불교 생태학적 관점에서 감상한 원령공주

 1  불교 생태학적 관점에서 감상한 원령공주-1
 2  불교 생태학적 관점에서 감상한 원령공주-2
 3  불교 생태학적 관점에서 감상한 원령공주-3
※ 미리보기 이미지는 최대 20페이지까지만 지원합니다.
  • 분야
  • 등록일
  • 페이지/형식
  • 구매가격
  • 적립금
자료 다운로드  네이버 로그인
소개글
불교 생태학적 관점에서 감상한 원령공주에 대한 자료입니다.
본문내용
불교 생태학적 관점에서 감상한 (원령공주)
1. 들어가며
인간의 이기와 무절제는 생태계의 파괴라는 엄청난 결과를 초래했다. 인간이 생각하지 못했던 결과가 인간의 생존을 위협하는 형태로 돌아오자 그제야 사람들은 인간의 욕심으로 인해 파괴된 생태계에 눈을 돌리게 되었다. 그리고 오늘날의 생태학은 궁극적으로는 인간을 살리기 위한 생태학이 되었다. 인간의 이기로 인해 빚어진 사태를 수습하는 데에 있어서, 역시 인간의 생존이 그 궁극적인 목적으로 작용하고 있는 오늘날 생태학의 잠재적인 위험성을 견제할 수 있는 요소가 바로 불교가 아닌가 생각한다. 이번 발표에서는 기존의 생태학에 대해 반성적 시각을 제공해 줄 기준으로서의 불교 생태학, 불교적 생태에 대해 생각해보고 그러한 시각에서 미야자키 하야오 감독의 애니메이션 를 감상해보기로 했다.
2. 연기와 자비의 불교 생태학
불교 생태학이란 상호의존과 상호존중이라는 연생과 상생의 불교정신에 입각해 제반 학문들 사이의 연계를 도모하여, 생태계의 구조와 기능을 이론적으로 분석하고, 생태계의 조화와 생명해방을 구현할 수 있는 실천 방안들을 탐구하는 학문 김종욱, 『불교생태 철학』, 동국대학교 출판부, 2004년, 28쪽,
이다. 불교적 시각으로 생태를 바라보며 생태의 문제를 해결하는 데에 불교의 원리를 적용하는 것을 불교적 생태학이라고 할 수 있을 것이다.
생태계는 생물과 환경으로 구분할 수 있고 생물은 생산자, 소비자, 분해자로 구분할 수 있다. 생산자, 소비자, 분해자를 통해 에너지는 순환하고 이 과정은 환경에 영향을 미치는데 이러한 순환성과 상호 의존성은 생태계의 원리이다. 이러한 생태계의 원리는 불교의 연기(緣起)와 통한다. 연기(緣起)란 나의 존재성을 연(조건)이라는 타자를 통해서 규정하는 원리이다. 고영섭, 『연기와 자비의 생태학』, 연기사, 2001년, 44쪽
모든 것은 서로 의존하여 성립하므로 전혀 새롭게 생겨나거나 완전히 사라지는 것이 아니라 순환하는 것이라는 통찰이 바로 불교의 연기이다. 이렇듯 불교의 원리와 생태계의 원리는 매우 비슷하게 닮아 있으며 연기를 통해 세상을 해석하는 것이 바로 생태계의 문제점을 해결하라 수 있는 불교적 방안이 되는 것이다.
불교 생태학에서 또 하나 중요한 초점은 바로 자비의 정신이다. 불교에서는 목숨을 가진 것들을 ‘중생’이라고 일컫는데, 중생이란 불성을 지닌 존재이다. 초기의 경론에서는 식물에게는 불성이 없다고 보았으나 『화엄경』에서는 식물과 무정물까지도 불성이 있어 성불이 가능하다고 이야기한다. 따라서 불교적인 생태는 인간의 차원을 넘어서, 불성이 있는 모든 것의 세상 위에서 전개되는 중생을 향한 자비의 생태학인 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