신문학의 태동기 1910년대를 중심으로

 1  신문학의 태동기 1910년대를 중심으로-1
 2  신문학의 태동기 1910년대를 중심으로-2
 3  신문학의 태동기 1910년대를 중심으로-3
 4  신문학의 태동기 1910년대를 중심으로-4
 5  신문학의 태동기 1910년대를 중심으로-5
 6  신문학의 태동기 1910년대를 중심으로-6
 7  신문학의 태동기 1910년대를 중심으로-7
 8  신문학의 태동기 1910년대를 중심으로-8
 9  신문학의 태동기 1910년대를 중심으로-9
 10  신문학의 태동기 1910년대를 중심으로-10
 11  신문학의 태동기 1910년대를 중심으로-11
 12  신문학의 태동기 1910년대를 중심으로-12
 13  신문학의 태동기 1910년대를 중심으로-13
 14  신문학의 태동기 1910년대를 중심으로-14
 15  신문학의 태동기 1910년대를 중심으로-15
 16  신문학의 태동기 1910년대를 중심으로-16
 17  신문학의 태동기 1910년대를 중심으로-17
 18  신문학의 태동기 1910년대를 중심으로-18
 19  신문학의 태동기 1910년대를 중심으로-19
 20  신문학의 태동기 1910년대를 중심으로-20
※ 미리보기 이미지는 최대 20페이지까지만 지원합니다.
  • 분야
  • 등록일
  • 페이지/형식
  • 구매가격
  • 적립금
자료 다운로드  네이버 로그인
소개글
신문학의 태동기 1910년대를 중심으로에 대한 자료입니다.
본문내용
신문학의 태동기
신문학의 태동기(1910년대를 중심으로)
신문학의 태동기
- 목 차 -
Ⅰ. 서론
Ⅱ. 한일병탄과 시대사조
1. 신문학의 태동기 시대배경
(1) 경술국치(한일병탄)
(2) 일제의 교육, 언론 탄압
(3) 3.1운동
2. 시대사조
(1) 계몽주의
(2) 민족주의
(3) 시대적 이념에 대한 의의
Ⅲ. 1910년대 간행된 신문 및
문예지와 신문장 건립운동
1. 《매일신보》
2. 《소년》, 《청춘》, 《새별》과 신문장 건립운동
(1) 《소년》
(2) 《청춘》
(3) 《새별》
(4) 신문장 건립운동
3. 학지광과 신문화 수입
4. 태서문예신보와 번역
Ⅳ. 1910년대의 신문학 운동기
1. 최남선과 이광수에 의해 주도된 2인 문단시대
(1) 1910년대의 시(신체시와 근대시의 여울목)
1) 최남선의 신체시 실험
2) 이광수의 신시운동
3) 《학지광》과《태서문예신보》의 시인들
4) 1910년대 시의 문학사적 의의
(2) 1910년대의 소설(근대소설의 태동)
1) 신소설의 확장
2) 신채호와 현상윤의 근대적 자각
3) 이광수의 근대소설
Ⅴ. 희곡
1.연극사적 배경
2.신파극의 수용과 변모 양상
3.근대희곡의 태동
4.주요작가와 작품의 특징
(1)조일재의
(2)이광수의 과
(3)윤백남의 과
(4)최승만의
(5)오천석의
Ⅵ. 비평
1. 1910년대 문학비평 개관
2. 주요 비평가들
(1)이광수의 비평
(2)신채호의 비평
(3)김억의 비평
(4)양건식의 비평
3. 1910년대 문학비평의 의의
Ⅶ. 결론
Ⅰ. 서론
1894년 갑오경장이란 대변혁이 일어남과 때를 같이 해서 서양의 근대화에 발맞추기 위한 민족적 자각이 일어나게 되었다. 그래서 조정에서는 개국기원을 사용할 것, 각국에 전권 공사를 특파할 것, 문벌양반상민의 계급을 타파하고, 인재를 골고루 등용할 것, 남녀의 조혼을 금지할 것, 과부의 재가를 허용할 것 등의 조목과 은본위 일정량의 은을 본위화폐로 하는 화폐제도.
화폐의 장정 등 200여 항목에 달하는 개혁안을 公布하였다. 하지만 그러한 개혁은 자주성의 결여와 외세의 간섭 때문에 성공하지 못했으나 근대화의 기점을 마련한 것에 의의를 둔다 하겠다.
