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어 문법 교육론 중국인 한국어 학습자를 위한 한국어 부사격 조사 교수법 한국

 1  한국어 문법 교육론 중국인 한국어 학습자를 위한 한국어 부사격 조사 교수법 한국-1
 2  한국어 문법 교육론 중국인 한국어 학습자를 위한 한국어 부사격 조사 교수법 한국-2
 3  한국어 문법 교육론 중국인 한국어 학습자를 위한 한국어 부사격 조사 교수법 한국-3
 4  한국어 문법 교육론 중국인 한국어 학습자를 위한 한국어 부사격 조사 교수법 한국-4
 5  한국어 문법 교육론 중국인 한국어 학습자를 위한 한국어 부사격 조사 교수법 한국-5
 6  한국어 문법 교육론 중국인 한국어 학습자를 위한 한국어 부사격 조사 교수법 한국-6
 7  한국어 문법 교육론 중국인 한국어 학습자를 위한 한국어 부사격 조사 교수법 한국-7
 8  한국어 문법 교육론 중국인 한국어 학습자를 위한 한국어 부사격 조사 교수법 한국-8
 9  한국어 문법 교육론 중국인 한국어 학습자를 위한 한국어 부사격 조사 교수법 한국-9
 10  한국어 문법 교육론 중국인 한국어 학습자를 위한 한국어 부사격 조사 교수법 한국-10
 11  한국어 문법 교육론 중국인 한국어 학습자를 위한 한국어 부사격 조사 교수법 한국-11
※ 미리보기 이미지는 최대 20페이지까지만 지원합니다.
  • 분야
  • 등록일
  • 페이지/형식
  • 구매가격
  • 적립금
자료 다운로드  네이버 로그인
소개글
한국어 문법 교육론 중국인 한국어 학습자를 위한 한국어 부사격 조사 교수법 한국에 대한 자료입니다.
본문내용
중국인 한국어 학습자를 위한 한국어 부사격 조사 교수법
-한국어 조사 에, 에서와 中國語 在의 차이점을 중심으로-
목 차
1. 서론
1.1. 연구배경
1.2. 연구내용 및 방법
1.3. 선행연구
2. 중국어 在를 해당하는 한국어 조사 에와 에서의 용법
2.1. 중국어 在를 해당하는 부사격 조사 에의 용법
2.1.1. 장소
2.1.2. 시간
2.2. 중국어 在를 해당하는 부사격 조사 에서의 용법
3. 중국어 在의 통사적 의미 기능 및 조사 에와 에서의 차이점
4. 중국인 한국어 학습자들의 에와 에서의 오류 양상 분석
5. 중국인 한국어 학습자를 위한 한국어 부사격 조사 교수법 개선 방안
6. 결론
1. 서론
1.1 연구배경
글로벌 시대인 21세기에 있어서 각 국가가 서로 조화와 합력을 모색하여 상생을 추구해 나갈 것으로 전망된다. 중국과 한국은 지리적으로 가까운 이웃일 뿐더러 역사적으로도 다양한 문물과 사상을 교류해 왔다는 것은 누구나 알고 있는 사실이다. 특히 1992년에 중·한 수교한 후로부터 중·한 양국 간의 정치·경제·문화 사회적으로 공동발전을 위해 양국은 노력하고 있으며 많은 성과도 거두어 왔다. 두 나라의 교류를 위해 먼저 극복해야 하는 과제는 언어 장벽을 낮추는 일이라고 할 수밖에 없다. 그래서 현재 한국에서 중국어를 공부하고자 하는 학습자가 증가하는 동시에 한국어와 한국학을 연구하는 학생도 많아지는 것은 추세라고 할 수 있다. 그러므로 본 연구는 이 점에서 출발하여 중국인 한국어 학습자를 위해 올바른 한국어 습득 방법과 한국어 강의를 하고 있는 교사들에게도 정확한 조사 교수법을 보완하고자 한다.
