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 2차 헤이그 평화회의에 대한 한국인의 인식

 1  제 2차 헤이그 평화회의에 대한 한국인의 인식-1
 2  제 2차 헤이그 평화회의에 대한 한국인의 인식-2
 3  제 2차 헤이그 평화회의에 대한 한국인의 인식-3
 4  제 2차 헤이그 평화회의에 대한 한국인의 인식-4
 5  제 2차 헤이그 평화회의에 대한 한국인의 인식-5
 6  제 2차 헤이그 평화회의에 대한 한국인의 인식-6
 7  제 2차 헤이그 평화회의에 대한 한국인의 인식-7
 8  제 2차 헤이그 평화회의에 대한 한국인의 인식-8
 9  제 2차 헤이그 평화회의에 대한 한국인의 인식-9
 10  제 2차 헤이그 평화회의에 대한 한국인의 인식-10
 11  제 2차 헤이그 평화회의에 대한 한국인의 인식-11
 12  제 2차 헤이그 평화회의에 대한 한국인의 인식-12
 13  제 2차 헤이그 평화회의에 대한 한국인의 인식-13
※ 미리보기 이미지는 최대 20페이지까지만 지원합니다.
  • 분야
  • 등록일
  • 페이지/형식
  • 구매가격
  • 적립금
자료 다운로드  네이버 로그인
소개글
제 2차 헤이그 평화회의에 대한 한국인의 인식에 대한 자료입니다.
본문내용
제 2차 헤이그 평화회의에 대한 한국인의 인식
Ⅰ. 머리말
Ⅱ. 러일전쟁 이후 한국인의 대외인식
Ⅲ. 제 2차 헤이그 평화회의에 대한 한국인의 인식
1) 평화회의에 대한 인식
2) 헤이그특사에 대한 인식
Ⅳ. 맺음말
Ⅰ. 머리말
1907년의 제 2차 헤이그 평화회의는 45개국이 참석한 가운데 6월 15일부터 10월 18일까지 개최되었다. 이 회의는 군비감축을 위해 소집된 것이었지만, 실제로는 전쟁시의 제반문제에 대한 규칙을 제정하는 것에 머물렀다. 제 2차 헤이그평화회의에서 규정된 내용에 대해서는, Peter van Dungen, 2003 제 2차 헤이그평화회의(1907)의 역사적 의의『殉國』150. 참조.
그러나 세계의 각국들이 서로의 공존과 미래를 위해 국제적인 협의를 시작하였다는 점에서 그 의의를 찾을 수 있을 것이다. 그렇다면 당시 한국인들은 제 2차 헤이그 평화회의에 대해 어떠한 인식을 가지고 있었을까.
당시 한국인들의 대외인식을 알아볼 수 있는 자료로는 신문자료를 들 수 있다. 이 시기 일반인의 대외인식을 분석하기 위해 신문자료를 참고한 연구로는 다음을 들 수 있다.
이호재, 1976 露日戰爭前後의 對外認識變化 - 大韓每日申報를 중심으로 『社會科學論集』6.
______, 1982 한국인의 대외인식변화Ⅱ,『냉전시대의 극복』,
최덕수, 1982 개회기언론의 대외인식연구『논문집-사회과학편』20.
______, 2004 『대한제국과 국제환경』 선인.
그러나 신문자료는 그 독자가 ‘한문을 할 줄 아는 지식인’에 한정된다는 점에서 당시의 언론과 지식인의 인식에 가깝고, 실제로 일반 민중의 인식은 알기 어렵다는 한계점이 있다. 그러한 한계에도 불구하고 신문자료를 택한 것은, 당시의 사료들 가운데 그나마 가장 넓은 계층을 아우르고 있다고 판단했기 때문이다. 따라서 본 발제문에서는 당시의 주요 언론이라고 할 수 있는 『大韓每日申報』와 『皇城新聞』을 택하여, 이 두 신문에 나타난 헤이그평화회의에 대한 인식을 분석해보고자 한다.
Ⅱ. 러일전쟁 이후 한국인의 대외인식
러일전쟁 종전 이후 한국인들의 대외인식은 급격하게 변화해 갔다. 당시 한국은 종전 후의 보호권논의와 더불어 국제정세의 변화로 하여 한국의 독립을 외세의 도움을 통해 회복할 수 있을 것이라는 기대감을 가지고 있었다. 이호재, 1982, 위의 논문, p.316.
오늘 본 자료
더보기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해당 정보 및 게시물의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위 정보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에 신고해 주시기 바랍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