교사 전문성 - 교육전문가로서의 교사에 대한 논의

 1  교사 전문성 - 교육전문가로서의 교사에 대한 논의-1
 2  교사 전문성 - 교육전문가로서의 교사에 대한 논의-2
 3  교사 전문성 - 교육전문가로서의 교사에 대한 논의-3
 4  교사 전문성 - 교육전문가로서의 교사에 대한 논의-4
 5  교사 전문성 - 교육전문가로서의 교사에 대한 논의-5
 6  교사 전문성 - 교육전문가로서의 교사에 대한 논의-6
 7  교사 전문성 - 교육전문가로서의 교사에 대한 논의-7
 8  교사 전문성 - 교육전문가로서의 교사에 대한 논의-8
 9  교사 전문성 - 교육전문가로서의 교사에 대한 논의-9
 10  교사 전문성 - 교육전문가로서의 교사에 대한 논의-10
 11  교사 전문성 - 교육전문가로서의 교사에 대한 논의-11
 12  교사 전문성 - 교육전문가로서의 교사에 대한 논의-12
 13  교사 전문성 - 교육전문가로서의 교사에 대한 논의-13
 14  교사 전문성 - 교육전문가로서의 교사에 대한 논의-14
※ 미리보기 이미지는 최대 20페이지까지만 지원합니다.
  • 분야
  • 등록일
  • 페이지/형식
  • 구매가격
  • 적립금
자료 다운로드  네이버 로그인
추천자료
  • 장학담당자의 자질과 역할에 관한 논의go
  • (복지기관 자원봉사 및 체험 실습보고서) - 사회복지기관을 다녀와서..
  • [교원][교사]교원(교사) 개념,전문성, 교원(교사) 업무,복무규정, 교원(교사) 징계,복지후생권, 교원(교사) 정책 과제 분석
  • 학급담임교사(담임교사,학급담임)역할,활동영역, 학급담임교사(담임교사,학급담임)생활지도,참고사항, 학급담임교사(담임교사,학급담임)학생사고사례
  • [교육학] 학급담임의 임무 [A++]
  • [장학] 장학, 교과장학, 교내장학, 학교자율장학 심층 분석
  • [교사의 전문성]지식기반경제사회에 따른 교사의 전문성 요구, 지식정보화사회에 따른 교사의 전문성 요구, 교사지도방식에 따른 교사의 전문성 요구, 학생과 교사사이 지식수준에 따른 교사의 전문성 요구 분석
  • [진로교육] 진로교육(진로지도)의 이론과 원리, 초등학교진로교육(진로지도)의 필요성, 초등학교진로교육(진로지도)의 목표, 초등학교진로교육(진로지도)의 현황과 문제점, 초등학교진로교육(진로지도)의 방법과 개선 방안 분석
  • [진로교육] 진로지도(진로교육)의 의미, 초등학교진로지도(진로교육)의 필요성과 목표, 초등학교진로지도(진로교육)의 실태, 초등학교진로지도(진로교육)의 쟁점, 초등학교진로지도(진로교육)의 개선 과제 분석
  • [진로교육] 초등학교진로교육(진로지도)의 목표와 원리, 초등학교진로교육(진로지도)의 역할분담과 방법, 초등학교진로교육(진로지도)의 실태, 초등학교진로교육(진로지도)의 문제점과 개선 방안 및 제언 분석
  • 소개글
    교사 전문성 - 교육전문가로서의 교사에 대한 논의에 대한 자료입니다.
    본문내용
    교사 전문성
    -교육전문가로서의 교사에 대한 논의.
    서론.
    며칠 전, 나는 뉴스를 통해 충격적인 교권 추락 실태를 보았다. 충북 청원의 모 고등학교에서 교내 휴대전화 사용 등의 문제로 학교 지도교사에게 꾸지람을 들은 이 학교 3학년의 남학생이 어머니와 함께 학교의 조처에 항의하며 전학 수속을 마친 뒤, 3학년 부장 교사에게 폭언·욕설을 퍼부었다. 이어 이 모습을 휴대전화로 찍던 다른 교사를 바닥에 넘어뜨린 뒤 20여 차례 때린 사건이었다. 교권 추락에 대한 매스컴의 보도는 간혹 듣고 있었지만 최근 들어 교사를 직접적으로 부모와 학생이 폭행하는 사건이 많아지자, 나는 충격을 받았다. 한 때는 스승의 그림자도 밟지 않은 시절도 있었다. 나의 학창시절에는 늘 억압적인 교사에게 내 의견을 제대로 펼치지 못했지만, 교사에게 받는 강압이 너무나 당연하게 여겨졌다. 더욱이나 교사에게 욕설이나 폭행은 생각도 하지 못했던 일이다. 물론 그 때 그런 점이 좋았던 건 아니지만, 부모님과 같은 교사를 폭행하는 사건이 빈번히 일어난다는 것은 지금의 교실에선 더 이상 교권(敎勸)이 거의 없음을 나타내준다. 절대적이던 교사의 권력은 이제는 학생, 학부모, 사회, 국가로부터 소홀히 대접받고 있다. 학부모들은 더 이상 교사를 존경하지 않으며, 교사들의 정년, 봉급, 방학 등을 따지며 그에 걸맞는 책임을 요구하는 듯하다. 게다가 매스컴에서는 연일 교실붕괴, 교사권위 실추, 사교육 팽배 등 한국 교육의 문제점에 대해 지적하는 내용이 보도되고 있다. 간혹은 학부모의 문제점이 드러나는 사건도 있지만, 이러한 교육의 문제점 대다수는 교사에게서 일어난 것으로 여겨진다. 유교 국가라 교사의 영향력이 절대적이던 불과 몇 년 전까지의 상황은 이제, 단지 교사도 또 다른 직업인으로만 보고 있다. 심지어는 사설 학원이나 수능방송의 교사를 더 신봉하여, 학교 교사의 전문성까지 의심하고 있다. 또한 교사도 교사대로 교직에 대한 회의와 환멸감을 느끼며 학생-교사간의 이러한 위태한 관계가 한국 교육의 현 주소가 아닐까 싶다.
