언어 산출에 관련된 분야들에서의 논의 요약

 1  언어 산출에 관련된 분야들에서의 논의 요약-1
 2  언어 산출에 관련된 분야들에서의 논의 요약-2
 3  언어 산출에 관련된 분야들에서의 논의 요약-3
※ 미리보기 이미지는 최대 20페이지까지만 지원합니다.
  • 분야
  • 등록일
  • 페이지/형식
  • 구매가격
  • 적립금
자료 다운로드  네이버 로그인
소개글
언어 산출에 관련된 분야들에서의 논의 요약에 대한 자료입니다.
본문내용
「언어 산출에 관련된 분야들에서의 논의」요약
언어 심리학에서 언어 산출을 다루는 흐름에는 연산주의 가정을 따르는 르펠트 모형과 병렬 분산 처리 도는 연결주의 가정을 다르는 델 모형이 있다. 어느 흐름도 완벽하게 단독으로 언어 산출을 설명할 수 없었다. 따라서 이후 발전 모형은 서로를 참고하여 장점들을 결합해가고 있는데 이 글에서는 르펠트 모형을 중심으로 연결주의 가정을 수용해 나가는 모습을 제시하였다.
르펠트의 언어 산출과정은 간단히 말하면 내용이 먼저 결정된 뒤에 형식이 따라 나옴을 보여준다. ‘수사-의미-통사 체계’에서 개념이 마련되면 이것이 언어화 이전의 전달내용이 되며, 문법 부호화 작업이 일어난다. 이때 개념을 마련하는 과정에는 배경지식이라고 할 수 있는 ‘외부-내부세계지식’이 두 사람의 공통기반과 정보간격을 가늠하면서 담화모형을 만들게 된다. 그런 후 두 번째 단계로 넘어가 형태 및 음운이 부호화되고 음성 부호화를 거쳐 목소리로 나오게 된다. 그런데 이 과정에는 의사소통 의도가 결정되는 복잡한 과정과 그 의도가 언어 형식으로 발화된 뒤에 청자의 반응을 점검하면서 의사소통을 이어가는 역동적 과정은 들어 있지 않다.
르펠트 모형에서 최종 출력물은 외현된 발화인데 옆에 자기 점검 체계를 그려 놓았다. 이런 모습이 실제 의사소통에서 사용되려면 추가되어야 할 부서들이 있다. 의사소통 의도를 결정하는 과정이 복선적으로 이뤄져야 하는데 ‘의도’는 예비의도, 현재 작동중인 의도, 상대방이 내 의도를 알아차리지 못했을 경우 대처 방법을 결정해 주는 상위 의도들이있다. 르펠트 모형에서는 이런 복합 층위의 의도 결정 과정을 제대로 반영하지 못하였다.
의사소통 의도가 결정되었다고 하더라도 표현할 내용에서 서술 관점(결과중심, 과정중심)이 수립되어야 한다. 그 후에도 표현법(직적적 표현, 간접적 표현: 우회적, 비유적)도 결정되어야 한다.
언어 산출의 과정은 매우 역동적이고 즉각적이며 순간 판단력이 발휘되어야 하는데 르펠트의 모형에서는 이를 통제할 수 있는 제3의 부서가 없다. 이 제3의 부서는 자기점검은 물론, 재귀의식이 가동되어 나와 상대방의 반응을 점검하고 활인해 나가는 일을 하며 이런 점들은 언어 산출에서 ‘작업기억’과 유사한 부서를 요구하며 반드시 동시에 같이 연동하면서 진행되어야 하는 연결주의의 필요성을 강조해 준다.
언어 산출 과정에 대한 심리학의 연구에서 가장 큰 약점은 언어화 이전의 단계에서 많은 일들이 일어나는데, 이를 제대로 다루지 못한다는 점이다. 산출 초기 단계에서는 적어도 두 가지 중요한 논제를 다루어야 한다. 첫째, 인간 사고에 대한 논의이다. 언어를 산출하기 위해 사고가 어떻게 촉발되고, 어떤 모습으로 형성되며, 무슨 결정들이 내려지는지를 다루어야 한다. 둘째, 담화 또는 담론 모형이다. 언어 자체 뿐만 아니라 사용 상황과 청자에 대한 변인들도 중요하게 다뤄져야 한다. 그리고 언어에서 텍스트로 발전하고 텍스트에서 담론으로 발전할수록 권력관계나 지배 이념의 문제가 있다. 이런 것들도 충분히 다뤄져야 의사소통 의도가 결정되고 서술 관점과 표현 방식이 선택되며, 마지막으로 언어로 표현되는 단계를 다룰 수 있다.
일상 언어 철학에서는 언어가 진리를 드러내는 도구이며 더욱 중요한 것이 언어 그 자체가 행위라는 점에 주목한다. 또한 언어 행위는 늘 두 가지 이상의 행위가 복합되어 있는데 이는 오스틴의 화행 이론의 시발점이 된다. 이를 실제 언어 사용에 적용하려면 언어 사용 규범에 대한 질서를 만들어야 하며 자유 의지에 따라 그 질서를 상대가 알아차릴 수 있도록 위배할 수도 있다. 의사소통에 참여하는 구성원들이 서로 간에 어떤 방식으로 어떤 절차를 통해 과제를 해결해 나가더라도 각 과제들마다 연결되어 진행되려면 상위 차원에서 의사소통 진행을 방해하는 요인을 자각하며 긴밀하게 협동해야 한다.
하버마스에 따르면 그는 인간 행위 중 사회적 행위를 크게 의사소통 행위와 전략적 행위로 나누고 있다. 전략적 행위는 이득을 취하는 것이 목표이고 의사소통 행위는 상호 이해를 지향한다고 한다. 그렇지만 의사소통 행위 역시 언제든지 이득을 취하려는 전략적 행위에 의해 간섭 받고 교란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친분 쌓는 행위는 반드시 이익을 얻어내려고 전략적으로 이루어지는 것만은 아니다. 감성적으로 서로 정을 나누는 행위로 간주할 수 잇는데 미세하게 살피면 의사소통 과정에서 서로의 체면에 대한 문제가 부각될 수 있다.
개인들 사이에 상호작용을 다루는 미시사회학에서는 ‘상징적 상호작용’이론을 통해 인간들의 의사소통에 주목하여 왔다. 어뷩 고프먼은 대화를 통한 상호작용이 단순하지 않고 언제나 세 가지 축이 융합된 채 이뤄진다고 보았다.
① 상호작용 의례 갖추기 과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