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졸업][간호연구와 통계] 신규간호사의 간호전문직 의식과 이직유무와의 관계

 1  [졸업][간호연구와 통계] 신규간호사의 간호전문직 의식과 이직유무와의 관계-1
 2  [졸업][간호연구와 통계] 신규간호사의 간호전문직 의식과 이직유무와의 관계-2
 3  [졸업][간호연구와 통계] 신규간호사의 간호전문직 의식과 이직유무와의 관계-3
 4  [졸업][간호연구와 통계] 신규간호사의 간호전문직 의식과 이직유무와의 관계-4
 5  [졸업][간호연구와 통계] 신규간호사의 간호전문직 의식과 이직유무와의 관계-5
 6  [졸업][간호연구와 통계] 신규간호사의 간호전문직 의식과 이직유무와의 관계-6
 7  [졸업][간호연구와 통계] 신규간호사의 간호전문직 의식과 이직유무와의 관계-7
 8  [졸업][간호연구와 통계] 신규간호사의 간호전문직 의식과 이직유무와의 관계-8
 9  [졸업][간호연구와 통계] 신규간호사의 간호전문직 의식과 이직유무와의 관계-9
 10  [졸업][간호연구와 통계] 신규간호사의 간호전문직 의식과 이직유무와의 관계-10
 11  [졸업][간호연구와 통계] 신규간호사의 간호전문직 의식과 이직유무와의 관계-11
 12  [졸업][간호연구와 통계] 신규간호사의 간호전문직 의식과 이직유무와의 관계-12
 13  [졸업][간호연구와 통계] 신규간호사의 간호전문직 의식과 이직유무와의 관계-13
 14  [졸업][간호연구와 통계] 신규간호사의 간호전문직 의식과 이직유무와의 관계-14
 15  [졸업][간호연구와 통계] 신규간호사의 간호전문직 의식과 이직유무와의 관계-15
 16  [졸업][간호연구와 통계] 신규간호사의 간호전문직 의식과 이직유무와의 관계-16
 17  [졸업][간호연구와 통계] 신규간호사의 간호전문직 의식과 이직유무와의 관계-17
※ 미리보기 이미지는 최대 20페이지까지만 지원합니다.
  • 분야
  • 등록일
  • 페이지/형식
  • 구매가격
  • 적립금
  • 논문 > 의약계열
  • 2005.08.09
  • 17페이지 / hwp
  • 2,800원
  • 84원 (구매자료 3% 적립)
자료 다운로드  네이버 로그인
소개글
[졸업][간호연구와 통계] 신규간호사의 간호전문직 의식과 이직유무와의 관계에 대한 자료입니다.
목차
1. 연구의 필요성
2. 용어정의
3. 가설
4. 연구의 목적
5. 개념 (conceptual Framework)
6. 문헌고찰
1) 전문직 기준
2) 전문의식 척도
3) 이 직
4) 이직의 요인
7. 연구 설계
1) 연구 방법
2) 자료수집 방법
3) 모집단과 표본크기
4) 추출 방법
8. 연구도구
9. 자료 분석
10. 결과 분석
11. 결 론
12. 기여도
13. 제언
14. Reference
본문내용
1. 연구의 필요성

