공덕(功德)을 통한 윤회역전(輪廻逆轉) -「풍요(風謠)」연구

 1  공덕(功德)을 통한 윤회역전(輪廻逆轉) -「풍요(風謠)」연구-1
 2  공덕(功德)을 통한 윤회역전(輪廻逆轉) -「풍요(風謠)」연구-2
 3  공덕(功德)을 통한 윤회역전(輪廻逆轉) -「풍요(風謠)」연구-3
 4  공덕(功德)을 통한 윤회역전(輪廻逆轉) -「풍요(風謠)」연구-4
 5  공덕(功德)을 통한 윤회역전(輪廻逆轉) -「풍요(風謠)」연구-5
 6  공덕(功德)을 통한 윤회역전(輪廻逆轉) -「풍요(風謠)」연구-6
 7  공덕(功德)을 통한 윤회역전(輪廻逆轉) -「풍요(風謠)」연구-7
 8  공덕(功德)을 통한 윤회역전(輪廻逆轉) -「풍요(風謠)」연구-8
 9  공덕(功德)을 통한 윤회역전(輪廻逆轉) -「풍요(風謠)」연구-9
※ 미리보기 이미지는 최대 20페이지까지만 지원합니다.
  • 분야
  • 등록일
  • 페이지/형식
  • 구매가격
  • 적립금
자료 다운로드  네이버 로그인
소개글
공덕(功德)을 통한 윤회역전(輪廻逆轉) -「풍요(風謠)」연구에 대한 자료입니다.
본문내용
공덕(功德)을 통한 윤회역전(輪廻逆轉)
-「풍요(風謠)」연구
「풍요(風謠)」는 향가 작품 중 연구가 별로 많이 이루어지지 않은 노래 중 하나라 할 수 있다. 이러한 점에도 불구하고, 향가 작품을 분석하는 데에 굳이 이 작품을 택한 이유는 막연하나마 다양한 해석의 가능성을 알아보고자 했기 때문이다. 「풍요」와 같은 작품이야말로 언뜻 보기에 매우 단순한 형식과 내용을 갖추었다고 생각하기 쉽지만 그 내면에 숨겨져 있는 의미는 전혀 상상 이외의 것이거나, 생각했던 것만큼 쉽고 단순하지 않을 수 있다. 따라서 많은 자료들 속에서 새로우면서도 설득력 있는 의미를 찾아내려 노력하면서 본 작품을 연구하여 보았다.
이 노래를 개인적인 창작시로 보려는 견해도 없지는 않으나, 김종우, 『향가문학연구』, 이우출판사, 1980. p. 52. "문승인 양지가 제비를 얻고자 하여 단월가 문전에서 불렀던 주원의 불가.”
홍재걸, 『한국고시율격연구』, 태학사, 1983. p. 105. "전내적인 민요라기보다는 의도적인 창작시일 가능성이 짙다.”
양주동, 양주동, 『증정 고가연구』, 일조각, 1965. p. 488.
조윤제, 조윤제, 『한국시가사강』(정정판), 을유문화사, 1954. p. 42.
김동욱, 김동욱, 『한국가요의 연구』, 을유문화사, 1961. p. 31.
지헌영, 지헌영, 「풍요에 관한 제문제」, 『국어국문학』 41호, 1968. p. 144.
임동권, 임동권, 『한국민요사』, 집문당, 1964. p. 34.
장덕순 장덕순, 『국문학통론』, 신구문화사, 1960. p. 99.
등 대부분의 학자들이 민요 내지는 민요적인 노래로 보고 있다. 이웅재, 『향가에 나타난 서민의식』, 백문사, 1990. p. 13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