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통음악]`아리랑`에 관한 소고

 1  [전통음악]`아리랑`에 관한 소고-1
 2  [전통음악]`아리랑`에 관한 소고-2
 3  [전통음악]`아리랑`에 관한 소고-3
 4  [전통음악]`아리랑`에 관한 소고-4
 5  [전통음악]`아리랑`에 관한 소고-5
 6  [전통음악]`아리랑`에 관한 소고-6
 7  [전통음악]`아리랑`에 관한 소고-7
 8  [전통음악]`아리랑`에 관한 소고-8
 9  [전통음악]`아리랑`에 관한 소고-9
 10  [전통음악]`아리랑`에 관한 소고-10
 11  [전통음악]`아리랑`에 관한 소고-11
 12  [전통음악]`아리랑`에 관한 소고-12
 13  [전통음악]`아리랑`에 관한 소고-13
 14  [전통음악]`아리랑`에 관한 소고-14
 15  [전통음악]`아리랑`에 관한 소고-15
 16  [전통음악]`아리랑`에 관한 소고-16
 17  [전통음악]`아리랑`에 관한 소고-17
 18  [전통음악]`아리랑`에 관한 소고-18
 19  [전통음악]`아리랑`에 관한 소고-19
※ 미리보기 이미지는 최대 20페이지까지만 지원합니다.
  • 분야
  • 등록일
  • 페이지/형식
  • 구매가격
  • 적립금
자료 다운로드  네이버 로그인
소개글
[전통음악]`아리랑`에 관한 소고에 대한 자료입니다.
목차
Ⅰ. 시작하며…………………………………………………………2
Ⅱ. 아리랑의 기원 및 어원설 ……………………………………3
Ⅲ. 아리랑의 특징 고찰……………………………………………6
Ⅳ. 아리랑의 세계화………………………………………………15
Ⅴ. 맺으며 …………………………………………………………18
※. 참고 문헌………………………………………………………19
본문내용
1. 주제 설정 이유와 의의
최근에 이르러 여러 분야에서 아리랑에 대한 관심이 일고 있다. 민속학계와 국문학계에서는 노랫말과 어원을, 개별 연구자들은 분야마다 확산된 아리랑 주제 작품들을 발굴·정리했고, 예술계에서는 영화, 연극, 무용 부문에서 장르별 무대화를 시도했다. 국책기관인 '한국정신문화연구원'도 적극적인 구비문학 조사 작업을 벌여 전승 실태나 범위 등을 파악해 내는 등 연구가 활발해져 1990년대에 아리랑 관련 석·박사 학위자가 배출되기 시작했다.
아리랑은 2000년 6월 평양에서 남북 정상회담이 열리는 동안 계속 울려 퍼진 노래이며, 남북단일팀 결성 시 남과 북이 동일안으로 정한 단가이기도 하다. 남과 북의 창법은 조금씩 차이가 있지만 민족의 노래인 아리랑을 부르는 순간만은 '우리는 하나'라는 동질감을 느끼고 남북이 하나가 되어 왔었다.
아리랑을 민족의 노래로 삼는 이유는 첫째, 한민족이면 누구나가 알고 부를 수 있고, 둘째는 한국을 아는 이라면 아리랑을 ‘Song of Korea'로 알고 있다는 국제성을 감안한 것이고, 셋째는 남과 북에서 뿐만아니라 전 세계 해외동포까지도 알고 부를 수 있는 범민족적인 점을 감안했으며, 넷째는 민족통일 후에 국가(國歌)로 활용할 수 있는 경제성을 감안한 것이다. 다섯째는 한민족이면 누구나 같은 공감대를 형성하고 이를 바탕으로 하나의 방향성을 지닌 힘을 발휘한다는 '연대감과 대동성'을 강조한 것이고, 여섯째로는 민족사의 수난기 때마다 '시대의 노래'로 고난의 극복에 대응하고 불의에 항거하여 새로운 전기를 마련했기 때문이며,
참고문헌
1. 권영민(1996), 아리랑 연구, 서울 : 해냄출판사.
2. 김연갑(1986), 아리랑, 서울 : 현대 문예사.
3. ----- (1988), 아리랑의 멋, 그맛, 서울 : 집문당.
4. ----- (2000), 아! 아리랑이 보고 싶다, 서울 : 미래출판사.
5, 김산, 님 웨일즈 저/조우화 역(2000), 아리랑, 서울 : 동녘문예사.
오늘 본 자료
더보기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해당 정보 및 게시물의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위 정보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에 신고해 주시기 바랍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