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교회 신학사상사] 포스트 모더니즘 신학 논쟁(포스트 모더니즘 사상 개요 및 역사적, 신학적 고찰)

 1  [한국교회 신학사상사] 포스트 모더니즘 신학 논쟁(포스트 모더니즘 사상 개요 및 역사적, 신학적 고찰)-1
 2  [한국교회 신학사상사] 포스트 모더니즘 신학 논쟁(포스트 모더니즘 사상 개요 및 역사적, 신학적 고찰)-2
 3  [한국교회 신학사상사] 포스트 모더니즘 신학 논쟁(포스트 모더니즘 사상 개요 및 역사적, 신학적 고찰)-3
 4  [한국교회 신학사상사] 포스트 모더니즘 신학 논쟁(포스트 모더니즘 사상 개요 및 역사적, 신학적 고찰)-4
 5  [한국교회 신학사상사] 포스트 모더니즘 신학 논쟁(포스트 모더니즘 사상 개요 및 역사적, 신학적 고찰)-5
 6  [한국교회 신학사상사] 포스트 모더니즘 신학 논쟁(포스트 모더니즘 사상 개요 및 역사적, 신학적 고찰)-6
 7  [한국교회 신학사상사] 포스트 모더니즘 신학 논쟁(포스트 모더니즘 사상 개요 및 역사적, 신학적 고찰)-7
 8  [한국교회 신학사상사] 포스트 모더니즘 신학 논쟁(포스트 모더니즘 사상 개요 및 역사적, 신학적 고찰)-8
 9  [한국교회 신학사상사] 포스트 모더니즘 신학 논쟁(포스트 모더니즘 사상 개요 및 역사적, 신학적 고찰)-9
 10  [한국교회 신학사상사] 포스트 모더니즘 신학 논쟁(포스트 모더니즘 사상 개요 및 역사적, 신학적 고찰)-10
※ 미리보기 이미지는 최대 20페이지까지만 지원합니다.
  • 분야
  • 등록일
  • 페이지/형식
  • 구매가격
  • 적립금
자료 다운로드  네이버 로그인
소개글
[한국교회 신학사상사] 포스트 모더니즘 신학 논쟁(포스트 모더니즘 사상 개요 및 역사적, 신학적 고찰)에 대한 자료입니다.
본문내용
포스트 모더니즘 신학 논쟁
- 포스트 모더니즘 사상 개요 및 역사적, 신학적 고찰 -
“절대적인 것을 이와 같이 상대화하는 것을 비판하는 일이,
비록 그것이 무신론적인 결과를 낳는 한이 있더라도 더 종교적이다.
왜냐하면 이것이 초자연의 영역으로 신을 추방하는 유신론보다는
더 많이 신의 절대성을 의식하고 있기 때문이다.“ John A. T. Robinson, 현영학 역『신에게 솔직히』(2007), 72. / 저자는 폴 틸리히의 글을 인용하였다.
들어가는 말
권위에 대한 도전은 기독교 역사에서 일종의 금기였다. 어느 시대나 금기가 있기는 마련이지만 교회와 성서에 대한 비판처럼 확고하며 오랫동안 지속된 금기도 인류 역사상 찾아보기 힘들 것이다.
하나의 궁극적 실재의 권위가 실제로는 인간사회의 권력과 밀접한 연관이 있음을 어떤 이들은 이미 깨달았지만 기독교는 그 권위가 오직 하나님께만 있음을 지지해 왔다. 그러나 현대성modernity은 권위를 수용하기를 거절했다. Lesslie Newbigin, 김기현 역『포스트 모던 시대의 진리』(2005), 9.
그 권위가 진보를 가로 막는다고 여겼기 때문이다. 이 권위에 대한 의심이 본격화 되었을 때 사람들은 과거와 단절된 새시대가 열릴 것이라고 기대했다. 그러나 그 기대는 온갖 좌절과 절망을 안긴 채 얼마 못가 좌초되어 버렸다. 진보를 가로막는 신화를 극복하고자 만든 또 다른 신화가 난파된 것이다. Ronal Wright, 김해식 역, 『진보의 신화』(2004), 21.
사람들은 그 기대가 환상이었다는 것을 깨닫기 시작했고 그 깨달음에서 오늘 우리가 논의하고자 하는 포스트모던이 피어났고 포스트모던은 무조건 전진만 하던 모더니티를 극복한 진정한 퍼스트모던First-Modern이 되었다.
이미 한국교회는 이러한 도전을 신학계로부터 받았었고 비록 교회에까지 파급효과를 가져오지는 못한 일종의 학문적 실험으로 치부되는 수모를 겪었음에도 불구하고 이러한 의심은 단지 소위 진보적 신학 진영에서 나온 교권과 화석화된 신학에 대한 트집과 반성을 넘어서서, 이제는 교계 안팎으로부터 권위라는 말 대신(물론 그 단어도 포함하여) 배타성과 독선적이란 캣치 프레이즈로 무장한 학문적, 실천적 세력으로부터 거센 비판과 도전에 직면해 있다. 이 거센 도전에 대하는 신학과 교회의 자세는 본 발제에서 논의하지 않겠다. 그러나 그 도전의 실체와 본질이 무엇인지를 알아야 하는 것만은 분명하다. 그것들이 적이어서가 아니라 우리의 친구이거나 최소한 우리가 가진 본질을 손상시키지 않을 가능성이 있는 진실이 그 가운데 있을 수도 있기 때문이다. 그런 의미에서 본 발제가 소개하고자 하는 포스터-모더니티 또는 포스트-모더니즘과 그 신학의 발생과 전개 과정, 그리고 사상적 핵심을 파악하면, 앞으로의 한국교회의 목회현장의 실제적 방향과 신학적 담론을 재구성하는데 있어 중요한 모티브가 될 수 있을 것이다. 본 발제 전반부는 포스트모더니즘을 개략적으로 소개하고 후반부에 홍정수교수로부터 구체화된 논쟁의 핵심 사상 2가지(포스트모던적 신론과 한국적 상생의 민족사상과 포스트모던적 신학의 적용 가능성)를 알아보고자 한다.
모더니티에서 포스트-모더니티로의 움직임
이것은 거대한 변혁이요 전환이다. 그러나 이 움직임을 명확하게 설명하고 평가하기란 쉽지 않다. ‘포스트모던이란 용어는 1930년대에 이미 진행중이던 두드러진 역사적 변화를 설명하기 위하여, 그리고 예술 영역에서 일어나고 있는 확고한 발전을 명명하기 위하여 사용되었다. 그러나 이 사상은 1970년대에 처음에는 건축의 새로운 스타일을 의미하는 용어로 사용되다가 점차 학문적 영역에서 사용되었다는 것이 대체적인 평가이다. 특히 대학의 영문학과 철학과에서 상술된 이론을 설명하는 명칭으로 사용되기 시작했다. 이르기까지 그렇게 관심을 끌지는 못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