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어 문법 교육론 한국어 부사격 조사 에 에서 의 교육 방안

 1  한국어 문법 교육론 한국어 부사격 조사 에 에서 의 교육 방안-1
 2  한국어 문법 교육론 한국어 부사격 조사 에 에서 의 교육 방안-2
 3  한국어 문법 교육론 한국어 부사격 조사 에 에서 의 교육 방안-3
 4  한국어 문법 교육론 한국어 부사격 조사 에 에서 의 교육 방안-4
 5  한국어 문법 교육론 한국어 부사격 조사 에 에서 의 교육 방안-5
 6  한국어 문법 교육론 한국어 부사격 조사 에 에서 의 교육 방안-6
 7  한국어 문법 교육론 한국어 부사격 조사 에 에서 의 교육 방안-7
 8  한국어 문법 교육론 한국어 부사격 조사 에 에서 의 교육 방안-8
 9  한국어 문법 교육론 한국어 부사격 조사 에 에서 의 교육 방안-9
 10  한국어 문법 교육론 한국어 부사격 조사 에 에서 의 교육 방안-10
 11  한국어 문법 교육론 한국어 부사격 조사 에 에서 의 교육 방안-11
 12  한국어 문법 교육론 한국어 부사격 조사 에 에서 의 교육 방안-12
 13  한국어 문법 교육론 한국어 부사격 조사 에 에서 의 교육 방안-13
 14  한국어 문법 교육론 한국어 부사격 조사 에 에서 의 교육 방안-14
 15  한국어 문법 교육론 한국어 부사격 조사 에 에서 의 교육 방안-15
 16  한국어 문법 교육론 한국어 부사격 조사 에 에서 의 교육 방안-16
※ 미리보기 이미지는 최대 20페이지까지만 지원합니다.
  • 분야
  • 등록일
  • 페이지/형식
  • 구매가격
  • 적립금
자료 다운로드  네이버 로그인
소개글
한국어 문법 교육론 한국어 부사격 조사 에 에서 의 교육 방안에 대한 자료입니다.
본문내용
한국어 부사격 조사
‘에’, ‘에서’의 교육 방안
-장소의 ‘에’, ‘에서’를 중심으로-
1. 연구의 필요성 및 목적
본 연구의 목적은 외국어로서의 한국어를 학습하는 외국인들을 위한 한국어 부사격 조사 ‘에’, ‘에서’의 교육방안 마련으로 한국어 교재와 사전에 제시된 기술방식을 살펴보고, 한국어 교육에 도움이 될 수 있는 인지언어학적인 관점을 참고하여, 한국어 부사격 조사 ‘에’, ‘에서’를 효과적으로 지도할 수 있는 방안을 제시하는 데 있다.
한국어는 조사와 어미가 발달된 교착어로 조사가 없는 언어를 모어로 사용하는 한국어 학습자들은 이를 학습하는 데에 어려움이 있다. 특히 한국어의 조사 중 부사격 조사는 조사에 따른 의미와 용법이 매우 다양하고, 이 중에서도 공간적인 개념을 나타내는 부사격 조사 ‘에’, ‘에서’는 그 의미가 비슷하면서 한국어 표현에 매우 빈번하게 사용되므로 한국어 학습자들에게 올바른 교육 방안이 필수적이다. 이지영(1995)은 조사가 없는 언어권의 학습자들에게서 조사 오류가 빈번히 나타난다고 하였고, 학습자들의 범주의 개념이 어느 정도 형성된다고 하더라도 한국어 조사의 쓰임이 다양하기 때문에 조사 오류의 빈도가 높다고 하였다. 허용(2001)은 한국어를 외국어로 배우는 사람들이 어떻게 하면 우리말의 조사를 보다 쉽게 이해할 수 있을까 하는 것에 중점을 두고 우리말의 부사격 조사를 보다 효과적으로 설명하는 데에 초점을 두어야 한다고 했다.
본 연구에선 한국어 학습자들이 자주 혼동하는 ‘에’, ‘에서’의 의미와 기능을 비교하고, 이들에 대한 인지적 의미를 분석한 내용을 참고하여 ‘에’, ‘에서’를 효과적으로 지도할 수 있는 방안을 제시하고자 한다.