임상간호사회(2002)가 국내 35개 병원을 대상으로 실시한 조사보고에 의하면, 국내 간호사의 이직률은 평균 16.6%이다. 이는 노동부(2003)에 따른 보건 및 복지 사업 종사자의 이직률이 1.85%인 것에 비교하면 월등히 높은 수치일 뿐 아니라, 적정비율인 연 5~10%를 훨씬 넘어서는 수치이다.
현대의 보건의료 분야는 급변하는 사회 속에서 과학 기술 발전과 더불어 사회, 경제 등의 여러분야가 다양하게 전문화되어 간호사에 대한 사회의 기대나 요구도 그 폭이 넓어지고 있으며 의사의 조력자만이 아니라 평가자, 조정자, 고문관, 교육자, 상담자, 운영자, 협조자로서의 확대된 역할이 요구되고 있다(박경숙 외, 1995). 이러한 역할 수행을 통한 간호직의 지속적인 발전을 위해 유능한 전문직 간호사의 확보가 절대적으로 필요한 상황에서 간호사의 이직률 증가는 양질의 간호제공에 치명적인 영향을 미칠 수 있다. 또한 Cavanagh & Coffin (1992, 이명선 외 , 2003 재인용)에 의하면 이직은 병원의 비용측면의 손해와, 동료들 간의 사기저하로 인한 업무능률 저하를 초래한다고 하였다.
간호 이직률의 영향을 미치는 요인에 대한 연구를 살펴보면, 직무 만족, 나이, 결혼, 밤 근무, 상사의 관리 유형, 간호사의 직위, 학력, 스트레스 등으로 나타난다(이명선 외, 2003). 그 중, 간호사의 직무 불만족이 이직 의도나 이직률과 관련이 크다고 보고 있다(Cavanagh & Coffin, 1992, 이명선 외, 2003 재인용).
김혜정(2002)은 간호사가 직무에 불만족을 느끼고 이직하려는 요인으로 전문직 간호를 제공할만한 시간적 여유가 없으며, 환자의 욕구를 배려할 만한 여유가 없어 갈등을 느끼는 것을 제시하였다.
간호사의 이직률에 대한 기존의 연구들은 리더십상황, 직무만족, 조직몰입, 집단 스트레스, 집단갈등과의 연관성만을 조사하였고 신규간호사의 이직요인 규명과 이직유무에 관한 연구는 부족하였다. 따라서 신규 간호사의 전문직 의식과 이직유무와의 관계를 규명하는 것이 필수적인 접근이라 할 수 있다. 본 연구에서는 신규간호사의 전문직 의식과 이직유무의 상관관계가 높다고 가정하고 이를 규명하여 신규간호사의 이직률을 낮추는데 기여하고자 하였다.
전언한 내용에서 간호사의 직무 불만족이 간호사의 이직에 큰 영향을 미치며, 이 직무 불만족에서 전문직 의식이 차지하는 비중이 큼을 알 수 있었다. 하지만, 간호사의 이직률과 전문직 의식의 직접적인 상관관계에 대한 연구가 부족하였다. 또한, 박경숙, 조정호,
참고문헌
김영미(1994). 임상간호사의 이직의도 및 이직에 관한 연구. 서울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 논문.

김포옥(1998). 한국공공도서관장의 전문직의식과 그 영향요인. 한국도서관정보학회지, 28, 1-38.

김혜정(2002). 중소병원과 대학병원 간호사의 직무 만족도와 이직의사에 관한 비교 연구. 경희대학교 행정대학원 석사학위 논문.

박정호, 김매자, 이선옥(1997). 新간호학 개론. 서울: 서울대학교 출판부, 162-163.

박종연(1992). 한국의사의 전문직업성 추이에 관한 연구. 연세대학교 대학원 사회학과 박사학위논문.

박주옥(1992). 임상간호사의 간호전문직 태도와 직무만족에 관한 연구. 중앙대학교 대학원 간호학과 석사학위논문.

윤경희(1998). 의료기술의 발달에 따른 수술실 간호사의 전문직 정체성. 연세대학교 관리과학대학원 석사학위논문.

이제환(2003). 전문직 이론을 통해 본 사서직의 전문성. 한국문헌정보학회지, 37(2), 57-87.

임상간호사회(2002). 2002년도 사업보고서: 전국병원 간호사 배치현황 보고서. 서울: 임상 간호사회.

전병재, 안계춘, 박종연(1995). 한국사회의 적문직업성 연구. 서울: 사회비평사

최송희(1996). 임상간호사의 전문직 태도와 간호수행 정도에 관한 연구. 이화여자대학교 석사학위논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