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문과학 조지훈 시에 나타난 꽃 과 나비의 이미지

 1  인문과학 조지훈 시에 나타난 꽃 과 나비의 이미지-1
 2  인문과학 조지훈 시에 나타난 꽃 과 나비의 이미지-2
 3  인문과학 조지훈 시에 나타난 꽃 과 나비의 이미지-3
 4  인문과학 조지훈 시에 나타난 꽃 과 나비의 이미지-4
 5  인문과학 조지훈 시에 나타난 꽃 과 나비의 이미지-5
 6  인문과학 조지훈 시에 나타난 꽃 과 나비의 이미지-6
 7  인문과학 조지훈 시에 나타난 꽃 과 나비의 이미지-7
※ 미리보기 이미지는 최대 20페이지까지만 지원합니다.
  • 분야
  • 등록일
  • 페이지/형식
  • 구매가격
  • 적립금
자료 다운로드  네이버 로그인
소개글
인문과학 조지훈 시에 나타난 꽃 과 나비의 이미지에 대한 자료입니다.
본문내용
-조지훈 시에 나타난 ‘꽃’과 ‘나비의 이미지-
시를 통하여 인간은 자신의 인생관과 세계관을 형성할 수 있다. 시는 시인 자신에게 미적 체험을 자극하게 하고 그 체험으로서 인간 자신의 존재를 확인할 수 있다. 시에 나타난 시어들 또한 시인의 모습을 나타내고 있다. 시인의 내면의 모습이나, 갈망하는 세계 등을 시어로서 대변하고 있는 것이다. 본고에서는 조지훈의 시세계에 나타난 ‘꽃’의 이미지와 ‘나비’의 이미지를 통해 그가 나타내려는 의지가 무엇인지 살펴보고자 한다. 아울러 이러한 시어들이 갖게 되는 시 의식을 살펴보고자 한다.
꽃은 하나의 아름다운 세계의 증거로서 저들의 아름다운 존재를 나타내는 존재로 각각 다른 특징으로 나타나 형상화 된다. 서정주의 꽃에 나타난 이미지는 지상-천상 연접공간에서 ‘꽃’의 모티프와 ‘이내’모티프를 중심축으로 하여 전개되는 삶과 죽음 또는 생사의 경계를 자유자제로 넘나들거나, 삶의 공간인 현실적 지상을 떠나 천상으로 편입 상승하는 이미지들로 구체화되어 나타난다. 김종호, 「서정주 시의 영원지향성 연구」, 상지대 박사학위 논문, 2001, p.45.
서정주의 시집 「화사집」부터 「질마재」까지에는 다양한 꽃들이 나타난다. 살펴보면 대추꽃, 꽃다님, 붉은 꽃밭, 석류꽃, 박아지꽃, 꽃각시, 진달래꽃, 꽃심지, 석류꽃열매, 낙화, 꽃 가마, 무궁화, 접시꽃, 꽃구름, 도장나무, 난초 꽃, 바가지 꽃, 오동꽃, 내음새, 카네이션, 솔꽃, 솔꽃 향기, 박꽃 등이 시어로 나타나고 있다. 서정주 시에서 이처럼 많이 사용된 꽃의 이미지는 생명의 열린 상태를 보여주며 지상에 뿌리내린 꽃이 하늘로 발화해 가는 다양한 모습을 보여준다.
꽃에 대한 서정주의 인식은 매개적인 것으로서의 꽃에 대한 세계이다. 허공이 허공이 아니고 무가 무로서 끝나지 않는다는 것은 꽃을 통해 영원으로 이어지는, 생사를 넘어선 교통에 있음을 나타낸다. 꽃은 지상에 피어 있는 생명이기도 하지만, 동시에 영원에 이르는 실의 표상이라는 점에서 의미가 있다. 꽃은 지상에서 영원으로 이르는 통로이자 영원 그 자체를 의미하는 것이기도 하다. 김재홍, 「미당 서정주」, 『미당 연구』, 민음사, 1994, p.188.
서정주 시의 ‘꽃’ 모티프는 초월의 세계로서 천상세계를 지향하는 영원성을 보여준다. 이러한 서정주의 시에서 꽃이란 소재는 중요한 지향점을 의미한다. 꽃의 이미지는 다양하게 나타나고 있으며 서정주 의식이 열리는 공간으로서의 의미를 갖는다. 또한 서정주의 끝없이 자기를 꽃과 동일시하려는 몸부림과 꽃과 동일시될 수 없는 갈등으로 나타내고 있다.
앞서 살펴본 서정주의 시 세계의 ‘꽃’은 시인 자신과의 동일시된다는 점이고, 초월의 세계를 나타낸다. 서정주 시의 ‘꽃’외에도 시인론 시간에 살펴보았던 김영랑의 「모란이 피기까지는」에서의 모란이 피고 지는 모습을 통해 비극성과 아픔을 이기고 상승하려는 의지를 살펴보았고, 박두진의 시 「꽃」에서는 해와 달의 비밀한 울음과 피흘림을 통해서 희생과 부활의 의지가 드러나 있었다. 이 외에도 꽃은 만물을 피어나게 하는 봄으로 상징되기도 하고, 인생의 아름다움이나, 덧없음을 나타내기도 한다. 또한 꽃의 색깔에 따라서 생명의 의지라든가, 열정 등을 드러내기도 한다.
조지훈 역시 그의 시세계에서 중요한 소재로 ‘꽃’을 등장시켰는데 이것은 꽃에 대한 그의 인식 태도를 보여주는 것으로 지배적 이미지가 되어 상징으로 발전한다.
낙 화
조 지 훈
꽃이 지기로서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