함북 육진방언의 음운론 20세기 러시아의 Kazan에서 간행된 문헌자료에 의한

 1  함북 육진방언의 음운론 20세기 러시아의 Kazan에서 간행된 문헌자료에 의한-1
 2  함북 육진방언의 음운론 20세기 러시아의 Kazan에서 간행된 문헌자료에 의한-2
 3  함북 육진방언의 음운론 20세기 러시아의 Kazan에서 간행된 문헌자료에 의한-3
 4  함북 육진방언의 음운론 20세기 러시아의 Kazan에서 간행된 문헌자료에 의한-4
 5  함북 육진방언의 음운론 20세기 러시아의 Kazan에서 간행된 문헌자료에 의한-5
 6  함북 육진방언의 음운론 20세기 러시아의 Kazan에서 간행된 문헌자료에 의한-6
 7  함북 육진방언의 음운론 20세기 러시아의 Kazan에서 간행된 문헌자료에 의한-7
 8  함북 육진방언의 음운론 20세기 러시아의 Kazan에서 간행된 문헌자료에 의한-8
 9  함북 육진방언의 음운론 20세기 러시아의 Kazan에서 간행된 문헌자료에 의한-9
 10  함북 육진방언의 음운론 20세기 러시아의 Kazan에서 간행된 문헌자료에 의한-10
 11  함북 육진방언의 음운론 20세기 러시아의 Kazan에서 간행된 문헌자료에 의한-11
 12  함북 육진방언의 음운론 20세기 러시아의 Kazan에서 간행된 문헌자료에 의한-12
 13  함북 육진방언의 음운론 20세기 러시아의 Kazan에서 간행된 문헌자료에 의한-13
 14  함북 육진방언의 음운론 20세기 러시아의 Kazan에서 간행된 문헌자료에 의한-14
※ 미리보기 이미지는 최대 20페이지까지만 지원합니다.
  • 분야
  • 등록일
  • 페이지/형식
  • 구매가격
  • 적립금
자료 다운로드  네이버 로그인
소개글
함북 육진방언의 음운론 20세기 러시아의 Kazan에서 간행된 문헌자료에 의한에 대한 자료입니다.
본문내용
함북 육진방언의 음운론
-20세기 러시아의 Kazan에서 간행된 문헌자료에 의한-

1. 제론
1.1 연구목적
1.2 연구 범위와 방법론
1.3 연구 자료 개관
1.4 육진 지역의 역사와 지리적 위치
2. 음성 전사와 음운체계
2.1음성 전사
2.2.1 음성과 음소체계
2.2.1.1 자음음성과 자음체계
2.2.1.2 활음
2.2.1.3 모음음성과 모음체계
2.2.1.4 자질분류
2.2 음운체계
3. 공시음운론
3.1 모음조화
3.2 움라우트
3.3 원순모음화
3.3.1 순자음에 의한 동화
3.3.2 원순모음에 의한 동화
3.4 활음형성
3.5 비모음화와 비자음 /ŋ/의 탈락
3.6 음운 탈락
3.6.1 모음탈락
3.6.2 자음탈락
3.7 장모음화와 모음의 음운론적 강도
3.8 자음의 중화
3.9 경음화
3.10 유기음화
3.11 자음동화
3.11.1 변자음화
3.11.2 비자음화
3.11.3 마찰음화
3.11.4 유음화
3.12 자음군 단순화
3.13 비자동적 교체어근에서의 음운현상
3.12.1 특수명사의 어간교체와 그 유형
3.12.2 활용어간의 특수한 어간교체와 유형
4. 통시음운론
4.1 모음조화
4.2 ‘’의 변화
4.3 오>우 변화
4.4 움라우트
4.5 원순모음화
4.6 비원순모음화
4.7 모음체계의 재구
4.7.1 모음체계의 재구와 그 변화
4.7.2 이중모음의 변화
4.7.3 삼중모음의 변화
4.8 구개음화
4.9 어중자음 탈락
5. 악센트 체계와 그 변동
5.1 Kazan 자료와 육진방언의 악센트
5.1.1. 육진방언의 악센트
5.1.2 악센트 전사의 단위
5.1.3 악센트 전사의 실제 모습과 분석
5.1.4 육진방언의 악센트와 중세국어 성조와의 비교
5.2 굴절어근의 악센트와 그 변동
5.2.1 체언어간의 악센트와 그 변동
5.2.2 용언어간의 악센트와 그 변동
5.3 파생어 형성과 악센트 변동
5.4 한자어의 악센트
5.5 차용어의 악센트
6. 결론
1. 제론
1.1 연구 목적
본서는 20세기 초 함경북도 육진지역 방언의 음운체계를 수립하고 그와 관련된 제반 음운현상들의 공시 및 통시적 음운과정을 논의하고 체계화하는 데에 목적을 둔다. ‘육진지역’이라 함은 국토의 최북단에 위치한 두만강변의 ‘음성, 경성, 회령, 경흥, 부령’의 6개 군을 통틀어 부르는 이름으로, 조선조 세종이 이 지역을 개척하고 ‘육진’을 설치한 데에서 유래한다. 본서는 이들 육진지역 중에서도 경흥을 논의의 주 대상 지역으로 삼는데, 이는 15세기 중엽에 국토로 편입되면서 타 지역의 사람들이 대거 유입했다는 점과 정치 문화의 중심지로부터 가장 먼 거리에 위치한 변경지역인데다 지리적 조건마저도 외부와의 접촉을 막았기에 이로 인해 언어의 개신이 더딜 것으로 추정되는 곳이기 때문이다. 이러한 이유로 같은 육진지역이라 할지라도 가장 보수적이면서 고립방언의 성격을 띨 것으로 추정되어 국어학의 중요한 연구 대상이 될 수 있고, 또한 이 방언이 공시적 통시적으로 보여주는 음운변화는 국어음운의 기술이나 재구에도 기여할 것으로 여겨진다.
1.2 연구 범위와 방법론
본서의 연구 자료는 성격상 몇 가지 특징을 가지고 있다.
①현재의 육진지역으로부터 조사 수집된 것이 아니라, 지금으로부터 약 90년 전에 채록된 20세기 초의 육진방언 자료
②모두 러시아의 카잔에서 간행되었고 모두 러시아어의 키릴문자(cyrillic alphabet) 혹은 그 변종으로 정밀전사
→본 연구는 특정문자로 전사되어 있는 문헌자료를 통해서 이루어지는 방언 음운 연구!!
1.3 자료의 개관
본 연구에 이용된 합경북도 육진방언 자료는 제정러시아 시대에 간행된 다음 문헌들로부터 얻어진 것이다.
1.3.1 Azbuka dlja Korejtsev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