교육연극을 통한 정서적 언어 사용 능력 신장 이야기가 재미있어요-10
 11  국어과 학습지도안 교육연극을 통한 정서적 언어 사용 능력 신장 이야기가 재미있어요-11
 12  국어과 학습지도안 교육연극을 통한 정서적 언어 사용 능력 신장 이야기가 재미있어요-12
 13  국어과 학습지도안 교육연극을 통한 정서적 언어 사용 능력 신장 이야기가 재미있어요-13
 14  국어과 학습지도안 교육연극을 통한 정서적 언어 사용 능력 신장 이야기가 재미있어요-14
 15  국어과 학습지도안 교육연극을 통한 정서적 언어 사용 능력 신장 이야기가 재미있어요-15
 16  국어과 학습지도안 교육연극을 통한 정서적 언어 사용 능력 신장 이야기가 재미있어요-16
 17  국어과 학습지도안 교육연극을 통한 정서적 언어 사용 능력 신장 이야기가 재미있어요-17
 18  국어과 학습지도안 교육연극을 통한 정서적 언어 사용 능력 신장 이야기가 재미있어요-18
 19  국어과 학습지도안 교육연극을 통한 정서적 언어 사용 능력 신장 이야기가 재미있어요-19
 20  국어과 학습지도안 교육연극을 통한 정서적 언어 사용 능력 신장 이야기가 재미있어요-20
※ 미리보기 이미지는 최대 20페이지까지만 지원합니다.
  • 분야
  • 등록일
  • 페이지/형식
  • 구매가격
  • 적립금
자료 다운로드  네이버 로그인
추천자료
  • 말하기 개념,원리, 말하기 기능, 말하기 과정, 말하기영역 지도, 말하기영역과 상황에 맞게 말하기, 말하기영역과 말하기능력, 말하기영역 평가
  • [국어과 교육과정] 중학교 2학년 1학기 국어 교과서 분석 -읽기능력 검사도구 개발
  • 성 어거스틴의 고백록 서평
  • 유치원 1급 정교사 자격 연수 과정 분임협의결과보고서 - 동극활동을 통한 자기표현능력 신장(부제 - 나래- 나만의 날개를 펼쳐라)
  • 셰익스피어 맥베드 오셀로
  • 문화 목회 - 정의 개념 특징
  • 화법 정의,유형, 화법지도(화법교육)절차, 화법지도(화법교육)내용, 화법지도(화법교육)문제점, 화법지도(화법교육)사례, 화법지도(화법교육)방법
  • 영재교육,물레방아수업전략(교육전략), 웹기반수업,교육용소프트웨어활용수업전략(교육전략), 소집단협력탐구수업,의사소통능력신장영어수업전략
  • 구연동화(동화구연)의 정의와 요소, 구연동화(동화구연)의 기능, 구연동화(동화구연)의 가치와 정신, 구연동화(동화구연)의 효과, 구연동화(동화구연)의 기법, 구연동화(동화구연)의 지도, 구연동화(동화구연) 사례
  • [영어교육]영어교육 스토리텔링(구연동화, 동화구연)의 개념과 이론적 배경, 영어교육 스토리텔링(구연동화, 동화구연)의 선정기준과 활용기법, 영어교육 스토리텔링(구연동화, 동화구연)의 실제와 발전과제 및 제언
  • 소개글
    국어과 학습지도안 교육연극을 통한 정서적 언어 사용 능력 신장 이야기가 재미있어요에 대한 자료입니다.
    본문내용
    Ⅰ. 수업 연구 주제
    교육연극을 통한 정서적 언어 사용 능력 신장
    제7차 교육과정에서는 ‘문학’ 영역을 별도로 설정하여 교육 내용을 제시하는 주된 목적이 문학적 국어사용 능력 향상에 있다고 보고 있다. 문학 영역의 교수학습이 문학 또는 개별 문학 작품에 대한 해설과 기성의 문학적 해석을 단순 수용하도록 하는 데 중점이 있지 않고, 학습자의 적극적이고도 능동적인 작품의 해석과 비평 활동을 강조하여 문학적 목적으로 국어를 사용하는 능력을 질적으로 향상시켜 주어야 함을 강조하였다. 국어사용의 목적 중의 하나인 정서표현은 문학작품의 감상을 통해 이루어지는데, 학생들이 문학작품을 감상하면서 정서표현을 최대화 시킬 수 있는 방법으로 교육연극이 효과적일 것이다. 그 중에서도 교육연극의 하위 장르인 역할놀이는 학생들로 하여금 문제 상황을 탐색하고 실연하게 한 다음 토론하게 함으로써 민감한 가치나 정서, 문제 해결 능력, 의사소통 능력을 길러 주는 학습모형이다.
