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930년대 한국 현대시의 모더니즘과 정지용

 1  1930년대 한국 현대시의 모더니즘과 정지용-1
 2  1930년대 한국 현대시의 모더니즘과 정지용-2
 3  1930년대 한국 현대시의 모더니즘과 정지용-3
 4  1930년대 한국 현대시의 모더니즘과 정지용-4
※ 미리보기 이미지는 최대 20페이지까지만 지원합니다.
  • 분야
  • 등록일
  • 페이지/형식
  • 구매가격
  • 적립금
자료 다운로드  네이버 로그인
소개글
1930년대 한국 현대시의 모더니즘과 정지용에 대한 자료입니다.
본문내용
1930년대 한국 현대시의 모더니즘과 정지용
▷▶1930년대 모더니즘 경향에 대해 -"새로움에 대한 도전"
1930년대 모더니즘 운동은 1920년대 중반 경에 부분적인 징후만을 보이다가 1930년대에 이르러 집단적인 시운동의 형태를 갖추게 된다. 즉 한국 현대 시문학사에 있어서 모더니즘 운동은 1926년경에 이미 배태되어 있었다고 볼 수 있겠다. 김광균과 정지용 등의 1920년대 후반의 시작 경향이 그것을 대변한다. 일찍부터 모더니즘풍의 실험 시를 쓴 바 있던 정지용은 대상을 선명하고 감각적인 이미지로 묘사해 내는 데 남다른 재주를 보였다.
1930년대 한국의 역사적 모더니즘은 당대의 특수한 정세 즉 일본 자본주의 전성기하에서의 사회 문화적 충격에 대한 젊은 시인 작가들의 문학적 대응형식이었다. 그것은 1930년대 초기의 정치적 상황의 악화에 따른 카프 중심의 리얼리즘 문학이 상대적 침체기에 접어들면서 대두된 문학으로서 그 이면에 작용하고 있는 문학과 사회와의 긴장관계를 고려하지 않고서는 제대로 파악되지 않는다. 모더니즘 문학은 현실의 충실한 반영과 역사 속에 상승하는 집단의 세계관의 표현보다는 문학적 대상에 대한 새로운 인식과 그 미적 가공기술의 혁신 및 언어의 세련성을 추구하여, 문학의 새로운 활로를 모색하고자 한, 몇 사람의 진보적인 시인 작가들에 의해 추진된 당대의 제도권내에서의 새로운 문학으로서 1941년 태평양전쟁이 일어나기 전까지 지속되었다.
모더니즘의 특징을 들자면 첫째 급격한 도시화의 과정 속에서 자라난 근대도시 제1세대 시인 작가들의 집단인 ‘구인회’를 중심으로 전개되었다.
둘째, 문학이론상으로 모더니즘은 예술형식의 역사적 변화에 따른 근대성을 자각하고 문학의 내용보다는 그 형태적인 새로움에서 근대 문학의 성격을 발견하고자 하였다.
셋째, 문학작품 면에서 볼 때 모더니즘은 도시적 생존방식과 새로운 언어 감각과 실험의식을 결합한 일종의 도시문학을 탄생시켰다. 이들은 도시적 소재의 작품만을 제작한 것은 아니었지만, 모더니즘 문학의 성격은 도시적 소재를 새로운 각도에서 인식하고 새로운 방법으로 가공한 산문시, 장시 등의 도시문학 형식에서 생생하게 드러난다. 이들은 도시를 중심으로 한 근대문명을 작품 속에 적극 수용하였는데, 그 결과 문학에 대한 관념과 작품 자체의 질적인 변모를 가져왔다. 근대문명의 감각적 인상을 묘사한 풍경시(정지용, 김광균)등이 있다. 일본 자본주의의 충격으로 나타난 이러한 문학에 대한 관념과 문학 자체의 변모는 모더니즘 문학이론과는 별도로, 각 시인, 작가들의 도시적 생존과정과 그 문학적 표현과정에서 야기되었는데, 30년대 모더니즘 문학의 가장 중요한 특성을 이루는 것이 이것이다.
넷째, 모더니즘은 작품형식의 새로움 외에 그 작품의 내적 깊이와 내용상의 사회성 획득은 부분적인 성과밖에 거두지 못하였다. 일본 자본주의의 사회 문화적 충격을 극복하고 새로운 문학의 방향을 정립하기에는 이들 도시세대의 지적, 철학적 이념의 기반이 허약하였다.
1)서준섭, 한국모더니즘 문학연구 :一志社, 1991 p.114 ~116
▷▶정지용의 시세계 - “민족의 기억에 빛날 시의 성좌(星座) 정지용의 시”
정지용 시 세계의 특징은 세 가지로 나누어 말할 수 있다. 첫째, 시어 구사의 탁월한 감각을 지녔다는 점 둘째, 시의 형식면에서 전통적인 기승전결 구성법에 기초한 2행의 단시형과 동시로서는 독특한 줄글식 산문시형을 보여주었다는 점 셋째, 시인의 감정이 시에 노출되는 것을 엄격히 배제한 대상묘사의 이미지즘의 시 세계를 보여주었다는 점이다. 그는 시어를 고르고 다듬는 데 세심한 노력을 기울였다. 일상에서 흔하게 사용되지 않는 고어나 방언을 시어로 폭넓게 활용하고, 언어를 독특하게 변형시켜 자신만의 시어로 개발했다. 시의 형식면에서 지용은 2행 1연으로 된 단시형을 즐겨 썼다. 또 줄글식 산문시형도 즐겨 썼는데, 이들 작품은 쉼표나 마침표 없이 문장이 종결되지 않고 계속 이어지는 연계적 구성을 보여준다. 20년대 소월이 자아표출을 통하여 자기 감정을 과다하게 노출한 감상적 낭만주의의 경향을 보였다면, 지용은 대상의 뒤에 자신을 숨기고 대상을 정확하게 묘사하는 모더니즘-이미지즘의 시 세계를 열어 보였다.
오늘 본 자료
더보기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해당 정보 및 게시물의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위 정보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에 신고해 주시기 바랍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