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문과학 위버멘쉬의 삶이란 무엇이고 이러한 니체의 철학은 진정 허무주의를 극복할 수 있는가

 1  인문과학 위버멘쉬의 삶이란 무엇이고 이러한 니체의 철학은 진정 허무주의를 극복할 수 있는가-1
 2  인문과학 위버멘쉬의 삶이란 무엇이고 이러한 니체의 철학은 진정 허무주의를 극복할 수 있는가-2
 3  인문과학 위버멘쉬의 삶이란 무엇이고 이러한 니체의 철학은 진정 허무주의를 극복할 수 있는가-3
 4  인문과학 위버멘쉬의 삶이란 무엇이고 이러한 니체의 철학은 진정 허무주의를 극복할 수 있는가-4
 5  인문과학 위버멘쉬의 삶이란 무엇이고 이러한 니체의 철학은 진정 허무주의를 극복할 수 있는가-5
 6  인문과학 위버멘쉬의 삶이란 무엇이고 이러한 니체의 철학은 진정 허무주의를 극복할 수 있는가-6
 7  인문과학 위버멘쉬의 삶이란 무엇이고 이러한 니체의 철학은 진정 허무주의를 극복할 수 있는가-7
 8  인문과학 위버멘쉬의 삶이란 무엇이고 이러한 니체의 철학은 진정 허무주의를 극복할 수 있는가-8
※ 미리보기 이미지는 최대 20페이지까지만 지원합니다.
  • 분야
  • 등록일
  • 페이지/형식
  • 구매가격
  • 적립금
자료 다운로드  네이버 로그인
소개글
인문과학 위버멘쉬의 삶이란 무엇이고 이러한 니체의 철학은 진정 허무주의를 극복할 수 있는가에 대한 자료입니다.
본문내용
위버멘쉬의 삶이란 무엇이고,
이러한 니체의 철학은 진정 허무주의를 극복할 수 있는가?
서론)
- 니체 철학의 배경인 허무주의와 그것을 극복하는 인간, 위버멘쉬
전통적인 형이상학과 기독교에서는 신이나 이데아와 같은 완전하고 불변하는 존재에 대한 믿음을 가지고 있었다. 사람들은 자신들의 불완전성이 완전한 존재에 대한 믿음과 지향으로 극복될 수 있다고 생각했고, 이로 인해 사람들의 삶의 목표와 방향은 신이나 이데아 같은 절대적 존재와의 합일에 있었다. 그러나 어느 순간 사람들은 절대적인 존재에 대한 의심을 품기 시작했고, 근대에 와서는 그것에 대한 믿음을 상실하게 되었다. 이렇게 신이 죽은 상황에서 근대인들은 삶의 목표와 방향을 잃어버렸고, 하루하루 아무런 가치 없이 그저 살아가기만 하는 허무주의의 상황에 놓이게 되었다. 이러한 시대적 상황에서 탄생한 것이 바로 니체의 철학이다. 그는 아무도 제기하지 않았던 문제, 즉 왜 허무주의는 시작되었고 그것을 극복할 수 있는 방안은 무엇인가? 라는 질문을 던졌고, 이에 대한 답변을 그의 철학 안에서 제시하고 있다. 허무주의의 근본적 원인이 절대적 존재인 신에 대한 믿음에 있다고 생각한 그는 우선 이러한 신의 존재를 철저하게 해체시켜버린다. 먼저, 기독교의 신을 해체하고 그와 함께 플라톤부터 이어졌던 형이상학적 서양철학들을 해체하기 시작하며, 심지어 그동안 누구도 절대적이라고 의심치 않았던 도덕까지 해체하기에 이른다. 이러한 해체작업으로 그는 신에게서 눈을 떼고 이제 인간을 보기 시작한다. 허무주의를 극복하는 인간은 어떤 유형의 인간이며, 그러한 존재가 되기 위해서 우리는 어떻게 해야 하는가를 그는 탐구하기 시작한다. 이러한 고민의 결과가 바로 ‘위버멘쉬’이다. 위버멘쉬는 허무주의를 극복하고 자신의 삶을 적극적으로 긍정하고 창조하며 살아가는 자로서, 니체는 위버멘쉬를 최고의 인간으로 보았다. 