    교사의 전문성이 추락한 까닭은 무엇일까? 교사가 진정한 전문인이 되기 위해서는 어떤 점들을 갖추어야 할지 의문이 들었고, 그 대답을 [교사 전문성]이라는 책을 통해 찾을 수 있었다.
    본론.
    먼저 교사 전문성에 대해 말할 때, 다음의 서로 다른 세 가지의 의미를 염두에 두고 논하는 경향이 있다. 첫째, 교사의 전문적 지식(professional knowledge)에 대한 것으로, 교사가 갖추어야 할 전문적 지식이 무엇이며, 그것이 어떻게 조직되고 개발될 수 있는지에 관한 것이다. 둘째, 교사들의 전문화(professionalization)에 대한 것으로, 교사라는 직업이 사회학적인 의미에서 직업이 되는 과정, 예컨대 다른 직업과 구분이 되는 상당한 정도의 자율성을 가져야 한다거나 장기간의 대학교육을 거쳐야 한다는 것 등에 관한 것이다. 마지막으로는 교사 전문성(professionalism)에 대한 것으로, 주로 교사가 수행하는 일의 성격에 관심을 갖는 것이다. 이를 종합하면 교사가 갖추어야할 전문성이란 교직을 하나의 직업인이라고 보는 사회적 통념이 반영된 의미로서, 모든 전문직종이 가지고 있는 직업인으로서 전문적 기술이나 지식을 지칭한다. 따라서 교사의 전문성에는 수업을 위한 전문적 기술이나 수업에 대한 지식 등에만 국한된 의미가 아닌 교사라는 직업에 종사하는 사람이 갖추어야 할 총체적 전문성이라는 의미로서 교과지도, 생활지도, 특별활동 지도, 업무 능력, 태도 등이 모두 포함된다. 위에서 언급한 것처럼, 교사는 맡은 교과목에 대한 전문적인 지식만 있다고 그 역할을 수행해낼 수 있는 것이 아니며, 생활지도, 특별활동 지도 등의 또 다른 업무를 가지고 있고, 이것이 전문성과 연관되어 나타난다.
    1. 교육에서 효율성과 전문성
    교육적 열정을 가진 교사는 성공적인 교육성취를 이루어낸 학교들에서 공통적으로 찾을 수 있는 특징이다. 열정적인 교사들도 교육가능성에 대한 확고한 의지를 갖고 있으며 현상을 치밀하게 분석하고 해석할 뿐만 아니라 세심하게 준비한 후 수업장면에 적극적으로 다가간다. 이들은 자신들이 구상(構想:conception)과 실행(實行:execution)에 대한 평가에 귀를 기울이며 신랄한 비판에도 의연하게 대처한다. 열정이 많은 교사의 일상적 행동을 분석해 보면, 우리는 이 열정이 전문성을 의미하는 것임을 쉽게 알 수 있다. 개별학생들의 현실을 세세하게 파악하고 문제를 정확하게 진단함으로써 각 학생들에게 적합한 교육적 처방을 내리며 적절하게 조치하고 있다. 수업과 학생지도에 임하는 교사들의 전문성(專門性)이 높아질 때, 교육의 효율성도 반드시 상승한다. 그러나 교직의 효율화를 위해 교수-학습 과정에 깊숙이 개입되는 기술공학적 조치들은 교육의 효율화나 교사의 전문화와 상치될 수 있다.
    교사의 전문성 개발을 위해 교육인적자원부는 ‘교사 평가’의 필요성을 주장한다. 분명 교사 평가는 필요하나 평가와 함께 교사들이 평가에서 좋은 결과를 낼 수 있도록 적극적으로 지원하는 것이 병행되지 않는다면, 교사 평가는 전문성 개발이 아니라 심사와 상벌의 도구로 전락할 것이다. 교육인적자원부는 교사들을 평가하기에 앞서 전문성 향상을 위한 지원을 반드시 해야 한다. 수준 높은 교육의 이름 아래 진행되는 수업의 표준화(standardization)는 교사의 탈전문화와 직결되어 있다. 교사의 전문성 위기는 교직 내부의 안일함과 교직 외부의 도전에 의해서 초래되고 있다. 저자가 말하는 전문성은 입문에 요구되는 자격조건이나 전문 직업조직의 내부에서 주장하는 조건을 넘어서며 입문 후 서비스를 제공받는 사람들의 요구를 반영한 것이다. 게다가 사회는 교사들에게 책임과 봉사를 기반으로 한 실현된 전문성을 요구한다.
    2. 학교 교육의 현실 : 상식과 사실
    (1) 학교와 교실의 현실
    교육 분야에서도 탈 전문화가 진행되고 있으며 심지어 탈 기술화를 우려해야할 시점이 되었다. 아직도 한국 교육계는 현실의 심각성을 깨닫지 못한 채 교사의 전문성을 보장받아야 할 특권처럼 감성적으로 주장하고 있다. 교육대학이나 사범대학의 졸업장이 교육활동의 전문성을 보장해주지 않는다.
    오늘 본 자료
    더보기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해당 정보 및 게시물의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위 정보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에 신고해 주시기 바랍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