이런 사회 변혁과 함께 출발된 개화기 문학은 1900년대에 들어 시조가사한시 등 고정시형의 지속과 찬송가창가신시 등의 외래시형의 애용과 함께 그 개화의 터전을 활발히 마련해 갔으나 ‘문학사적 空白期’로 통칭되는 1910년대는 경술국치(1910)와 더불어 ‘헌병정치’ 또는 ‘武斷政治’로 일관되었고, 일제는 이를 바탕으로 통치기구를 정비하여 정치, 경제, 문화, 사상 활동 등의 전반적인 창작활동을 억압하여 식민지 통치체제를 구조화시켜 나갔다. 특히 일제의 탄압 하에 있었던 1910년대는 문학 활동의 자유로움이 보장되지 못했다. 일제는 이미 합병 이전 언론의 숨통을 틀어막은「新聞紙法」(1907. 7.)과 「出版法」(1909. 2.) 제정하여 공포하였고, 특히 출판법은 한반도 내의 일체의 간행물을 검열허가 아래 발표되어지도록 규정하여 근대문학의 태동에 심각한 영향을 끼쳤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이 시기는 우리 문학사에 있어 근대 문학의 기틀을 마련하였다는 점에서 무시하지 못할 의의인 것이다. 따라서 본 고에서는 상기 명시한 시대상이 문학에 끼친 영향이 무엇인지 문학사적으로 고찰해 볼 필요성을 제기한다. 당 시대 문학의 양상과 특질을 파악하기 위해서는 시대상을 반영한 문학사조의 파악이 무엇보다 우선되어야 하겠으며, 다음으로 문학이 하나의 표현행위인 만큼 반드시 그 수용체의 檢證이 필요하다 하겠다. 그리고 新文章 建立運動을 통한 신문학의 형태를 이 시대 주요 작품을 통해 그 양상을 살펴보고, 1890년대에 문학 작품의 序文이나 뒷 글에 실린 형태로만 존재했던 문학비평이 1910년대 들어 어떤 모습으로 변모하였는지 짚어보아야 하겠다. 또한 공연 예술과 문학의 영역을 동시에 점하고 있는 희곡의 장르적 특성을 고려하여 연극사적인 배경을 전제로 한 희곡 장르의 고찰이 필요하다.
그리고 문학사를 체계적으로 인식하려할 때에 우리들은 시대구분의 문제에 직면하게 된다. 문학사의 시대구분에 있어서 이 시기를 바라보는 文學史家들의 관점은 크게 둘로 大別해 볼 수 있다. 백철, 조연현은 1910년을 신문학운동의 중요한 기점으로 삼아 이전 시대와 구분하고 있고 백철은 『新文學思潮史』(신구문화사, 1989.)에서 1910년부터 1919년 31운동까지의 시기를 ‘신문학의 탄생’이라는 章으로 구분했으며, 조연현은 『韓國現代文學史』(성문각, 1986.)에서 같은 시기를 ‘근대문학의 탄생’이라는 章으로 구분했다.
, 김윤식과 김현, 조윤제는 이 시기를 따로 구분하지 않고 개항 혹은 갑오경장부터 31운동까지를 하나의 범주에 묶어 두었다. 김윤식김현은 『한국문학사』(민음사, 1996.)에서 1880년대 개항의 시기부터 31운동까지를 ‘계몽주의와 민족주의의 시대’로 구분했고, 조윤제는 『韓國文學史』(탐구당, 1993.)에서 갑오경장부터 31운동까지를 ‘運動時代(근대후기문학)’라는 명칭으로 구분했다.
新小說文學의 시기와 근접해서 六堂, 春園을 중심한 제 1기 신문학 운동기가 왔다. 제 1기 신문학운동의 근원을 융희 2년(1908) 10월 1일 《少年》지가 六堂, 崔南善의 주재로 창간된 것을 잡으면 신문학운동은 신소설 문학기보다 2년 뒤에 시작된 것이다. 나는 제 1기 신문학운동을 이 때부터 1919년 31 독립운동기를 전후한 약 10년간으로 잡아본다. 제 1기 신문학운동은 신소설 시대에 뒤이어 좀 더 근대 문학다운 성격에서 신문학의 초창기가 되었다. 백철, 『新文學思潮史』 중판, 신구문화사, 2003, p. 74.
그러나 여기서 주목할 점은 어느 입장이든지 韓日倂呑이라는 정치사적 사건, 그 자체를 문학사의 시대구분 기점으로 삼지는 않았다는 것이다. 백철과 조연현은 1910년을 문학사의 중요한 마디로 삼았지만 이는 韓日倂呑이라는 사건에 근거한 것이라기보다 합병을 전후로 六堂과 春園이 주도한 신문학운동의 문학사적 의의를 크게 인정했기에 이 시대를 따로 구분한 것이다. 그래서 본 고에서 파악하려는 시대는 개화기 이후 사회 전반적인 활발한 활동이 억압된 시기인 경술국치(1910)를 기점으로 하여 1919년 31운동의 시기까지를 본 고에서 다루고자 하는 범위로 설정하고자 한다.
Ⅱ. 한일병탄과 시대사조
오늘 본 자료
더보기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해당 정보 및 게시물의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위 정보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에 신고해 주시기 바랍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