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리말 우리글] 우리글 핵심정리, 줄거리, 이해와 감상

 1  [우리말 우리글] 우리글 핵심정리, 줄거리, 이해와 감상-1
 2  [우리말 우리글] 우리글 핵심정리, 줄거리, 이해와 감상-2
 3  [우리말 우리글] 우리글 핵심정리, 줄거리, 이해와 감상-3
 4  [우리말 우리글] 우리글 핵심정리, 줄거리, 이해와 감상-4
 5  [우리말 우리글] 우리글 핵심정리, 줄거리, 이해와 감상-5
 6  [우리말 우리글] 우리글 핵심정리, 줄거리, 이해와 감상-6
 7  [우리말 우리글] 우리글 핵심정리, 줄거리, 이해와 감상-7
 8  [우리말 우리글] 우리글 핵심정리, 줄거리, 이해와 감상-8
 9  [우리말 우리글] 우리글 핵심정리, 줄거리, 이해와 감상-9
 10  [우리말 우리글] 우리글 핵심정리, 줄거리, 이해와 감상-10
 11  [우리말 우리글] 우리글 핵심정리, 줄거리, 이해와 감상-11
 12  [우리말 우리글] 우리글 핵심정리, 줄거리, 이해와 감상-12
 13  [우리말 우리글] 우리글 핵심정리, 줄거리, 이해와 감상-13
 14  [우리말 우리글] 우리글 핵심정리, 줄거리, 이해와 감상-14
 15  [우리말 우리글] 우리글 핵심정리, 줄거리, 이해와 감상-15
 16  [우리말 우리글] 우리글 핵심정리, 줄거리, 이해와 감상-16
 17  [우리말 우리글] 우리글 핵심정리, 줄거리, 이해와 감상-17
 18  [우리말 우리글] 우리글 핵심정리, 줄거리, 이해와 감상-18
 19  [우리말 우리글] 우리글 핵심정리, 줄거리, 이해와 감상-19
 20  [우리말 우리글] 우리글 핵심정리, 줄거리, 이해와 감상-20
※ 미리보기 이미지는 최대 20페이지까지만 지원합니다.
  • 분야
  • 등록일
  • 페이지/형식
  • 구매가격
  • 적립금
  • 레포트 > 독후감
  • 2015.03.29
  • 20페이지 / hwp
  • 2,100원
  • 63원 (구매자료 3% 적립)
자료 다운로드  네이버 로그인
소개글
[우리말 우리글] 우리글 핵심정리, 줄거리, 이해와 감상에 대한 자료입니다.
본문내용
우리말 우리글
금오신화
갈래 : 고대 단편 소설
연대 : 세조 때
성격 : 전기(傳奇), 명혼(冥婚) 소설, 번안소설의 성격을 띰
제재 : 남녀간의 사랑
주제 : 죽음을 초월한 사랑
출전 : 금오신화
의의 : 우리나라 최초의 소설로, 한문으로 표기됨
기타 : 중국 明나라 瞿佑(구우)가 쓴 《전등신화(剪燈神話)》의 영향을 받음
⑴ 만포사저기(萬福寺樗蒲記)
①줄거리
산 남자와 죽은 여자의 사랑을 그린 애정 소설이며, 구조유형상 명소설(명혼소설) 또는 시애소설(시애소설)이라고 한다. 전라도 남원에 사는 양생(양생)은 일찍 부모를 여의고 만복 사의 구석방에 서이 외로이 지내며 배필 없음을 슬퍼하던 중 부처와 저포 놀이를 해서 이긴 대가로 아름다운 처녀를 얻었다. 그 처녀는 얻었다. 그 처녀는 ‘오구의 난’에 부모를 이별하고 정절을 지켜 3년간 궁벽한 곳에 묻혀서 배
필을 구하던 터였다. 둘은 부부관개를 맺고 며칠 간 열렬한 사랑을 나누다가 다시 만날 것을 약속하고 헤어졌다. 양생은 약속한 장소에서 기다리다가 딸을 대상을 치르러 가는 양반집 행차를 만나, 자기와 사랑을 나눈 여자가 3년 전에 죽은 그 집 딸의 혼령임을 알았다. 여자는 양생과 더불어 부모가 베푼 음식을 먹고 나서 저승의 명을 거역할 수 없다며 사라지고 양생은 홀로 귀가했는데, 어느 날 밤 여자의 말소리가 들리기를, 자신을 타국에 가 남자로 태어났으니 당신도 불도를 닦아 윤회를 벗어나라고 했다. 양생은 여자를 그리워하며 다시 장가들지 않고 지리산으로 들어가 약초를 캐며 지냈는데, 그 마친 바를 알 수 없었다.
