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사] 고종시대 재조명 - 내재적 발전론을 중심으로

 1  [한국사] 고종시대 재조명 - 내재적 발전론을 중심으로-1
 2  [한국사] 고종시대 재조명 - 내재적 발전론을 중심으로-2
 3  [한국사] 고종시대 재조명 - 내재적 발전론을 중심으로-3
 4  [한국사] 고종시대 재조명 - 내재적 발전론을 중심으로-4
 5  [한국사] 고종시대 재조명 - 내재적 발전론을 중심으로-5
 6  [한국사] 고종시대 재조명 - 내재적 발전론을 중심으로-6
 7  [한국사] 고종시대 재조명 - 내재적 발전론을 중심으로-7
 8  [한국사] 고종시대 재조명 - 내재적 발전론을 중심으로-8
 9  [한국사] 고종시대 재조명 - 내재적 발전론을 중심으로-9
 10  [한국사] 고종시대 재조명 - 내재적 발전론을 중심으로-10
 11  [한국사] 고종시대 재조명 - 내재적 발전론을 중심으로-11
 12  [한국사] 고종시대 재조명 - 내재적 발전론을 중심으로-12
 13  [한국사] 고종시대 재조명 - 내재적 발전론을 중심으로-13
 14  [한국사] 고종시대 재조명 - 내재적 발전론을 중심으로-14
 15  [한국사] 고종시대 재조명 - 내재적 발전론을 중심으로-15
 16  [한국사] 고종시대 재조명 - 내재적 발전론을 중심으로-16
 17  [한국사] 고종시대 재조명 - 내재적 발전론을 중심으로-17
 18  [한국사] 고종시대 재조명 - 내재적 발전론을 중심으로-18
 19  [한국사] 고종시대 재조명 - 내재적 발전론을 중심으로-19
※ 미리보기 이미지는 최대 20페이지까지만 지원합니다.
  • 분야
  • 등록일
  • 페이지/형식
  • 구매가격
  • 적립금
자료 다운로드  네이버 로그인
소개글
[한국사] 고종시대 재조명 - 내재적 발전론을 중심으로에 대한 자료입니다.
목차
Ⅰ. 머리말

