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교회사의 제문제] 자유주의와 복음주의의 개념 문제(한국교회사적 상황을 중심으로)

 1  [한국교회사의 제문제] 자유주의와 복음주의의 개념 문제(한국교회사적 상황을 중심으로)-1
 2  [한국교회사의 제문제] 자유주의와 복음주의의 개념 문제(한국교회사적 상황을 중심으로)-2
 3  [한국교회사의 제문제] 자유주의와 복음주의의 개념 문제(한국교회사적 상황을 중심으로)-3
 4  [한국교회사의 제문제] 자유주의와 복음주의의 개념 문제(한국교회사적 상황을 중심으로)-4
 5  [한국교회사의 제문제] 자유주의와 복음주의의 개념 문제(한국교회사적 상황을 중심으로)-5
 6  [한국교회사의 제문제] 자유주의와 복음주의의 개념 문제(한국교회사적 상황을 중심으로)-6
 7  [한국교회사의 제문제] 자유주의와 복음주의의 개념 문제(한국교회사적 상황을 중심으로)-7
※ 미리보기 이미지는 최대 20페이지까지만 지원합니다.
  • 분야
  • 등록일
  • 페이지/형식
  • 구매가격
  • 적립금
자료 다운로드  네이버 로그인
소개글
[한국교회사의 제문제] 자유주의와 복음주의의 개념 문제(한국교회사적 상황을 중심으로)에 대한 자료입니다.
본문내용
자유주의와 복음주의의 개념 문제
(한국교회사적 상황을 중심으로)
1. 서 론
자유주의와 복음주의는 특정한 시기와 상황 하에서 서구에서 생성된 신학으로 한국교회에 유입되어 영향을 미쳐왔다. 그러나 세계적인 의미에서 규정되는 자유주의 신학의 개념과 한국교회의 신학사에서 이해되던 자유주의의 개념은 확연히 다른 면을 찾아볼 수 있다. 복음주의의 경우도 태동된 배경이 분명치 않지만 한국교회 초기의 복음주의 개념과 오늘날 소위 복음주의라는 말을 쓰기 좋아하는 그룹들이 사용하는 복음주의의 개념 사이에 적지 않은 차이점이 있음을 발견할 수 있다.
예컨대 한국교회의 대표적인 자유주의자라고 명명되었던 김재준, 송창근의 경우를 보더라도, 그들은 신정통주의의 영향을 받아 정통주의와 자유주의를 동시에 비판하는 칼 바르트 신학의 영향 하에 신정통주의의 입장에 서 있었다. 비교적 보수적인 입장의 신학을 펼치는 한철하도 김재준 목사의 사상은 역시 신정통주의 신학에서 따온 ‘그리스도 중심주의’ 또는 ‘말씀’의 신학이었다고 말하고 있다. 한철하, “김재준의 성경관과 신정통주의 신학”, 『김재준의 생애와 사상』, 풍만출판사, 1986, 315
그러나 보수적 정통주의자(근본주의자)들은 신정통주의 신학마저 자유주의라고 단언하고 있고, 신정통주의의 입장에 서 있는 신학자들을 계속 자유주의자로 공격하였다. 복음주의의 경우도, 학자마다 달리 설명하는 경우가 많아 명확한 개념을 규정하기 어렵다. 또한 오늘날 대부분의 교단, 특히 보수적 그룹을 중심으로 ‘복음주의’라는 용어를 폭넓게 사용하고 있어 정확한 개념을 설정하기란 더더욱 어려운 듯하다.
필자는 이 글에서 유럽과 미국의 상황에서 생성된 자유주의와 복음주의의 개념이 한국교회에서 어떻게 사용되어 왔고 전개되어 왔는지? 한국교회사적 상황을 중심으로 살펴볼 것이다.
2. 한국교회사에서 자유주의는 존재했었는가?
한국교회의 신학은 서구신학으로부터 계속적으로 영향을 받아왔던 것이 사실이지만, 유럽에서 태동되었던 자유주의 신학의 경우는 한국 교회사 안에서 한 번도 정착해 본 적이 없었다. 그러나 정통주의(근본주의)를 지향했던 박형룡을 위시한 근본주의 신학자들은 자유주의의 반동으로 등장한 신정통주의 마저 자유주의라고 단정했다.
엄격한 정통신학의 관점에서 판단하면 신정통 자체가 오히려 자유주의요, 이전의 자유주의로부터 얼마큼 우경(右傾)한 무엇 뿐이다. 고로 19세기의 자유주의는 20세기에서 다소 실세하였더라도 의연히 생존하여 활동을 계속하고 있는 것이 사실이다. 박형룡, “한국교회에 있어서의 자유주의”, 『신학지남 제31권(통권 제127호)』, 1964, 154
박형룡은 소위 정통주의 신학 이외의 모든 신학을 ‘신신학’이라고 규정하며 자유주의의 범주에 포함시켰다. 자유주의에 반기를 들고 나온 신정통주의 신학자 칼 바르트마저 박형룡은 자유주의 신학자의 범주에 포함시킨 것이다. 따라서 신정통주의를 지향했던 김재준, 송창근 같은 신학자들도 자유주의자로 정죄하여 혹독한 논쟁을 벌였던 것이다.
반면에 주재용은 한국교회의 신학에서 자유주의 신학은 없었다는 것을 분명히 하며 한국의 진보신학은 자유주의가 아니라 신정통주의 신학이었음을 아래와 같이 주장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