②이해와 감상
이 작품은 한국을 배경으로 한국인을 등장시킴으로써 자주적인 성격을 보여주면서 산 남자와 죽은 여자를 사랑을 통해 강렬한 삶의 의지를 표현하고 있다. 생인(생인)과 사자(사자)의 사랑은 살아있는 이승과 저승의 사랑을 다룬 것은 현실의 남녀간의 사랑보다 더욱 강렬한 의지를 표현하고 그 의지를 좌절시키려 드는 세계의 횡포를 고발하는데 더욱 큰 효과를 거두고 있다. 작풍의 결말은 비극적인 것으로 해석하는 것이 보통이나 도교적 초월로 보기도 한다. 죽은 여자는 민간 속신에 나타나는 문자 그대로의 귀신이 아니라 역설적인 구조를 마련하기 위한 하나의 수단이며, 귀신이 아니라 역설적인 구조를 마련하기 위한 하나의 수단이며, 귀신의 존재를 부정하는 것은 작자의 논설에 나타난 사상과 일치한다. 현실적·일원론 세계관에 입각해 현실을 깊이 있게 주시하면서 현실이 지닌 문제점을 드러내준다는 점에서 현실주의적·사실주의적 경향을 띠며, 그런 점에서 매우 중요한 문학적 가치와 사설사적 의의를 지닌 작품이다.
⑵이생규장전(李生窺牆傳)
①줄거리
송도에서 사는 이생(이생)이라는 총각이 학당에 다니다가 노변에 있는 양반집의 딸인 최씨녀를 알게 되어 밤마다 그 집 담을 넘어 다니며 애정을 키워갔다. 아들의 행실을 눈치챈 이생의 부모가 이생을 울주(울주)의 농촌으로 보내 버리자 둘은 서로 만나지 못해 애태우다가 최씨녀의 굳은 의지와 노력으로 양가부모의 허락아래 혼인을 하였다. 이생이 과거에 급제함으로 써 행복이 절정에 달하였으나 홍건적의 난으로 양가 가족이 죽고 이생만 살아남아 슬픔에 잠겨 있는데 죽은 최씨부인이 나타났다. 이생은 그가 이미 죽은 여자인 줄 알면서도 열렬히 사랑한 나머지 의심하지 않고 반갑게 맞아 수년간을 행복하게 살았다. 어느 날 최씨
부인의 뼈를 찾아 묻어준 뒤 하루같이 그리워하다가 병을 죽었다.
②이해와 감상
우리나라를 배경으로 우리나라 사람을 등장시켰다는 점에서 자주적인 성격을 지닌 작품이다. 전반부는 주인공이 효라는 도덕규범을 파괴해가면서까지 힘겹게 사랑을 성취해 가는 과정이고, 후반부는 강렬한 사랑의 의지에도 불구하고 사랑이 좌절되어가는 과정이다. 이 두 과정을 통하여 소외된 자아 고독이 표현되어 있다. 죽은 여자는 민간전설에 나타나는 문자 그대로의 귀신이 아니라 역설적인 구조를 마련하기 위한 하나의 수단이며, 귀신의 존재를 부정하는 것은 작자의 논설이 사상과 일치하다. 산 사람과 죽은 사랑의 사랑은 살아있는 남녀간의 사랑보다 강렬함을 표현하고 세계의 횡포를 고발하는 데 더욱 큰 효과를 거두고 있다. 결말의 비극성과 더불어 작품의 비극적 성격이 특히 뚜렷한 작품이다. 현실적·일원론적 세계관에 입각하여 그려내준다는 점에서 현실주의적·사실주의적 경향을 띠며 그런 점에서 매우 중요한 문학적 가치와 소설사적 의의를 지닌 작품으로 평가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