박근혜 대통령 탄핵 집회에서의 소셜 네트워크 서비스(SNS)의 역할에 관한 연구(제안)

 1  박근혜 대통령 탄핵 집회에서의 소셜 네트워크 서비스(SNS)의 역할에 관한 연구(제안)-1
 2  박근혜 대통령 탄핵 집회에서의 소셜 네트워크 서비스(SNS)의 역할에 관한 연구(제안)-2
 3  박근혜 대통령 탄핵 집회에서의 소셜 네트워크 서비스(SNS)의 역할에 관한 연구(제안)-3
 4  박근혜 대통령 탄핵 집회에서의 소셜 네트워크 서비스(SNS)의 역할에 관한 연구(제안)-4
 5  박근혜 대통령 탄핵 집회에서의 소셜 네트워크 서비스(SNS)의 역할에 관한 연구(제안)-5
 6  박근혜 대통령 탄핵 집회에서의 소셜 네트워크 서비스(SNS)의 역할에 관한 연구(제안)-6
※ 미리보기 이미지는 최대 20페이지까지만 지원합니다.
  • 분야
  • 등록일
  • 페이지/형식
  • 구매가격
  • 적립금
자료 다운로드  네이버 로그인
소개글
박근혜 대통령 탄핵 집회에서의 소셜 네트워크 서비스(SNS)의 역할에 관한 연구(제안)에 대한 자료입니다.
본문내용
박근혜 대통령 탄핵 집회에서의 소셜 네트워크 서비스(SNS)의 역할에 관한 연구 (제안)

1. 연구목적
2. 이론적 검토
2-1 공론장과 SNS
2-2 증가하는 SNS 활용
2-3 음성에서 문자로 문자에서 이미지로
3. 연구방법
1. 연구 목적
박근혜 대통령 탄핵·퇴진을 요구하는 시위 참가자는 2016년 12월 24일 9차 촛불집회를 기준으로 주최 측 주장 900만 명에 달한다. 12월 31일 10차 집회가 예정돼 있어 연 참가자는 1000만 명을 넘길 것으로 전망된다. 참가 인원을 둘러싸고 경찰과 집회 주최 측 사이에 상당한 차이를 보이지만 과거의 집회와 비교할 때 참가 인원이 역대 최대 수준인 것은 분명하다. 1987년 6월 항쟁, 2008년의 광우병 촛불 집회 참가자 수는 이미 넘어섰다.
역대 최대 규모를 가능하게 하는 요인은 다양하지만 소셜 네트워크 서비스 (SNS)가 집회 참가자 확대에 상당한 역할을 했다는 것을 부인하기 어렵다. 집회 현장에서 기념사진을 찍어 SNS에 올리고, SNS로 1인 중계방송을 한다. 연예인들은 자신의 집회참가를 SNS를 통해 팬들에게 알린다. 박근혜 대통령 탄핵 ·퇴진 집회에서 SNS는 어떠한 역할을 했는가. 집회참가자들은 어떤 SNS를 주로 사용했는가. SNS활용은 과거 집회에서의 활용과 어떤 다른 모습을 보이는가.
2. 이론적 검토
2-1 공론장과 SNS
1990년대 일반인들 앞에 본격적으로 등장한 인터넷은 참여와 공유에 기초한 변화를 이끌어 내고 있다. 인터넷에 앞서 TV와 라디오가 시간과 공간을 넘어서는 기술로 인간 인식의 변화, 사회의 변화에 상당한 역할을 했지만 인터넷은 기술 발전과 함께 쌍방향성을 무기로 TV, 라디오와는 다른 영향력을 행사하고 있다. 인터넷은
새로운 미디어로서 개인의 의사소통 밀도와 빈도를 증가시키고 있으며 쌍방향적인 특성은 다른 미디어와 비교해 대단히 민주적인 것으로 평가받고 있다(@@@, 2008).
2008년 한국 사회를 뜨겁게 달궜던 촛불집회는 방송이나 신문이 아니라 온라인과 모바일과 양식을 통해 문자, 동영상, 음성 중계 등이 폭발적으로 증가하고 있음을 보여줬다(@@@, 2011).
인터넷이 전통적 저널리즘 영역을 대신하기 시작한 지는 이미 오래됐다. 인터넷 시대 저널리즘의 특징은 멀티미디어적 성격, 상호작용성, 즉각성 등 다양한 형태로 나타난다.
SNS와 같은 인터넷 소통에 대해선 이미 많은 연구들이 진행돼 왔다. 선행연구의 공통점을 요약하자면 ‘인터넷 공간의 민주적 잠재력에 주목해 왔다’고 할 수 있다. 대부분 연구들의 출발점은 하버마스(Habermas)의 공론장 개념을 바탕으로 하고 있다. 크게 세 가지 흐름의 연구가 있다고 볼 수 있다. 첫째 흐름은 온라인상에서 발생하는 토론이 만들어 내는 공론장의 성격에 관한 논의들이다. 온라인 토론을 연구하는 다수의 선행연구는 인터넷을 통해 나타난 새로운 토론의 공간이 기존의 언론-사회 지배 구조에서 이탈한 대안적 정치공간으로 작용하고 있는 것으로 파악한다. 대표적으로 이준웅(2005)은 댓글에서 나타나는 비판적 담론들을 ‘비판적 담론 공중’의 등장으로 설명한다. ‘비판적 담론 공중’이 댓글과 같은 공론의 공간을 통해 언론의 지배적 담론에 도전하는 모습을 보였다는 평가도 나온다. 연구들은 대부분 하버마스의 공론장의 개념에서 출발하지만, 일부 연구는 공론장 개념이 전제하고 있는 ‘합리성에 기반을 둔 토론’이라는 속성을 가진 제한성에 주목하고, 하버마스의 견해와 다른 새로운 공론장의 모형 속에서 인터넷 공론장의 의미를 정립하기도 한다. 이러한 연구들은 온라인에서 종종 나타나는 ‘비이성적’ 속성들이 하버마스의 공론장 개념에서 제시하는 이상적 발화조건에 어울리지 않는 면이 있지만, 비이성적 토론이 갖는 유희적 요소 또는 감정적 요소가 오히려 온라인 공간을 대의정치 제도의 하위영역으로 전락시키지 않고 대안적 주체 형성이라는 측면에서 공론장의 본질적 속성을 유지하는 요소로 작동하는 것으로 평가하기도 한다.
오늘 본 자료
더보기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해당 정보 및 게시물의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위 정보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에 신고해 주시기 바랍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