2. 이론적 배경 및 선행 연구
허용(2001)은 부사격 조사에 대한 한국어 교육학적 접근으로 한국어를 외국어로 배우는 사람들이 어떻게 하면 우리말의 부사격 조사를 쉽게 이해할 수 있을까 하는 부분에 중점을 두고 부사격 조사를 상황별로 분류하였다. 그가 선보인 우리말에서 볼 수 있는 대표적인 부사격 조사 10가지 중에는 ‘에’, ‘에서’가 포함되어 있었으며, 그는 조사들이 어디에 사용되는가 하는 것보다는 어떤 경우에 어떤 조사를 사용하는가 하는 것에 중점을 두고 부사격 조사에 대한 한국어 교육학적 접근을 시도하였다. 정수진(2010)은 인지언어학에 기초한 한국어 공간 개념 부사격 조사의 기술 방식을 소개하며 부사격 조사 ‘에’, ‘에서’, ‘로’를 중심으로 분석하였다. 그는 부사격 조사 ‘에’, ‘에서’, ‘로’의 다의적 쓰임에 나타나는 언어적 동기화에 주목하여 부사격 조사의 의미 확장 방식을 의미적 연결망으로 체계화하여 제시하고자 했다. 김은주(2010)는 외국어로서 한국어 부사격 조사에 대한 선행 연구로 4가지 스타일의 연구방법을 소개하였다. 첫째는 학습자의 조사 오류를 분석한 연구, 두 번째는 한국어 교재에 나타난 조사 분석에 대한 연구, 세 번째는 한국어 조사 교육 방안에 대한 연구, 네 번째는 언어를 대조하여 분석한 연구이다. 첫 번째인 학습자의 조사 오류를 분석한 연구로는 4개 기관에서 수집된 일본어권 23명, 영어권 16명, 중국어권 21명 총 60명의 언어 자료를 바탕으로 조사 ‘에’와 관련된 사용과 오류 양상을 분석한 주은경(2003)이 있으며, 두 번째인 한국어 교재에 나타난 부사격 조사 분석에 관한 연구로는 김연지(2008)가 있다. 그는 사전에 제시된 ‘에’, ‘에서’, ‘로’의 의미들과 한국어 교재에 나타난 ‘에, 에게, 로’의 양상을 살핀 후 한국어 학습자에게 부사격 조사의 의미를 효과적으로 제시할 수 있는 방안을 논의하였다. 세 번째 연구는 한국어 부사격 조사 교육 방안에 대한 연구로, 증천부(2004)는 ‘에’와 ‘로’의 다양한 의미기능과 공통된 용법을 비교하고 이것을 바탕으로 교수모형을 제안했다. 네 번째 연구는 부사격 조사의 대조 분석에 관한 연구로, 한국어 학습사전과 국어 문법서 총 8번을 통해 조사 ‘에’의 용법을 장소, 시간, 원인 및 이유, 단위, 판단기준, 행위자 및 도구, 수혜 및 부사, 자격 및 신분, 환경 및 범위, 대상, 열거, 관용 표현 등 총 12가지로 정리하고 정리된 결과를 바탕으로 중국어와 대조 분석한 안령군(2005)이 있다. 황정숙(2009)은 ‘에, 에서, 에게, 로’는 한국어 표현에서 빈번하게 나타는 조사이면서도 문장에 나타나는 의미도 비슷하여 혼동하기 쉽다고 주장하며 이 ‘에, 에서, 에게, 로’를 연구 대상으로 선정하고 각각의 의미를 알아보고 의미상의 차이를 알아보았다.
2.1. 한국어 교재의 부사격 조사 교재화 실태
부사격 조사 ‘에’와 ‘에서’는 공간적 개념과 관계된 부사격 조사인데, 아래의 표에서 보여주는 바와 같이 서울 소재의 10개 대학 교재에 100% 소개되고 교육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에’와 ‘에서’에 대해서 다루고 있으나, 실제 교육 장소에서는 ‘에’, ‘에서’의 교육 시 ‘(으)로’와 같은 다른 공간개념을 설명할 수 있는 부사격 조사까지 확장하여 교수하는 것도 좋은 방법이 될 수 있을 것이다. 정수진(2010)도 인지언어학에 기초한 한국어 공간 개념 부사격 조사의 교육 내용 기술 방안 연구를 제시하면서 ‘에’, ‘에서’, ‘로’를 중심으로 기술하였다.
형태
건국
경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