Ⅱ. 고종시대에 관한 연구
(1) 고종시대의 재조명, 이태진
(2) 대한제국 정치사 연구, 서영희

Ⅲ. 고종시대에 대한 평가
(1) 역사학계 내부의 평가
(2) 역사학계 외부의 평가와 식민지 근대화론

Ⅳ. 내재적 발전론의 의미
(1) 내재적 발전론에 대한 평가
(2) 내재적 발전론의 전개

Ⅴ. 근대의 개념과 역사성

Ⅵ. 맺음말
본문내용
Ⅰ. 머리말

우리가 몰랐던 과거의 사실을 역사의 전부라고 할 수는 없을 것이다. 역사학이 현재의 사회 속에서 어떠한 기능을 하고 있다면, 그것은 과거의 역사상을 통해 현재 삶의 위치 판단하고 미래로의 방향을 제시하는 것이라고 할 수 있다. 즉 연구대상의 선택과 접근 방법은 역사상을 만드는데 있어 큰 영향을 끼치게 되고, 동시에 현재의 삶 속에 일정한 과제를 부과하게 된다. 얼마 전에 있었던 5.18광주민주항쟁 추모식을 예로 들면, 우선 5.18을 역사적인 의미를 부과해서 기억하려는 움직임이 있어왔다. 이것은 단순히 기억자체에 의미를 두려는 것이 아니라 당시 학살적 진압을 주도했던 집단에 과오를 청산하려는 의미를 가지고 있다. 이와 같은 접근과는 반대로 5.18을 기억하지 않으려 하거나 기억을 왜곡시키려는 움직임도 있다. 일례로 서울시는 5.17일 종로에 5.18추모 행사 탑에 ‘경축’이라는 문구를 사용했고, 여러 언론사를 통해 의도적이었음이 밝혀졌다.
이것은 특정한 과거의 선택과 접근방법이 현실과 긴장관계를 이루고 있음을 잘 보여준다.
이러한 방식은 구한말을 바라보는 시각에도 적용될 수 있다. 이른바 ‘고종시대’는 한일합방이라는 망국과 연결되어 부정적인 시각으로 보아왔다. 당시의 정치수반이었던 고종(高宗)은 무능력한 인물로서 암약(暗弱)하다는 평가를 받기도 하였다. 식민시기와 해방 이후 일정시기까지는 ‘고종시대’뿐 아니라 조선 전시기를 부정적으로 평가했고, 이러한 인식은 일제뿐 아니라 당시 지식인들에게도 인정되고 있었다. 이후 역사를 주체적, 발전적으로 보는 입장에서 조선에 대한 연구가 이루어졌고, 정치사 부분에서 붕당정치론과 영․조대 탕평정국을 조명하는 시각이 만들어졌다. 그러나 세도정치(勢道)하의 정국과 ‘고종시대’는 망국(亡國)에 대한 책임을 벗어날 수가 없었다.
1970년대 중반 한국 근대 변혁운동의 주체를 둘러싸고 이른바 ‘광무개혁 논쟁’이 벌어졌으나, 문제를 제기하는 차원에 머무르고 말았다. 1990년대 중반 들어 일제와 대한제국간에 맺었던 조약(條約)들의 불법성 문제가 제기 되면서 ‘고종시대’를 긍정적으로 평가하는 움직임이 나타나기 시작하였다.
과거에서 ‘고종시대’ 선택한 것과 긍정적으로 평가하려는 밑바탕에는 일제의 불법성을 폭로하고 한국역사의 내재적 발전과정을 이해하려는 목적을 가지고 있다고 할 수 있다. 이글에서는 이와 같은 역사와 현실간의 관계를 고려하면서 ‘고종시대’시대를 둘러싼 최근의 논의를 살펴보도록 하겠다.
Ⅱ장에서는 이태진, 서영희의 견해를 중심으로 ‘고종시대’에 대한 연구를 정리하겠다. ‘고종시대’에 대한 평가는 역사학계 내부의 입장과 외부(주로 식민지근대화론)의 입장으로 나눌 수 있는데, Ⅲ장에서는 양측의 입장을 정리하면서, 그 차이점을
참고문헌
서영희, 《고종시대 정치사연구》, 서울대학교 출판부, 2003
에릭 홉스봄, 〈1780년의 세계〉,《혁명의 시대》, 한길사, 1998
한영우, 《역사학의 역사》, 지식산업사, 2002
이태진, 《고종시대 재조명》, 태학사, 2000
강만길 외, 《조선후기사 연구의 현황과 과제》, 창비, 2000
《역사와 현실》26, 역사비평사, 1996

김성보, 〈근대의 다양성과 한국적근대의 생명력〉, 《역사비평》 2001
이세영, 〈한국사학의 발전〉,《한국역사입문》3, 풀빛, 1995
유재건, 〈식민지․근대와 세계사적 시야의 모색〉《창작과 비평》겨울, 1997
신용하, 〈식민지 근대화론 재정립 시도에 대한 비판〉,《창작과 비평》겨울, 1997
안병직, 창작과 비평》겨울, 1997
김인걸, 〈1960,70년대 內在的 發展論과 韓國史學〉, 《김용섭교수정년기념한국사학논총1》, 지식산업사, 1997
주진오, 〈대한제국과 독립협회〉,《한국역사입문》3, 풀빛, 1996
박찬승,〈분단시대 남한의 한국사학〉,《한국의 역사가와 역사학》, 창작과비평사, 1994
이영훈, 〈한국사에 있어서 근대로의 이행과 특질〉,《경제사학》21, 1991


폴 A. 코헨, 《학문의 오리엔탈리즘》, 이산, 2003
E. H. Carr, 《역사란 무엇인가》, 까치, 1997
R. G. 콜링우드, 《歷史學의 理想 The Idea of Historia》, 박문각, 1993

브리태니커사전

www.britannica.co.kr (키워드 : 근대)
교수신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