    재미있는 이야기를 듣거나 읽고, 주인공이나 사건에 대하여 비판하는 활동은 정서 표현의 중요한 부분이다. 그러나 이야기를 듣거나 읽고 생각한 점이나 느낀 점을 말할 때 수줍은 얼굴로 웅얼웅얼 하는 아이들, 수업에 흥미와 재미를 느끼지 못해 발표하기를 꺼려하는 아이들, 교사가 묻는 말에 표면적으로 간단한 대답은 하나 자신의 생각을 깊이 있게 표현하지 못하는 아이들을 볼 수 있다. 우리는 거의 태어나면서부터 이야기를 듣고 말하지만, 이렇듯 상대적으로 이야기를 이해하고 이야기에 대한 생각이나 느낌을 표현하는 활동이 교육적으로는 소홀히 다루어져 왔다.
    따라서 단순히 듣고 말하는 활동이 아닌 실제적인 상황에서의 말하기듣기 활동을 통하여 이야기를 이해하고, 감상 및 비판함으로써 상황에 맞게 말하는 능력과 정서적 언어 사용 능력을 길러야 한다. 정서적 언어 사용 능력 신장을 위한 방안으로 정적인 활동에만 국한하지 않고 역할놀이 등의 다양한 교육연극 활동들을 통해 이야기와 주인공을 깊이 있게 이해하여 자신의 생각을 표현하는 능력을 키우고자 한다. 역할놀이를 통해 인물의 입장과 태도를 좀 더 명확하게 파악하고 이야기를 좀 더 깊이 있게 이해하며, 그에 대한 자신의 생각이나 느낌을 구체적으로 말해 봄으로써 정서적 언어 사용 능력을 신장하고자 다음과 같이 지도하고자 한다.
    첫째, 아이들이 평소에 잘 알고 있는 동화 속 인물이 되어서 교육연극의 사진 기법(정지 동작)과 터치기법(인물에 맞게 즉흥적으로 한 두 마디의 대사 만들기)을 이용하여 이야기에 나오는 인물에 어울리는 목소리, 몸짓, 표정으로 표현하고 어떤 장면인지 알아맞히는 게임을 통해 동기를 유발한다.
    둘째, 각 모둠별로 인물에 어울리는 목소리, 몸짓, 표정으로 역할놀이를 연습하고 전체 실연을 해 본다. 그런 다음 인물이 한 일에 대하여 생각이나 느낌을 등장인물이 되어 주고받으며 토론해 보도록 한다. 이러한 활동을 통하여 인물의 입장, 태도를 좀 더 명확하게 파악하고, 이야기를 깊이 있게 이해할 수 있도록 한다.
    셋째, 만약 내가 이야기 속 인물이라면 어떻게 행동했을지 말 해 봄으로써 문제 상황을 자신의 경험에 연관 지어 내면화하고 감상, 비판하는 정서적 언어 사용 능력을 기른다.
    Ⅱ. 단원 : 2-2-둘째 마당. 이야기가 재미있어요
    1. 단원의 개관
    이 단원은 정서 표현을 위한 언어 사용의 목적으로 언어활동을 하게 된다. 이야기를 듣거나 읽고 자기의 생각이나 느낌을 표현하고, 이야기에 이어지는 내용을 상상할 수 있는 상상력과 표현력을 기르도록 설정하였다.
    말하기듣기에서는 이야기에 대한 이해를 바탕으로 그에 대한 자신의 생각과 느낌을 말하여 보는 활동으로 구성하였다. 이야기 이해를 위하여 인물이 한 일에 주의하여 듣고, 인물이 한 일에 대해 자신의 생각과 느낌을 말해 보는 활동을 한다. 읽기에서는 친숙한 전래 동화를 제재로 글의 앞뒤 내용과 연관 지어 중간 부분을 상상하는 활동을 함으로써 상상하는 즐거움을 맛보도록 한다. 이야기에 이어질 내용 상상하기에 즐겁게 참여하여 상상력을 확대하는 계기가 되도록 하였다. 쓰기에서는 상상력과 사고력을 바탕으로 이어질 내용을 꾸며보는 활동이 중심이 된다. 그리고 이 활동을 위한 준비 활동으로 꾸며 주는 말을 적절히 사용하는 것을 배우게 된다. 이어질 내용은 내가 아는 이야기의 뒷이야기를 이어보는 활동과 모르는 이야기의 뒷부분을 이어보는 활동으로 구성하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