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글쓰기 소논문] 의병, 독립신문, 만민공동회 - 독립신문의 의병 보도에 대한 재검토

 1  [글쓰기 소논문] 의병, 독립신문, 만민공동회 - 독립신문의 의병 보도에 대한 재검토-1
 2  [글쓰기 소논문] 의병, 독립신문, 만민공동회 - 독립신문의 의병 보도에 대한 재검토-2
 3  [글쓰기 소논문] 의병, 독립신문, 만민공동회 - 독립신문의 의병 보도에 대한 재검토-3
 4  [글쓰기 소논문] 의병, 독립신문, 만민공동회 - 독립신문의 의병 보도에 대한 재검토-4
 5  [글쓰기 소논문] 의병, 독립신문, 만민공동회 - 독립신문의 의병 보도에 대한 재검토-5
 6  [글쓰기 소논문] 의병, 독립신문, 만민공동회 - 독립신문의 의병 보도에 대한 재검토-6
 7  [글쓰기 소논문] 의병, 독립신문, 만민공동회 - 독립신문의 의병 보도에 대한 재검토-7
 8  [글쓰기 소논문] 의병, 독립신문, 만민공동회 - 독립신문의 의병 보도에 대한 재검토-8
 9  [글쓰기 소논문] 의병, 독립신문, 만민공동회 - 독립신문의 의병 보도에 대한 재검토-9
 10  [글쓰기 소논문] 의병, 독립신문, 만민공동회 - 독립신문의 의병 보도에 대한 재검토-10
 11  [글쓰기 소논문] 의병, 독립신문, 만민공동회 - 독립신문의 의병 보도에 대한 재검토-11
 12  [글쓰기 소논문] 의병, 독립신문, 만민공동회 - 독립신문의 의병 보도에 대한 재검토-12
 13  [글쓰기 소논문] 의병, 독립신문, 만민공동회 - 독립신문의 의병 보도에 대한 재검토-13
 14  [글쓰기 소논문] 의병, 독립신문, 만민공동회 - 독립신문의 의병 보도에 대한 재검토-14
 15  [글쓰기 소논문] 의병, 독립신문, 만민공동회 - 독립신문의 의병 보도에 대한 재검토-15
 16  [글쓰기 소논문] 의병, 독립신문, 만민공동회 - 독립신문의 의병 보도에 대한 재검토-16
※ 미리보기 이미지는 최대 20페이지까지만 지원합니다.
  • 분야
  • 등록일
  • 페이지/형식
  • 구매가격
  • 적립금
자료 다운로드  네이버 로그인
소개글
[글쓰기 소논문] 의병, 독립신문, 만민공동회 - 독립신문의 의병 보도에 대한 재검토에 대한 자료입니다.
목차
1. 서론 - ‘부왜역적 기관지’와 ‘민족 신문’의 이분법

2. 《독립신문》의 의병 보도
1) 의병 보도의 양상과 추이
· 2) 죽거나 혹은 나쁘거나:《독립신문》의 의병 보도 유형
3. 《독립신문》의 ‘의병’ 개념과 1896년 의병 비판
1) 《독립신문》의 ‘의병’ 개념
2) 재화를 탕진시키는 “도적들”
3) “이성과 법률을 가지고 시비를 의론해야”
4. 《독립신문》의 독립협회와 만민공동회 보도
1) 독립협회 및 만민공동회 보도의 양상
2) 만민공동회: 새로운 대중적 의사표현의 등장

5. 결론 - 의병,《독립신문》, 만민공동회: 난(亂)에서 시위(示威)로

본문내용
1896년에서 1898년까지의 3년간은 한국 근대사에서 매우 중요한 움직임들이 혼재했던 시기였다. 청일전쟁 승리 이후 조선에서 압도적인 지위를 차지하고 있었던 일본의 영향력이 삼국간섭과 아관파천으로 어느 정도 제한되고, 삼국 간섭을 주도한 러시아의 영향력이 커지면서 한반도에서 열강의 세력이 재편되기 시작했다. 전인권, “《독립신문》의 재해석과 한국의 사회과학”, 독립신문 다시 읽기: 독립신문 사설선집, 서울대 정치학과 독립신문강독회, 서울:푸른역사, 2004, p.431.
개항 이후 조금씩 유입되던 근대 문물들은 갑오개혁 이후 일본의 주도하에 전차, 태양력, 우편 제도, 재판 제도 등이 조선 사회에 본격적으로 도입되면서 조선인들의 삶을 변화시키고 있었다. 한편에서는 항일 의병의 시원으로 평가되는 1896년 의병(일명 ‘을미의병’)이 을미사변(乙未事變)과 단발령을 계기로 봉기해 복수보형(復讐保形:시해당한 왕후의 복수를 하고 단발하지 않은 채 신체를 보존한다는 뜻)과 반러배일(反露排日)을 내걸고 활동을 펼치고 있었다. 이상찬, “1896년 의병운동의 정치적 성격”, 서울대학교 박사학위논문, 1996, p.9.

가장 주목할 만한 움직임은 《독립신문》과 독립협회, 그리고 이 둘의 주도로 이루어진 만민공동회를 통해 일어났다. 1896년 4월 7일 창간된 한국 최초의 근대적 민간 신문인《독립신문》은 문명개화와 자주독립이 열강 틈바구니에 있는 조선이 부강해지기 위한 지상 과제라고 주장하고, 조선에 자주적 근대국가를 건설하는 것을 목표로 삼아 정력적인 계몽 활동을 전개했다. 전인권, loc. cit.
이 시기의 새로운 정치세력인 독립협회는 영은문과 모화관을 중국에 대한 사대의 상징이라고 보고 그 자리에 독립문과 독립관을 세워 ‘자주독립’을 시대정신으로 자리매김 시키는 한편, 토론회와 연설회를 통해 근대적인 민권 사상과 교육 사상을 보급하였다. 이런 바탕 위에 열린 최초의 근대적 대중 집회인 만민공동회는 민중들의 힘으로 러시아의 이권 침탈을 저지하는가 하면 한국 역사상 최초로 의회가 설립되기 직전까지 이르는 성과를 거두었다. 《독립신문》은 독립협회와 만민공동회를 전폭적으로 지원하였고 때로는 양자의 논의를 주도하는 역할을 맡기도 했다.
참고문헌
려증동, (고종시대)독립신문, 서울: 형설출판사, 1994.
박노자, 우승열패의 신화, 서울:한겨레신문사, 2005.
박성수, 역사학 개론, 서울:삼영사, 1977.
서울대 정치학과 독립신문강독회, 독립신문 다시 읽기: 독립신문 사설선집, 서울:푸른역사, 2004.
신용하, 갑오개혁과 독립협회운동의 사회사, 서울:서울대출판부, 2001.
, 독립협회연구: 독립신문·독립협회·만민공동회의 사상과 운동, 서울:일조각, 1975.
이상희, 조선조 사회의 커뮤니케이션 현상 연구, 서울:나남, 1993.
이종찬, 동아시아 의학의 전통과 근대, 서울:문학과지성사, 2004.
최은희, 여성을 넘어 아낙의 너울을 벗고: 한국 최초의 여기자 최은희의 개화여성열전, 서울:문이재, 200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