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교육사회학] 한국의 교육운동사

 1  [교육사회학] 한국의 교육운동사-1
 2  [교육사회학] 한국의 교육운동사-2
 3  [교육사회학] 한국의 교육운동사-3
 4  [교육사회학] 한국의 교육운동사-4
 5  [교육사회학] 한국의 교육운동사-5
 6  [교육사회학] 한국의 교육운동사-6
 7  [교육사회학] 한국의 교육운동사-7
 8  [교육사회학] 한국의 교육운동사-8
 9  [교육사회학] 한국의 교육운동사-9
 10  [교육사회학] 한국의 교육운동사-10
 11  [교육사회학] 한국의 교육운동사-11
 12  [교육사회학] 한국의 교육운동사-12
 13  [교육사회학] 한국의 교육운동사-13
 14  [교육사회학] 한국의 교육운동사-14
※ 미리보기 이미지는 최대 20페이지까지만 지원합니다.
  • 분야
  • 등록일
  • 페이지/형식
  • 구매가격
  • 적립금
자료 다운로드  네이버 로그인
소개글
[교육사회학] 한국의 교육운동사에 대한 자료입니다.
목차
1. 교육운동의 의미1
가. 교육운동 1
나. 교육운동의 유형2
2. 한국교육운동의 전개3
가. 일제 강점기의 교육운동3
나. 미군정기의 교육운동4
다. 4 ․ 19 혁명기의 교육운동5
라. 교육민주화운동으로서의 교육운동5
마. 노동조합을 통한 교육운동6
3. 한국교육운동의 성격6
가. 교육운동의 정치문화적 속성6
나. 교육운동의 사상성에 관한 논의7
4. 민주시민사회의 사회운동과 교육7
가. 민주시민교육의 의의7
나. 시민단체 민주시민교육의 배경8
다. 시민단체 민주시민교육의 성장9
라. 시민단체 민주시민교육의 과제10
5. 학부모 교육운동과 사회교육10
가. 학부모교육운동의 배경10
나. 학부모교육운동의 필요성10
다. 학부모교육운동의 평가11
본문내용
한국의 교육운동사


1. 교육운동의 의미

교육운동의 개념은 아직 학문적으로 규정되지 않고 있으므로 교육운동의 개념적 논의는 운동의 일반적 의미와 사회 운동의 개념을 원용하는 수준에서 다루고자 한다.

◦ 운동이란
물질의 존재 형태와 물질에 내재하는 속성으로 이해할 수 있으며 우제에 발생하는 일체의 변화와 그 과정뿐 아니라 인간사회의 역사 변화까지를 모두 포함

◦ 사회운동이란
어느 정도의 지속성을 가지고 사회변동을 달성 또는 저해하려는 집합적 노력

◦ 사회운동의 특징
어느 정도의 조직을 갖추고 일정한 양식으로 상호 의사소통을 하는 다수의 사람들로 구성
그 규모가 비교적 커야하며 다수의 사람에게 영향을 미치는 것이어야 함
목표달성을 위해 합법적이지 않은 수단을 쓰는 경우가 많음
구성원들의 개인적인 목적달성에 한정되지 않고 궁극적인 목표는 사회의 상당부분에 변형을 가져 오는 것
사회변동을 일으키고자 하는 의식적이고 목적 지향적인 노력

가. 교육운동

교육운동도 사회운동이 갖는 일반적인 성질을 갖는다. 교육을 개인적․사회적 발전에 이바지하는 사회현상의 하나로 이해할 때 교육은 그 자체로서 운동의 속성과 본질을 가지게 된다.
교육운동이란 용어가 한국에서 처음 등장하게 된 시기는 1980년대 이후이다. 이 용어는 한국사회의 각 부문에서 민주화운동의 흐름이 강조되는 시기에 교사들의 한국 교육문제에 대한 인식이 대중적으로 확산되면서 등장하게 되었다. 그러나 이때까지 교육운용에 대한 논의가 학문적으로 정립되지 않아 사용자에 따라 그 개념을 조금씩 달리하고 있다.

1) 교육운동의 정의
가) 교육운동의 주체를 교사․학생․학부모로 본 입장
◦ 유방란(1986) : 교육운동이란 새로운 교육질서의 수립이라는 명시적인 목표를 달성하기 위한 교육주체들의 집단적인 시도이다. 따라서 교육운동은 전체 사회변혁운동의 일환인 노동운동이나 학생운동, 농민운동 등과 마찬가지로 새로운 질서의 수립을 목표로 함으 로써 기존의 체제 및 질서와는 갈등을 일으키기 쉽다.
◦ 이용관(1989) : 교사, 학생, 학부모가 그들의 권리를 찾고자 조직적, 집단적으로 행하는 노력
참고문헌
1. 교육사회학, 송준수, 교육과학사, 1998, p 263282
2. 사회운동과 사회교육, 한국사회교육학회, 제2회 학술세미나 자료, 1996, p 780
3. 시민단체 민주시민교육의 발전과제,『ANDRAGOGY TODAY. Vol.4, No.1』, 한국성인교육학회, p 79106
4. 한국 시민사회의 전개와 공동체 시민의식, 조영달, 교육과학사, 1997, p9914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