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문학] 최승자, 김혜순 문학세계의 특징과 작품분석

 1  [문학] 최승자, 김혜순 문학세계의 특징과 작품분석-1
 2  [문학] 최승자, 김혜순 문학세계의 특징과 작품분석-2
 3  [문학] 최승자, 김혜순 문학세계의 특징과 작품분석-3
 4  [문학] 최승자, 김혜순 문학세계의 특징과 작품분석-4
 5  [문학] 최승자, 김혜순 문학세계의 특징과 작품분석-5
 6  [문학] 최승자, 김혜순 문학세계의 특징과 작품분석-6
 7  [문학] 최승자, 김혜순 문학세계의 특징과 작품분석-7
 8  [문학] 최승자, 김혜순 문학세계의 특징과 작품분석-8
 9  [문학] 최승자, 김혜순 문학세계의 특징과 작품분석-9
 10  [문학] 최승자, 김혜순 문학세계의 특징과 작품분석-10
 11  [문학] 최승자, 김혜순 문학세계의 특징과 작품분석-11
 12  [문학] 최승자, 김혜순 문학세계의 특징과 작품분석-12
 13  [문학] 최승자, 김혜순 문학세계의 특징과 작품분석-13
 14  [문학] 최승자, 김혜순 문학세계의 특징과 작품분석-14
 15  [문학] 최승자, 김혜순 문학세계의 특징과 작품분석-15
※ 미리보기 이미지는 최대 20페이지까지만 지원합니다.
  • 분야
  • 등록일
  • 페이지/형식
  • 구매가격
  • 적립금
자료 다운로드  네이버 로그인
소개글
[문학] 최승자, 김혜순 문학세계의 특징과 작품분석에 대한 자료입니다.
목차
◈ 최승자

1. 작가연보 -------------------------------------------- 1

2. 최승자의 문학세계의 특징

2-1. 여성성의 발현 ------------------------------------------- 1
2-2. 폭력적 세계의 공모자, 혹은 희생자 --------------------------- 2
2-3. 존재의 치욕과 소외 --------------------------------------- 2
2-4. 타락한 관계의 표상으로서의 왜곡된 性 ------------------------ 2
2-5. 연대성 회복을 위한 매저키즘적 전략 -------------------------- 2
2-6. 허무적 자기 응시 ---------------------------------------- 3

3. 작품분석 -------------------------------------------- 3

4. 평가 및 문학사적 의의 ------------------------------------ 5




◈ 김혜순

1. 작가 연보 -------------------------------------------- 6
2. 작가의 삶과 작품 -------------------------------------- 7
3. 김혜순의 여성주의적 시론 -------------------------------- 7

4. 김혜순의 시세계
4-1. 파괴되고 일그러진 ‘몸’ ------------------------------------ 8
4-2. 중첩된 ‘몸’의 원환적 계보 ----------------------------------- 9
4-3. 탈출의 욕구와 흐르는 ‘몸’ ----------------------------------- 9
4-4. 보는 ‘눈’에서 만지는 ‘손’으로 -------------------------------- 10
5. 작품 분석 -------------------------------------------- 10

6. 평가 및 문학사적 위치 ---------------------------------- 14

본문내용
2-1. 여성성의 발현
내용: 최승자의 시에서는 부분적으로 남성에 의한 여성성의 억압과 파괴를 폭로하고 있다. 그녀의 시에 자주 등장하는 분만의 상상력, 더럽혀진 性의 상징물로서의 자궁, 낙태와 死産(사산), 가학과 피학으로 물들어 있는 사랑의 행각, 생산에 대한 갈망 등은 이러한 의견을 뒷받침해 주고 있다.
문체: 여성시의 문체 중 고백체는 고전적인 방법이다. 최승자는 고백체를 방법적으로 차용한다. 고백적 진술은 푸코가 『성의 역사』에서 ‘억압받는 자의 행위 모델을 내면화한 글쓰기 유형’의 하나로 본대로, 이들은 그 경험이 녹아 있는 상황, 혹은 서사적 계기성 보다는 포괄적 이미지로 삶과 죽음의 문제를 교차시켜 삶의 문제를 더욱 투쟁적으로 나타내므로 단지 방법적으로만 고백적 문체를 차용하고 있다고 봐야 옳을 것이다.
최승자의 시는 비명과 슬픔의 고백적인 자기노출로 읽히긴 하지만, 그것은 다만 자아와 외부의 갈등관계를 극적으로 표현하기 위한 방법적 차용으로 보아야 한다. 그의 시에서 상대방은 남성적 세계의 정점에 있는 인물, 혹은 힘이다. 그러므로 그의 시의 자전적 고백체는 그 정점의 세력을 향한 항의의 절규이다.
모성성의 현현
최승자는 여자인 자신의 탄생을 ‘슬퍼하기 위하여 이 세상에 태어났다’라고 말한다. 왜냐하면 이 세계가 뭉뚱그려져서 그의 안에 들어왔고, 그는 그것을 끊임없이 생산하여야 하는 어머니로 태어났기 때문이라는 것이다. 그러므로 그의 아들들은 이 세계이다. 그러니 자연히 그의 남편은 이 세계를 창조한 자가 된다. 그런데 그의 남편은 시인과의 만남에서 항상 파괴적인 타자로 맞선다. 그녀의 시에 보면 그의 남편은 거대한 손, 죽음, 남자, 니힐리스트, 미래 등의 이름을 갖고 있다. 그런데 한 번도 그의 남편은 정상적으로 아름답고, 사랑스럽고, 귀여운 아기를 선사해 준 적이 없다. 그는 그에게 사산된 아기를, 녹슬은 세상을, 사막을, 아기는 어디가고 양수만 질펀히 흐르는 세상을 선사했다.
참고문헌
․ 김용희, 『김혜순 시에 나타난 여성 신체와 여성 환상 연구』, 한국문학이론과 비평 제22집, 2004
․ 김혜순, 『여성이 글을 쓴다는 것은』, 문학 동네, 2002
․ 나희덕,『20세기 문학 연구의 쟁점과 과제-다성적 공간으로서의 몸』, 국학 자료원, 2003
․ 송지현, 『현대 여성시에 나타난 ‘몸’의 전략화 양상-김혜순의 시 세계를 중심으로』, 한국문학이론 과 비평 제15집, 2002
․ 송지현, 『‘몸’의 코드화를 통한 고발과 수용-김혜순의 시세계』, 한국 여성시인 연구, 시와 사람, 2003
․ 신수정, 『나는 그녀를 시인기계 제 7호라 부르련다』, 월간 현대시, 2000
․ 이문재, 『문학동네 5호, 1995년 겨울-김혜순 시인을 찾아서』, 문학동네, 1995
․ 이명호, 『법 밖의 사랑, 사랑으로 낳은 시』, 여성과 사회 14권, 200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