허무주의에 대한 고민이 니체 철학의 시작이라면, 위버멘쉬는 그의 철학의 집결점이자 종결점이라고 볼 수 있다. 그러므로 “위버멘쉬란 누구이고, 어떻게 살아가는가?” 라는 질문에 답하기 위해서 우리는 필연적으로 니체의 전반적인 사상의 흐름들을 살펴보아야 한다. ‘신의 죽음’에 대한 선언이 니체 철학의 건설을 위해 필요한 파괴작업이었다면, ‘영원회귀’와 ‘힘에의 의지’ 개념은 니체 철학의 존재론을 형성한다. ‘영원회귀’를 통해 우리는 니체의 허무주의에 대한 더욱더 근본적인 생각들을 살펴볼 수 있고 ‘힘에의 의지’를 통해 인간을 포함한 이 세상의 존재물들이 구성되는 원리를 알 수 있을 것이다. 이러한 기본적인 개념 설명 후 제시되는 ‘위버멘쉬’와 ‘신체’개념은 “인간이란 무엇인가?” 에 대한 질문에 답하기 위한 필수적 개념들이다. 이러한 개념을 통해 니체의 인간상을 알아보고, 더 나아가 “인간은 어떻게 살아야 하는가?” 에 대한 질문에 대한 대답으로 니체의 도덕 철학을 살펴보자. 그럼 지금부터 이러한 과정들을 거쳐 니체가 생각하는 인간상을 알아보고 또한 그의 철학의 한계에 대해서도 논해보도록 하겠다.
본론)
1. 니체 철학의 기본 개념들
1) 니체의 해체 작업 - 신의 죽음
니체의 철학을 이해하기 위해서 가장 먼저 맞닥뜨려야 하는 것이, ‘신의 죽음’이다. ‘신은 죽었다’라는 명쾌하고도 섬뜩한 선언으로 시작하는 니체의 해체 작업은 한편으로는 서양의 전통적 자명성이었던 형이상학적 초월세계의 파괴를 의미하고, 다른 한편으로는 그리스도교적 신의 죽음을 의미하기도 한다. 니체는 인간이 자기 자신에 대한 절망, 자신이 살아가고 있는 이 지상에 대한 실망이 형이상학적 이분법을 태동시킨 원인이라고 제시한다. 그러나 니체가 단순히 이분법 자체에 반감을 가지고 있는 것은 아니었다. 실제로 그는 자신의 철학 안에서 이분법을 사용하기도 한다. 그가 비판하고 타파하고자 했던 이분법은 우위 관계를 설정하는 이분법이다. 전통적인 형이상학에서는 세계를 둘로 나누고 어느 한 쪽에 절대적인 우위를 부여해 왔다. 이렇게 해서, 인간보다는 신이, 대지보다는 천상이, 육체보다는 이성이 절대적 우위를 갖는 서양 철학의 역사가 시작되었고, 이러한 우위관계는 근본적인 허무주의를 발생시키는 하나의 원인이 되었다. 신의 세계, 즉 초월적 세계는 인간이 아무리 노력해도 닿을 수 없는 곳이기 때문이다. 니체는 이데아의 세계와 현상세계를 구별하는 플라톤 철학에서부터, 쇼펜하우어의 의지와 표상의 구별에 이르는 철학의 전 역사를 형이상학적 이분법이 단계적으로 발전되어온 과정으로 이해한다. 이런 철학적 사유가 서양인의 삶과 문화 전체에 걸쳐 직접적이고도 광범위한 영향력을 행사하게 되는 결정적 계기는 그리스도교의 등장과 그것의 급속한 전파라고 니체는 말한다. 니체는 그리스도교를 “대중을 위한 플라톤주의”라고 부를 정도로 철학적 이분법의 완벽한 종교적 형태라고 이해한다. 이렇듯 철학적-종교적 형태를 띤 형이상학적 이분법은 유럽문화 전반의 정신적 토대로 작용한다. 따라서 신의 죽음에 대한 선언은 단지 그리스도교 자체에 대한 비판일 뿐만 아니라, 유럽의 정신적 토대 지체의 폐기를 주장하는 역사적 사건이 된다. 이러한 신의 죽음은 다시 인간을 창조적 존재로서 긍정하게 하고, 이 지상(대지)에 잃어버렸던 의미를 다시 돌려주게 하는 필연적인 전제인 것이다.
