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신비주의 연구] 한국 종교와 신비주의(종교심성, 무교와 불교, 도교, 유교)

 1  [신비주의 연구] 한국 종교와 신비주의(종교심성, 무교와 불교, 도교, 유교)-1
 2  [신비주의 연구] 한국 종교와 신비주의(종교심성, 무교와 불교, 도교, 유교)-2
 3  [신비주의 연구] 한국 종교와 신비주의(종교심성, 무교와 불교, 도교, 유교)-3
 4  [신비주의 연구] 한국 종교와 신비주의(종교심성, 무교와 불교, 도교, 유교)-4
 5  [신비주의 연구] 한국 종교와 신비주의(종교심성, 무교와 불교, 도교, 유교)-5
 6  [신비주의 연구] 한국 종교와 신비주의(종교심성, 무교와 불교, 도교, 유교)-6
 7  [신비주의 연구] 한국 종교와 신비주의(종교심성, 무교와 불교, 도교, 유교)-7
 8  [신비주의 연구] 한국 종교와 신비주의(종교심성, 무교와 불교, 도교, 유교)-8
 9  [신비주의 연구] 한국 종교와 신비주의(종교심성, 무교와 불교, 도교, 유교)-9
 10  [신비주의 연구] 한국 종교와 신비주의(종교심성, 무교와 불교, 도교, 유교)-10
※ 미리보기 이미지는 최대 20페이지까지만 지원합니다.
  • 분야
  • 등록일
  • 페이지/형식
  • 구매가격
  • 적립금
자료 다운로드  네이버 로그인
소개글
[신비주의 연구] 한국 종교와 신비주의(종교심성, 무교와 불교, 도교, 유교)에 대한 자료입니다.
본문내용
한국 종교와 신비주의
-차례-
1. 들어가는 말
2. 한국인의 종교심성
3. 무속 신앙
4. 무교와 불교의 만남-삼국~통일신라
5. 무교 불교 도교 (도참신앙) 유학의 만남-라말 여초
6. 무교 불교 유교의 만남- 여말 선초
7. 나가며
한국 종교와 기독교의 만남-교회안의 신비적 무속신앙 영향
**참고 문헌**
1. 들어가는 말
한국인의 심성 형성에 결정적인 종교적 요인은 샤머니즘과 유교라 할 수 있다. 샤머니즘은 우리의 역사와 더불어 한결같이 살아온 민간 신앙이었다. 유교는 최근 500년간이나 한국의 사회와 개인의 윤리를 지배함으로써 생활화된 종교이며 사상이었기 때문이다. 유동식,『한국의 종교와 기독교』(서울: 대한기독교서회, 1965), p.193.
역사적으로 보면 샤머니즘과 더불어 한국인의 심성을 지배해온 특이한 종교현상이 나타났는데, 그것은 첫째, 우리문화 역사를 지배해 온 종교들은 모두 외래 종교였다는 것이고, 둘째는, 외래종교의 발흥과 쇠퇴가 한국의 정치사와 지극히 밀착되어 있다는 사실이다. 왕조의 변천은 곧 지배적인 종교의 자리바꿈이기도 했다. 이러한 사실은 종교를 정치적 측면에서 기술하는 특정한 방법론 때문에 도출된 결론이라고 할 수도 있겠다. 셋째, 이 모든 외래 종교들이 문화의 표층에서는 제각기 다른 것으로 나타나고 있지만, 실상 종교인의 의식구조 속에서는 구별될 수 없는 것이다. 즉 종교문화의 심층이라고 표현할 수 있는 민속 신앙 혹은 민간 신앙의 차원에서는 함께 공존 혹은 조화를 이루고 있다는 사실이다.
토착신앙과 외래종교, 민중 신앙과 지배자의 신앙(이데올로기), 하늘 신앙과 땅의 신앙, 또한 신비주의적 종교와 예언자적 종교라는 대립구도가 자연스럽게 드러나고 있다. 한국 종교 안에서 샤머니즘의 신비주의 요소는 습합되어 나타나거나 때로는 거부반응을 도출해 내기도 한다.
