논문번역 Mental models of attachment as a part of kindergarten student teacher

 1  논문번역 Mental models of attachment as a part of kindergarten student teacher-1
 2  논문번역 Mental models of attachment as a part of kindergarten student teacher-2
 3  논문번역 Mental models of attachment as a part of kindergarten student teacher-3
 4  논문번역 Mental models of attachment as a part of kindergarten student teacher-4
 5  논문번역 Mental models of attachment as a part of kindergarten student teacher-5
 6  논문번역 Mental models of attachment as a part of kindergarten student teacher-6
 7  논문번역 Mental models of attachment as a part of kindergarten student teacher-7
 8  논문번역 Mental models of attachment as a part of kindergarten student teacher-8
 9  논문번역 Mental models of attachment as a part of kindergarten student teacher-9
※ 미리보기 이미지는 최대 20페이지까지만 지원합니다.
  • 분야
  • 등록일
  • 페이지/형식
  • 구매가격
  • 적립금
  • 레포트 > 독후감
  • 2015.03.29
  • 9페이지 / hwp
  • 1,200원
  • 36원 (구매자료 3% 적립)
자료 다운로드  네이버 로그인
소개글
논문번역 Mental models of attachment as a part of kindergarten student teacher에 대한 자료입니다.
본문내용
Mental models of attachment as a part of kindergarten student teachers
practical knowledge about caregiving
Ritva Horppu & Merja Ikonen-Varila
본 연구에서는 예비유치원교사의 실천 지식으로서 내적애착모델의 역할을 알아보고자 하였다. 내적애착모델(예, 예비교사들의 어린시절 애착 정도와 그들의 최근의 애착에 관한 관점과는 어떠한 관계가 있나)을 Adult Attachment Interview 도구를 사용하여 측정하였다. 연구대상은 University of Helsinki 예비유치원교사로서 1학년 여성 82명이었다. 44%의 예비유치원교사들이 비애착, 43%가 안정적이고 자율적 애착, 13%가 왜곡된 애착을 보였다. 본 연구에서는 예비유치원교사들의 유아교육을 전공으로 선택하게 된 동기도 조사함으로서 내적애착모델과 유아교육을 선택하게 된 동기의 상관성을 살펴보았다. 연구참여자들의 애착은 직업선호도와 동기 표현 및 복잡성과 밀접한 관련이 있었다. 안정적이고 자발적인 애착을 가지고 있는 예비유치원교사들이 그들의 직업적 선택에 관해 관심을 가지고 있었고, 유아교육 전공을 선택한 것이 아동 중심적이고 자발적인 동기를 가지고 있었다.
Introduction(서론)
많은 연구에서 현직교사와 예비교사의 내적 상태와 사고 과정을 이해하기 위해서 신념과 지식 혹은 교수, 학습, 학습자, 교과목에 관한 사고의 과정 등을 살펴보았다(예, Calderhaead, 1996). ‘실천지식,’ ‘개인의 실천지식,’ ‘간접이론’ 등의 용어들은 교사가 담당하는 학급관련 일과 및 교사들의 판단을 이해하고자 할 때 논의된다(예, Shulman, 1987; Clark & Peterson, 1986; Johnston 1992; Pajares, 1992; Beijaard & Verloop, 1996; Claderhead, 1996; Richardson, 1996). 개인의 실천지식은 교사가 수업 계획시 혹은 교실에서 상호 작용시 교사의 인식, 계획, 행동에 영향을 준다.
교사의 실천지식은 서술적이고 과정적 지식, 교과목·교육과정·교수법·학습자와 학습·역할과 책임 등에 관한 신념으로 구성이 되어있다(예, Pajares, 1992; Calderhead, 1996; Meijer 외, 1999; Einarsdottir, 2003). Beijaard와 Verloop(1996)은 실천지식은 이론지식의 반대가 아니라 오히려 현재 가르치고 있는 맥락에 적용될 수 있는 이론지식으로 구성되어 있다고 주장한다. Pajares(1992)는 신념과 지식은 교사의 실천지식의 일부이고, 신념은 새로운 지식이 해석되는 과정에서 여과기와 같은 역할을 한다고 보았다. Richardson(1996)은 신념의 발달과 가르침에 대한 지식에 영향을 주는 세 가지 요소로 개인적 경험, 학교와 수업 경험, 형식적 지식관련 경험을 제시하였다.