한국어와 중국어는 서로 다른 언어 체계에 속하기 때문에 한국어 문법에서 중국인 학습자가 어려워하는 부분 중의 하나는 조사이다. 한국어는 교착어라서 풍부한 조사를 가지고 있는 반면에 중국어는 고립어라서 조사는 발달하지 않다. 그러므로 중국어권 한국어 교육은 조사 교육은 매우 중요시할 수밖에 없다. 중국인 한국어 학습자가 모국어의 간섭을 받아서 조사를 사용하는 데에 많은 오류가 생길 수 있다. 몰론 한국어 부사격 조사는 중국어의 개사와 어떤 측면에서 공통점을 가지고 있으나 통사론적으로 형태소를 따져 보면 차이가 많다. 본 논문은 한국어에서 사용 빈도가 높고 중국인 학습자들은 오류가 많이 생기는 조사 에, 에서와 중국어 개사 在를 비교를 해서 중국인 한국어 학습자를 위한 한국어 부사격 조사 교수법을 모색하고자 한다. 그리고 이를 통해 한국어와 중국어 문법 대비 연구 방법과 외국인을 위한 한국어 교수법을 제시하는 데에 의미가 있다.
1.2. 연구내용 몇 방법
본 연구의 대상은 한국어 조사 에, 에서와 중국어 개사 在의 용법과 차이점일 것이다. 그리고 이에 따라 모색하는 한국어 교수법이다. 한국어에서는 에와 에서는 부사격 조사로 시점이나 장소 명사 등 뒤에 많이 붙이는 것과 같이 중국어의 在도 일반적으로 시점이나 장소 명사 등 뒤에 붙인다. 그러나 한국어에 있는 두 개의 형태소가 중국어를 대응할 때는 한 개밖에 없다. 이로 인해 초급단계에 있는 중국인 한국어 학습자들은 에와 에서를 사용할 때 많은 오류가 생길 것이다. 저자가 중국에서 처음으로 한국어를 배웠을 때 그리고 인터넷으로 한국어 강의를 했을 때 만나는 학생들은 에와 에서가 차이가 무엇인지 어떻게 사용하는지에 대해서 고만이 많았다. 그래서 에와 에서를 교수하는 데에 있어서 개선 방안이 필요하다. 한국어 교수법을 개선하기 위해 에와 에서의 통사적 의미 및 용법, 중국어 개사 在의 통사적 의미 및 용법, 그리고 에, 에서와 在의 차이 다시 살펴봐야 한다. 또한 외국어로서의 한국어 교재들을 살펴보면 에와 에서에 대한 해석은 통일하지도 않고 중국인 학습자 입장에서 설명하는 것도 부족한 것 같다.
본 논문 제2장은 한국어 부사격 조사 에와 에서의 의미와 기능을 분석하고 외국어로서의 한국어 교재에서 나오는 에와 에서를 분석을 해서 에와 에서의 통사적 의미 및 차이점을 제시하고자 한다. 하지만 연구 범위는 중국어 개사 在를 대응할 수 있는 의미기능만을 보겠다. 제3장은 중국어 개사 在의 통사적 의미 및 기능을 살펴보고 대외한어 교재에서 나오는 재의 구문을 중심으로 논술을 하여 在의 용법을 제시하고자 한다. 4장에서는 중국인 한국어 학습자를 대상으로 교육 현장에서 설문조사를 하고 그 결과를 본석하여 에와 에서를 구별할 때에 생기는 오류 양상을 제시하고 분석하겠다. 위 2장과 3장 그리고 4장을 논의를 한 다음에 5장에서는 중국인 학습자들에게 한국어 부사격 조사 에와 에서의 교육 개선 방안을 둘 것이다. 그리고 외국어로서의 한국어 교재 교안 개선 방안을 제시하기도 한다.
1.3. 선행연구
지금까지 중국인 한국어 학습자를 위한 조사 교수법과 한국어 부사격 조사와 중국어 개사의 대비 연구가 상당히 많이 진행되어 왔다.
우선 한국어 부사격 조사 연구들이라면 김윤수(2013)에서는 한국어 교재에 나타난 조사 교육의 체계성을 고찰하기 위해서 에서를 중심으로 논의를 했다. 정수진(2011)에서는 한국어의 공간 개념 부사격 조사 ‘에’, ‘에서’, ‘로’의 다의적 쓰임과 의미 기능을 인지언어학적 관점으로 해명하여 이를 한국어 교육문법의 내용기술에 적용하였다. 증천부(2004)에서는 부사격 조사 ‘에’와 ‘로’의 공통된 의미와 기능을 제시하고 있으며, 그 용법의 선별규칙을 정리하였다.
또한 중국어 개사에 대한 연구들도 많이 나오고 있다. 丁安琦·沈(2001)에서는 한국인 중국어 학습자를 구어에서 사용하는 在의 오류에 대해서 논의를 하였다. 麗君(2011)에서는 한국인 유학생들이 개사 在를 사용할 때 생긴 오류를 분석하고 원인을 제시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