어떻게 죽을 것인가(저자 아툴 가완디) 독서 토론 주제 발표문

 1  어떻게 죽을 것인가(저자 아툴 가완디) 독서 토론 주제 발표문-1
 2  어떻게 죽을 것인가(저자 아툴 가완디) 독서 토론 주제 발표문-2
 3  어떻게 죽을 것인가(저자 아툴 가완디) 독서 토론 주제 발표문-3
 4  어떻게 죽을 것인가(저자 아툴 가완디) 독서 토론 주제 발표문-4
 5  어떻게 죽을 것인가(저자 아툴 가완디) 독서 토론 주제 발표문-5
 6  어떻게 죽을 것인가(저자 아툴 가완디) 독서 토론 주제 발표문-6
 7  어떻게 죽을 것인가(저자 아툴 가완디) 독서 토론 주제 발표문-7
 8  어떻게 죽을 것인가(저자 아툴 가완디) 독서 토론 주제 발표문-8
 9  어떻게 죽을 것인가(저자 아툴 가완디) 독서 토론 주제 발표문-9
 10  어떻게 죽을 것인가(저자 아툴 가완디) 독서 토론 주제 발표문-10
※ 미리보기 이미지는 최대 20페이지까지만 지원합니다.
  • 분야
  • 등록일
  • 페이지/형식
  • 구매가격
  • 적립금
  • 레포트 > 독후감
  • 2015.03.29
  • 10페이지 / hwp
  • 1,300원
  • 39원 (구매자료 3% 적립)
자료 다운로드  네이버 로그인
소개글
어떻게 죽을 것인가(저자 아툴 가완디) 독서 토론 주제 발표문에 대한 자료입니다.
본문내용
독서 토론
어떻게 죽을 것인가
(저자 아툴 가완디)
▣ 책명 : ‘어떻게 죽을 것인가.’ 출판사:부·키. 역자 김희정
▣ 저자소개 : 아툴 가완디
1965년 미국 뉴욕시 브루클린 출생으로, 인도인 미국 이민자 의사 부부의 사이에서 태어났다. 스탠퍼드대학교를 졸업하고 옥스퍼드대학교에서 윤리학과 철학을 공부했으며, 하버드 의대에서 의학 박사학위를 받고, 공중보건에 관심이 많아 하버드 보건대학에서 공중보건학 석사학위도 받았다. 현재 보스턴에 있는 브리검 여성병원의 일반 외과의, 하버드 의대와 하버드 보건대학교의 조교수로 있으며, 《뉴요커》와《뉴잉글랜드 의학저널》, 인터넷 잡지《슬레이트》에 정기적으로 글을 기고하고 있다.그의 첫 저서 『나는 고백한다, 현대의학을 - 불완전한 과학에 대한 한 외과의사의 노트』는 《뉴욕타임스》 베스트셀러가 되었고 2002년 전미 도서상 최종 후보에도 올랐다. 우리나라에서도 2003년 KBS 〈TV, 책을 말하다〉선정 ‘올해의 책’에 선정된 바 있다. 『닥터, 좋은 의사를 말하다Better』는 2007년 아마존 10대 도서에 선정되었으며, 『체크! 체크리스트The Checklist Manifesto』 역시 베스트셀러에 올라 저술가로서 확고한 입지를 다졌다. 그는 최고의 과학 저술가에게 수여하는 루이스 토머스 상을 비롯해 내셔널 매거진 어워즈를 2회 수상했고, 사회에 가장 창조적인 기여를 한 인물에게 수여하는 맥아더 펠로십을 수상했다. 또한 그는 『타임Time』지가 선정한 ‘세계에서 가장 영향력 있는 사상가 100인’에 이름을 올렸으며, 2015년 영국 『프로스펙트Prospect』지가 선정한 ‘세계적인 사상가 50인’에 선정되었다.
역자 김희정
서울대 영문학과와 한국외국어대 동시통역대학원을 졸업했다. 현재 가족과 함께 영국에 살면서 전문 번역가로 활동하고 있다. 옮긴 책으로 『어떻게 죽을 것인가』 『장하준의 경제학 강의』 『채식의 배신』 『그들이 말하지 않는 23가지』 『견인 도시 연대기』(전 4권) 『코드북』 『두 얼굴의 과학』 『우주에 남은 마지막 책』 『영장류의 평화 만들기』 『아인슈타인과 떠나는 블랙홀 여행』 『내가 사는 이유』 등이 있다.
이 책은 현대인이 경험하는 죽음에 관한 내용을 담고 있다. 나이 들어 죽음을 맞이해야 하는 존재라는게 어떤 건지, 의학이 경험을 어떻게 변화시키고 또 변화시키지 못 했는지 그리고 우리가 유한성에 대처하기 위해 생각해 낸 방법이 현실을 어떻게 왜곡시켰는지를 살펴볼 것이다. 저자는 의사로서 말기환자들을 돌본 경험과 더불어 아버지의 임종을 직접 겪으며, 고뇌했던 값진 경험을 차분하고 조리있게 풀어놓는다. 자신의 우선순위에 따라 직접 선택을 하고 다른 사람이나 세상과의 연결을 유지할 수 있기를 바란다는 것이다. 존엄하게 죽음을 맞이하지 못하는 경우가 있다. 무조건 수명만 늘리기 위해 임종 직전까지도 인공호흡기에 매달린 채 중환자실에 누워 무의미한 연명치료에 집착한다. 평상시 죽음을 직시하고 성찰하지 못했기 때문이다. 미국에서 이루어진 한 연구결과도 이를 입증하고 있다. 심폐소생술을 받고 인공호흡기에 의지한 채 중환자실 치료를 받은 말기암 환자들은 그렇게 하지 않은 환자들에 비해 마지막 일주일 동안 삶의 질이 훨씬 나빴고, 환자들을 돌봤던 사람들도 그들이 사망한지 6개월 후 심각한 우울증을 겪을 확률이 세배나 높았다고 한다. 또한 완화치료 전문팀과 상담한 말기 암 환자들은 화학요법 치료를 더 일찍 중단 했고, 대신 호스피스 케어를 더 일찍 선택했으며 삶의 마지막 단계에 고통을 덜 경험했다. 더욱이 이들은 일반적인 연명치료를 받은 사람들보다 25%나 더 오래 살았다는 놀라운 결과도 제시하고 있다. 의료인들의 책임은 인간을 인간으로 대하는 것이다. 마지막에 이른 사람들은 차마 꺼내기 어려운 대화를 기꺼이 나눠 줄 의사와 간호사를 필요로 한다. 그런데 미국뿐만 아니라 모든 선진국에서도 노화와 죽음은 병원이나 요양원에서 겪는 일이 되었다. 죽음은 비록 우리의 적일는지는 모르지만 사물의 자연스러운 질서이자 의학적 경험으로 만드는 실험이 시작된 것은 10년밖에 되지 않았다. 역사는 짧은 셈이다. 그리고 그 실험은 실패하고 있는 듯하다.
어떻게 죽을 것인가
1.독립적인 삶 - 혼자 설 수 없는 순간이 찾아온다.
2.무너짐 - 모든 것은 결국 허물어지게 마련이다.
3.의존 - 삶에 대한 주도권을 잃어버리다.
4.도움 - 치료만이 전부가 아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