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교회신학 사상사] 해방신학, 흑인신학의 유입과 민중신학의 파문(민중신학의 개요를 중심으로)

 1  [한국교회신학 사상사] 해방신학, 흑인신학의 유입과 민중신학의 파문(민중신학의 개요를 중심으로)-1
 2  [한국교회신학 사상사] 해방신학, 흑인신학의 유입과 민중신학의 파문(민중신학의 개요를 중심으로)-2
 3  [한국교회신학 사상사] 해방신학, 흑인신학의 유입과 민중신학의 파문(민중신학의 개요를 중심으로)-3
 4  [한국교회신학 사상사] 해방신학, 흑인신학의 유입과 민중신학의 파문(민중신학의 개요를 중심으로)-4
 5  [한국교회신학 사상사] 해방신학, 흑인신학의 유입과 민중신학의 파문(민중신학의 개요를 중심으로)-5
 6  [한국교회신학 사상사] 해방신학, 흑인신학의 유입과 민중신학의 파문(민중신학의 개요를 중심으로)-6
 7  [한국교회신학 사상사] 해방신학, 흑인신학의 유입과 민중신학의 파문(민중신학의 개요를 중심으로)-7
 8  [한국교회신학 사상사] 해방신학, 흑인신학의 유입과 민중신학의 파문(민중신학의 개요를 중심으로)-8
※ 미리보기 이미지는 최대 20페이지까지만 지원합니다.
  • 분야
  • 등록일
  • 페이지/형식
  • 구매가격
  • 적립금
자료 다운로드  네이버 로그인
소개글
[한국교회신학 사상사] 해방신학, 흑인신학의 유입과 민중신학의 파문(민중신학의 개요를 중심으로)에 대한 자료입니다.
본문내용
해방신학, 흑인신학의 유입과 민중신학의 파문
(민중신학의 개요를 중심으로)
1. 서 론
민중신학은 문화적으로는 아시아 문화 전통에 접맥되고 정치 사회적으로는 제3세계적 상황에서 태동된 독창적 한국신학이다. 박재순, 『민중신학과 씨사상』, 天池, 1990, 62
민중신학은 1970년대 암울했던 한국의 사회, 경제, 정치적 상황에서 형성되었다. 1970년대 박정희 군사정권의 정치적 탄압과 불의한 경제개발 정책으로 인해 민중들이 정치, 경제적으로 극심한 고통을 당하던 시기, 이 민중의 고난에 참여한 신학자들의 경험의 신학화, 민중의 삶으로 이해한 성서해석, 민중의 역사와 문화에 대한 주체적 인식, 민중의 고난에 대한 증언 등 새로운 신학의 내용과 방법론으로 전개된 신학이 바로 민중신학이며, 이 신학은 신학적 이론과 체계로서 세계 신학계에 독자적인 영향권을 형성한 한국 신학사에서 가장 대표적인, 아니 거의 유일한 창출신학이다. 서정민, “한국 교회와 자유주의 : 한국교회사적 입장-한국자유주의 신학전통의 형성과정”, 『한국기독교 사상』, 한국 교회사학 연구원 편, 2001, 192
그러나 비록 민중신학이 한국교회와 한국의 역사적 상황을 독특한 배경으로 한 한국의 독창적 창출신학이긴 하지만 1970년대 세계 신학계를 풍미하던 제3세계 중심의 신학적 사유들, 즉 남미의 해방신학, 미국의 흑인신학 등과 영향을 주고받은 것도 간과할 수 없다. 이러한 제3세계 신학은 당시 역사적 상황에서 소외되고 억압받는 자들을 역사적, 신학적 주체로 삼는 일련의 신학운동으로 민중신학과 궤를 같이한다 하겠다.
따라서 필자는 이 글에서 해방신학과 흑인신학을 서두에서 간단히 소개한 후, 사상적 궤를 같이하는 한국의 창출신학인 민중신학을 다루고자 한다. 이 글에서는 민중신학의 개요를 소개하는데 목적이 있다.
2. 해방신학과 흑인신학의 유입과 논쟁
2.1. 남미(南美)의 해방신학
해방신학은 라틴 아메리카의 교회가 1968년 메델린에서 열린 제 2차 남미(南美) 주교회의 이후로 고통 받는 남미(南美)인들을 해방시키기 위한 운동을 적극적으로 실천하게 되는데, 이 과정에서 태동되어 형성된 것이다. 압제받고 착취당하는 남미 여러 나라에서 일어난 자유화 운동에 투신하고 있는 사람들의 체험을 기반으로, 불의한 상황을 철폐하고 보다 자유롭고 인간다운 변화된 사회를 건설하려는 공동노력의 체험에서 우러나온 신학적 반성이 해방신학이다. 구티에레즈, 성염 역, 『해방신학』, 분도출판사, 1990, 11
남미의 불의한 현장에서 기존의 서구신학을 비판적으로 반성하며 등장한 해방신학의 특징을 살펴보면, 해방신학은 서구신학과는 달리 가난하고 억압당하는 자들의 삶의 현장을 신학의 가장 중요한 자리로 삼고 있으며, 또 이 자리를 중심으로 성서를 해석하는 특징을 가지고 있다. 또한 해방신학의 신학하는 목표는 가난하고 억압받는 민중을 해방시키는데 있다. 이로 인하여 해방신학은 가난한 자의 편에 서서 신학하는 당파성을 가지고 있으며, 가난의 사회구조를 이해하는데 유용한 마르크스적 사회분석방법을 사용하고 있다. 뿐만 아니라 해방신학은 새로운 선교신학을 수립함에 있어서 전통적인 교회의 권위에 얽매이지 않고 오히려 교회의 권위에 정면으로 도전하는 특징을 가지고 있다. 고재식 편저, 『해방신학의 재조명』, 사계절, 1986, 4
이러한 신학이 한국에 소개되자 오래지 않아 한국교계 뿐만 아니라 일반사회에서조차 과열된 논쟁거리가 된 것은 당연한 수순이었다. 해방신학이 유입되자 해방신학을 소개하거나 비판하기 위하여 출간된 단행본은 50여 편에 이르며 이외에 각종 학술지에 게재된 논문이 120여 편, 그리고 각종 신문 등에 보도된 기사가 100여 회에 달했다. 고재식 편저, 『해방신학의 재조명』, 사계절, 1986, 345
1970년 미국에서 귀국한 문동환에 의해 신학교 강의실에서 처음 해방신학이 소개되었고 1977년 구티에레즈의 『해방신학』이 번역 출간됨으로 해방신학이 본격적으로 소개되었다. 그러나 『해방신학』은 출간되자마자 판매금지조치를 당하였고 이후에도 해방신학에 관련된 책이 번역, 출간될 때마다 판매금지 조치를 당하다가 1982년에 이르러서야 비로소 해방신학자들의 저서가 번역, 출간되어 일반대중에게도 알려지게 되었다. 고재식 편저, 『해방신학의 재조명』, 사계절, 1986, 351
오늘 본 자료
더보기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해당 정보 및 게시물의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위 정보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에 신고해 주시기 바랍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