Mental models of attachment as a part of kindergarten teachers personal practical knowledge
(유치원교사의 개인적 실천지식의 구성요소로서의 내적애착모델)
핀란드에서 유치원교사는 교사의 역할과 유아의 감정 및 신체적 문제를 다루는 전문양육자로서의 역할을 담당한다. 발달적으로 적합하고 흥미로운 수업을 하는 것 이외에도 유치원교사들은 유아들과 밀접한 애착관계를 형성하고 유아의 신변상의 안전과 유치원에서의 정서적 안정을 위해 좋은 애착 관계를 형성과 구조화되고 정돈된 환경을 제공해야 한다. 결과적으로 유치원교사들은 교수학습 뿐만 아니라 돌봄에 대한 실천지식을 습득하게 된다. 돌봄에 대한 개인적 실천지식에는 교사-유아 관계에 대한 지식과 신념, 신체적`정신적 도움을 요하는 상황의 유형, 유아가 어려움을 표현할 때 적절한 반응을 하는 것 등이 포함된다. 예비교사들의 유아, 유아-교사관계에 대한 지식과 신념은 본인의 학생으로서의 이전 경험, 교사와 유아기에 가족들과의 관계, 형제나 다른 유아들을 보살핀 경험 등을 통해 생긴다(Calderhead & Robson, 1991; Kagan, 1992; Pajares, 1992; Soininen 1992, 1993; Ojala, 1993; Sugrue, 1997; Ikonen-Varila, 2001). Brownlee 외(2000)는 유아교사의 돌봄에 관한 신념은 아동초기의 본인의 가족과의 경험을 통해 형성된다고 주장하였다.
본 연구는 초임 유아예비교사들의 돌봄에 대한 개인적 실천지식으로서 내적애착모델을 살펴보았다. 애착이론에 따르면 보호의 필요성으로 인간은 본성적으로 주된 양육자와 애착의 관계를 형성한다(Bowlby, 1969, 1973). 애착의 주된 기능은 유아의 보호이다. 애착관계는 특정 개인이 갖는 지속적인 관계로서, 애착을 느끼는 대상에게 위협`연약함`침체 감정이 들 때 의지하게 된다. 유아가 애착을 느끼는 경우는 매우 위협을 느끼는 상황, 친숙하지 못하고 놀래거나 스트레스를 받는 사건이나 사회적 상호작용이 발생했을 때이다. 양육자는 유아가 안전하도록 하고 또한 안정감을 느낄 수 있도록 도와야 하며. 위협이나 스트레스를 받는 사건이 생겼을 때 유아를 보호하거나 편안하게 해주어야 한다. 유아교사는 보육시설에서 매주 많은 시간을 보내게 되는 아이들의 주된 애착의 대상이며 교사와의 강한 애착은 부모와의 애착의 결핍을 보완할 수 있다(Goossens & van Ijzendoorn, 1990; Howes & Hamilton, 1992).
안타깝게도 모든 유치원교사들이 유아에게 이상적인 수준만큼 민감하게 반응하지 못하고 따라서 모든 유아들이 교사에게 애착을 느끼는 것은 아니다. 부모-유아관계, 교사-유아관계는 질에 있어서 매우 다양할 수 있다. 어떤 교사-유아관계는 매우 밀접하고 친밀하지만 어떤 경우에는 서로 혐오하는 경우까지도 있다(Pianta, 1994). Ainsworkthdhl(1978)은 어머니에 대한 아동의 애착의 질의 차이를 구분하고 안정, 불안-회피, 불안-애매한 애착의 유형으로 구분하였다. van Ijzendoorn(1995)에 의한 메타분석에 따르면 아동의 부모에 대한 애착의 안정성과 내적애착모델, 예를 들면 부모의 그들 자신의 애착관련 아동기 경험의 구성 및 이에 근거한 관계형성, 간의 밀접한 상관성을 제시하였다(Main외, 1985). 애착의 안정적 표상을 할 수 있는 부모들은 그렇지 못한 경우보다 더 유아가 우울한 징후와 보호의 필요성 더 잘 파악하고 편하게 반응한다.
어른의 애착 표현은 일반적으로 반(半)구조화된 성인애착인터뷰(Adult Attachment Interview)를 통해서 고찰된다(George 연구팀, 1985). 피험자들에게 어린시절 부모와의 관계에 대해 이야기하고 다음과 같은 사항에 대해서 설명해보라고 요청한다. 예로서는 ‘어린시절에 마음에 상처를 받거나 다치거나 아플 때 당신의 부모는 보통 어떤 반응을 보였는가,’ ‘애착을 느끼던 사람을 잃거나 이별하거나 거부당한 경험이 있는가,’ ‘부모와의 현재 관계는 어떤가’ 등이 있다. 또한 이러한 경험이 어른이 되었을 때 인격 형성에 어떤 영향을 미쳤는지 평가해보라고 피험자들에게 요구했다. 면담 결과에 대한 코딩은 사실에 근거한 정보에 기초하기보다는 질의에 대한 답변의 질적인 측면들, 다시 말해서 응답자 본인이 어린시절의 경험과 그 영향을 얼마나 사려깊고 일관성 있게 설명하고 평가할 수 있는지에 기초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