2)니체 철학을 설명하는 근본원리 - 힘에의 의지
니체는 모든 사물의 본질을 힘에의 의지로 파악한다. 그는 자신의 철학적 개념을 힘의 관계, 힘에의 의지로 파악하고 설명하려 한다. 그러므로 힘에의 의지는 니체 철학의 근본적인 존재론을 형성하고, 이것을 이해해야만 비로소 그의 철학을 이해했다고 할 수 있을 것이다.
힘에의 의지는 무기적인 세계에서부터 인간의 지각과 지성적 영역을 거쳐 물리적 세계에 이르기까지 전 존재영역을 포괄하는 개념이다. 힘에의 의지는 힘을 표시하려는 만족할 줄 모르는 욕구이며 이러한 욕구는 모든 충동적인 유기적 삶을 이끌어내는 ‘하나의 원천’이며 ‘근본의지’이다. 다른 말로 하면 힘에의 의지는 “주인이 되고자 하는, 더 많은 힘을 얻기 원하는 그리고 더욱 강해지고자” 하는 의지들이다. 의지들은 따라서 외적인 원인에 의해 촉발되어 작용하는 것이 아니라 자체 내에 운동의 원인을 갖는다. 따라서 이 의지의 힘은 의지를 항상 작용하는 동적인 것, 구성력을 지닌 것으로 만든다. 이 작용이 가능하기 위해서는 한 의지에 저항하는 반대 의지들이 있어야 하며, 이 의지들간의 싸움이라는 상호 작용을 통해서 그때그때 승자가 되는 하나의 의지가 어떠한 구체적인 현상을 만들어 낸다. 따라서 힘을 추구하는 의지는 항상 다수여야만 하고, 이러한 의지의 다수성은 힘을 얻기 위한 의지들 사이의 싸움에 필요불가결한 조건이 되는 것이다. 이러한 의지들간의 싸움의 형태는 끝이 없는 진행과정이다. 왜냐하면 의지들의 힘겨루기 과정은 어떤 최종적인 이김과 저항력을 상실한 복종으로 끝이 나는 관계가 아니라, 그때그때 새로운 의지의 힘들간의 싸움에서 이김과 복종이라는 관계가 새로이 설정되는, ‘명령하고 저항하는’ 복종의 형식을 갖기 때문이다. 힘의지는 이렇게 현 상태에 머무름이나 보존이 아니라, 자기 극복과 상승이 본성이다. 이러한 힘의지는, 항상 더 많은 힘을 원하면서, 항상 자신의 힘의 극대화를 꾀하는 자신의 본성으로 영원히 되돌아온다. 그래서 생기의 진행과정에서 특정 순간에 의지의 힘의 극대화는 이루어지지만, 전 과정에서 최종적인 힘의 극대화점은 가능하지 않다. 그래서 생성은 끝없이 진행된다. 이렇게 힘의지는 니체에게 있어서 모든 존재자와 자연 현상, 인간의 사회현상들이 의존하고 규정되는 보편성을 띠는 원리이다.
3) 극적인 허무주의 - 같은 것의 영원회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