2. 한국인의 종교심성
한국인의 종교적인 심성은 종교사 일반의 연결 속에서 두 가지로 지적해 볼 수 있다. 하나는 ‘하늘’에 대한 종교적인 경험 내용이고, 또 하나는 이와 관련된 샤머니즘 원시적 종교의 한 형태. 주술사인 샤먼이 신의 세계나 악령 또는 조상신과 같은 초자연적 존재와 직접적인 교류를 하며, 그에 의하여 점복(占卜), 예언, 병 치료 따위를 하는 종교적 현상이다. 아시아 지역 특히 시베리아, 만주, 중국, 한국, 일본 등지에서 주로 볼 수 있다. ≒무교(巫敎)·무술(巫術).
근래의 연구 경향은 샤만과 샤마니즘을 아울러 생각하는 입장에서 대개 5가지의 학설이 있어왔다. ① 샤마니즘을 원시병리학(etiology)과 아니미즘 또는 아니마티즘의 기반에 서서, 치료기술과 관련시켜 그것이 전 셰계인류 진화에 일대 과도기적 현상이라고 하는 학설 ② 극북지대의 현상이며, 남하하면서 쇠퇴했다는 설 ③순수 엑스타시를 기반으로하며, 샤마니즘적 멘탈리티는 잠재적으로 거의 전 인류에게 발생할 수 있다는 학설 ④ 샤만의 정신구조를 심리적, 정신병리학적으로 규명하여, 이것과 샤만이 속한 사회와의 합리적 관련을 주장하는 학설 ⑤사회학적, 문화인류학적인 연구 경향 등이 있다. 이필영,『샤마니즘의 종교사상』,(대전: 한남대출판부,1991). p.13.
이라 할 수 있 다. ‘하늘’의 밝음과 광명 숭상하면서 창조의 신비와 인간의 존엄성을 그대로 경험해 왔던 것이다. 이러한 ‘하늘님’은 언제나 점진적인 지상에로의 下降을 통하여 기능적인 신에게 자기를 양여하고 멀리 아득한 곳으로 사라진다. 그러다가 인간에게 풍요와 창조성을 약속해주는 구체적인 기능신인, 비를 오게 하는 신, 추수를 하게하는 신, 바람의 신 등이 그 자리를 차지하게 된다. 그러나 완전히 망각한 것은 아니다. 인간의 풍요가 좌절을 겪으면 또 다시 하느님께 호소한다. 祈雨祭가 라든가, 山神이나 풍요의 신에게 드려진 것만이 아니라, 잊혀졌던 하느님에게 드려지는 것이다. 이를 담당했던 것이 곧 샤먼이다.
샤먼의 종교적 의미는 샤먼적인 제의나 황홀경을 통하여 망각된 ‘하느님’이 재현된다는 있다. 즉 “신에게 붙잡힌다”, 혹은 “신들림”이라고 하는 상징적인 경험을 통한 그는 닫혀진 지금의 시간을 아득한 태초의 때와 연결시키고, “이 곳”차원이 갖는 좌절과 절망의 실존을 태초의 창조가 갖는 근원적인 모델에 의하여 재구성하는 것이다. 샤먼의 제의가 제도화된 어떤 종교를 위한 것, 혹은 그 틀 안에서 이루어지고 있는 것이 아니다. 하늘을 경험하는 것으로, 자기의 종교적인 경험의 내용을 이루고 인간의 가장 소박한 심성 속에서 작용하고 있는 것이다. 한국인 이러한 종교적인 경험의 내용을 가지고 살아 왔다고 하는 사실은 문화 역사적으로 나타나고 있는 것이다. 정진홍,『基督敎와 他宗敎와의 대화』,(서울: 전망사, 1980). pp.124~126.
“샤먼적인 기적은 전통적인 종교 양태를 인정하고 강조할 뿐만 아니라, 우리의 상상력을 자극하고 영양을 공급해주며 꿈과 현실의 장벽을 허물어 주고 신령과 사자들과 정령들의 세계에 이르는 문을 열어 준다.” 고하는 엘리아데(M. Eliade)의 말에 귀 기울여야 할 것이다. 샤마니즘의 본질을 엘리아데는 엑스타시(ecstasy), 곧 忘我, 경험과 다른 샤만의 특유한 엑스타시를 “이승에서 저승에로의 여행”이 가능한 체험, 곧 천상에로의 비상이나 지하에로의 하강이 실현되며, 그 때 영혼이 육체를 떠나는 것이 특징이라 설명한다. 샤마니즘=접신술이라 정의한다. ( 미르치아 엘리아데,『샤마니즘(1945)』,(서울:까치,이윤기 옮김,1992). p.24).
오늘 본 자료
더보기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해당 정보 및 게시물의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위 정보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에 신고해 주시기 바랍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