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현대미학] 참여의 미적 경험을 요구하는 정원

 1  [현대미학] 참여의 미적 경험을 요구하는 정원-1
 2  [현대미학] 참여의 미적 경험을 요구하는 정원-2
 3  [현대미학] 참여의 미적 경험을 요구하는 정원-3
 4  [현대미학] 참여의 미적 경험을 요구하는 정원-4
 5  [현대미학] 참여의 미적 경험을 요구하는 정원-5
 6  [현대미학] 참여의 미적 경험을 요구하는 정원-6
 7  [현대미학] 참여의 미적 경험을 요구하는 정원-7
 8  [현대미학] 참여의 미적 경험을 요구하는 정원-8
 9  [현대미학] 참여의 미적 경험을 요구하는 정원-9
 10  [현대미학] 참여의 미적 경험을 요구하는 정원-10
 11  [현대미학] 참여의 미적 경험을 요구하는 정원-11
※ 미리보기 이미지는 최대 20페이지까지만 지원합니다.
  • 분야
  • 등록일
  • 페이지/형식
  • 구매가격
  • 적립금
자료 다운로드  네이버 로그인
소개글
[현대미학] 참여의 미적 경험을 요구하는 정원에 대한 자료입니다.
목차
1. 정원의 개념
1) 문화적 행위로서 한정과 순치
2) 정원의 환경설계사적 의의

2, 프랑스 정원 (17세기)
1) 배경
2) 앙드레 르 노트르 (Andre Le Notre, 1613-1700)
3) 보르 비콩트
4) 르 노트르의 정원설계 원칙
5) 칸트

3. 제 3자연으로서의 정원

4. 무한한 시간의 잠재성을 담고 있는 정원.
본문내용
1. 정원의 개념

1) 문화적 행위로서 한정과 순치

어렸을 때 땅따먹기 놀이를 기억하는가? 자신의 땅을 넓히고 그 결과로 안전하게 확보하게 된 자신의 공간면적을 상대방의 것과 비교하여 그 크기에 따라 결정하게 된다. 이 때에 친구들끼리 합의하에 그어놓은 커다란 둥근 금은 공동의 정복 대상이 되며 금의 안쪽은 내 땅 즉, 안전하게 확보된 나만의 공간이 되는 반면, 내 땅 밖은 여전히 빼앗아 와야 할 공동투쟁의 대상으로 남게 된다. 인간이 원생 자연 속에서 자신의 생존목적과 역량에 따라 선정한 어느 한 점을 중심으로 외부를 향하여 자신의 영역을 구축하는 행위, 즉 울타리를 둘러치는 행위를 ‘한정’이라 부른다. 공간 구획에 따라 자신의 고유한 영역을 확보하게 된다. 또한 한정된 공간영역을 대상으로, 인간이 그의 목적에 맞도록 의도적으로 환경을 통제하거나 변경, 조작하여 그 가치를 증대하는 행위를 ‘순치’라고 한다. 농경 생활을 시작하면서 인류는 정착 생활에 접어들게 되고, 식량공급이 안정되자 인류의 주거 또한 유랑시절의 동굴이나 나무 위 같이 비바람과 맹수를 겨우 피할 정도의 열악한 주거형태에서 발전한 개별 주거가 생기게 되고, 이런 개별주거가 모여 마을을 이루게 되었으며, 마을이 모여 원시부족국가 형태로 발전하게 된다. 부족국가의 형성은 신분제도의 파생과 함께 사적 소유의 개념이 강화되어 자연에 대한 방비의 목적 뿐 아니라 타부족으로부터 자신의 부족과 재물을 보호하기 위하여 울타리와 방벽을 높이 쌓게 된다. 인류가 자신의 고유영역을 확보하기 위한 경계설정과 경계 내의 사적 영역에 대한 안정성의 확보를 위한 필수적 과정으로 발전하는 ‘한정’과 ‘순치’의 과정이 된다.

2) 정원의 환경설계사적 의의

동서양을 막론하고 정원의 발생개념을 설명하는 어원을 살펴보면 공간을 ‘한정’하는 경계의 개념과 경계내의 공간을 의도적으로 변화하는 ‘순치’의 개념이 내재되어 있다. 서양에서 정원을 뜻하는 garden이라는 말은 gan과 oden의 합성어로 알려져 있는데, 접두어인 gan의 어원은 히브리어의 gher(gherdh)이며 그 뜻은 일정한 공간을 둘러싸는 행위 또는 그렇게
참고문헌
정영선 ⌜서양 조경사⌟,명보문화사, 1979.
윤국병 ⌜조경사⌟, 일조각, 1982.
배정한 ⌜현대 조경설계의 이론과 쟁점⌟,도서출판 조경, 2004.
신시아 프리랜드 ⌜과연 그것이 미술일까?⌟ 아트북스, 2001.
오병남 ⌜미학강의⌟ 서울대학교 출판부, 200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