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교회론] 나타난 하나님의 지배에 관한 종말론적 관점과, 그에 대한 교회의 순종에서 나타난 소극적인 관점에 대한 비판적인 소고

 1  [교회론] 나타난 하나님의 지배에 관한 종말론적 관점과, 그에 대한 교회의 순종에서 나타난 소극적인 관점에 대한 비판적인 소고-1
 2  [교회론] 나타난 하나님의 지배에 관한 종말론적 관점과, 그에 대한 교회의 순종에서 나타난 소극적인 관점에 대한 비판적인 소고-2
 3  [교회론] 나타난 하나님의 지배에 관한 종말론적 관점과, 그에 대한 교회의 순종에서 나타난 소극적인 관점에 대한 비판적인 소고-3
 4  [교회론] 나타난 하나님의 지배에 관한 종말론적 관점과, 그에 대한 교회의 순종에서 나타난 소극적인 관점에 대한 비판적인 소고-4
 5  [교회론] 나타난 하나님의 지배에 관한 종말론적 관점과, 그에 대한 교회의 순종에서 나타난 소극적인 관점에 대한 비판적인 소고-5
 6  [교회론] 나타난 하나님의 지배에 관한 종말론적 관점과, 그에 대한 교회의 순종에서 나타난 소극적인 관점에 대한 비판적인 소고-6
 7  [교회론] 나타난 하나님의 지배에 관한 종말론적 관점과, 그에 대한 교회의 순종에서 나타난 소극적인 관점에 대한 비판적인 소고-7
 8  [교회론] 나타난 하나님의 지배에 관한 종말론적 관점과, 그에 대한 교회의 순종에서 나타난 소극적인 관점에 대한 비판적인 소고-8
 9  [교회론] 나타난 하나님의 지배에 관한 종말론적 관점과, 그에 대한 교회의 순종에서 나타난 소극적인 관점에 대한 비판적인 소고-9
 10  [교회론] 나타난 하나님의 지배에 관한 종말론적 관점과, 그에 대한 교회의 순종에서 나타난 소극적인 관점에 대한 비판적인 소고-10
※ 미리보기 이미지는 최대 20페이지까지만 지원합니다.
  • 분야
  • 등록일
  • 페이지/형식
  • 구매가격
  • 적립금
자료 다운로드  네이버 로그인
소개글
[교회론] 나타난 하나님의 지배에 관한 종말론적 관점과, 그에 대한 교회의 순종에서 나타난 소극적인 관점에 대한 비판적인 소고에 대한 자료입니다.
본문내용
한스 큉의 『교회론』 나타난 하나님의 지배에 관한 종말론적 관점과, 그에 대한 교회의 순종에서 나타난 소극적인 관점에 대한 비판적인 소고
Ⅰ. 서론
한스 큉은 로마 카톨릭에서 위대한 족적을 남긴 신학자 중의 한 사람이다. 그러나 큉은 지난 1979년, 그가 가톨릭의 개혁을 제안했다는 이유로 교황 요한 바오로 2세는 한스 큉 박사에게 가르칠 수 있는 교회법적 권리(missio canonica)를 박탈했다. http://www.catholicnews.co.kr/news/articleView.html?idxno=2990
그렇지만 큉은 교회에 의해 배척되었음에도 불구하고 초교파 운동에 기여를 했다. 중요한 것은 큉이 비록 가르칠 수 있는 교회법적인 권리는 박탈했지만 여전히 로마 가톨릭으로 남아 있다는 것이다. 큉이 교회의 본질을 탐구하는 방법론 때문에 개신교의 교회론과 유사성을 가지고 있지만 어디까지나 한스 큉의 『교회』는 로마 가톨릭의 교회론이다. 이신형, “에큐미니칼 교회론을 구축하기 위한 전거점으로서의 한스 큉과 판넨베르그의 교회론”『선교와 신학』, 제17집(2008):171
1967년에 출판된 그의 저서 『교회』는 40년이 훨씬 지난 지금까지 가톨릭 뿐 아니라 기독교인들 중에서도 인기가 있는 책이다. 그러나 가톨릭의 개혁을 담고 있는 책이라고 해서 무비판적으로 용납할 수만은 없다. 필자는 한스 큉의 『교회』를 읽으면서 공감되는 부분도 많이 있었지만 어느 부분에서는 한쪽으로 너무 치우친 경향이 있는 것을 보면서 생각을 정리해야 할 필요성을 느꼈다. 따라서 본 소고에서는 큉이 교회를 지나치게 종말론적으로 끌고 가는 것에 대해 필자의 생각을 정리해 보고, 교회가 하나님의 지배에 대한 봉사를 서술하는 부분에서 교회의 적극적인 부분을 언급하지 않은 것에 대해 생각을 정리해 보고자 한다.
Ⅱ. 본론
1. 하나님 나라와 종말론적인 관점에 관하여
1.1. 한스 큉: 교회의 종말론적인 관점
큉은 교회론을 전개할 때 철저히 종말론적인 관점에서 서술한다. 과연 예수는 첫 지상 사역에서 무엇을 선포하셨는가 하는 물음에서 그 근원을 찾을 수 있는 것이다. 큉은 하나님의 지배라는 개념으로써, 종말론적인 즉 사건으로서 ‘가까워졌고’, ‘임했으며’, ‘도래했고’, ‘권능으로 임하는’ 궁극적이며 종말적인 하나님의 지배를 말하려 했다고 하는 데서 출발한다. 예수가 말하는 하나님의 지배는 곧 하나님의 강력한 주권적인 행위 자체이다. 하나님은 왕처럼 행동하시는 하나님이며 그의 주권과 자유는 절대적이다. 그러나 하나님의 지배는 국가적이며 종교 정치적인 신정주의가 아니라 종교적인 지배를 의미한다. 이러한 하나님의 지배의 중심에는 죄인을 위한 구원의 사건으로 본다. 그렇다면 하나님의 지매는 하나님에 대한 근본적인 결단을 요청한다. 곧 하나님과 세계에 대한 결단이다. 여기에서 회개를 언급한다.
더 나아가 큉은 종말론을 논할 때 슈바이처와 같이 곧 종말이 도래할 것이라는 철저 종말론과, 도드와 같이 현재 이루어진 실현된 종말론 중 어느 하나만을 주장하는 것에 대해서는 반대 입장을 나타낸다. 곧 미래적이며 현재적인 종말론을 내세운다. 하나님의 지배는 예수와 더불어, 예수를 통해 현재 속으로 들어왔으며 현재 속에서 이미 힘을 획득하고 활동하고 있다. 이러한 논리는 불트만이 주장하는 것과 다르지 않다. 불트만은 미래적인 관점과 현재적인 관점을 배제하지 않고 양자를 독특한 방법으로 결합시켰다. 그는 임박한 종말 기대가 예수의 선포를 규정한다고 생각했는데 이는 슈바이처와 같은 견해이다. 또한 실현되지 않았던 종말 기대에는 그 어떤 의미도 부여하지 않았다는 것에서 슈바이처와 의견을 같이 한다. 그러나 불트만은 예수의 하나님 나라 선포 속에서 현재적인 동인(動因)을 발견한다. 이 점에 있어서는 도드와 의견을 같이한다. 한스 큉, 『교회』, 정지련 역, (한들출판사: 서울, 2014), p.79
오늘 본 자료
더보기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해당 정보 및 게시물의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위 정보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에 신고해 주시기 바랍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