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소설과 영화] 소설의 길 영화의 길

 1  [소설과 영화] 소설의 길 영화의 길-1
 2  [소설과 영화] 소설의 길 영화의 길-2
 3  [소설과 영화] 소설의 길 영화의 길-3
 4  [소설과 영화] 소설의 길 영화의 길-4
 5  [소설과 영화] 소설의 길 영화의 길-5
 6  [소설과 영화] 소설의 길 영화의 길-6
 7  [소설과 영화] 소설의 길 영화의 길-7
 8  [소설과 영화] 소설의 길 영화의 길-8
 9  [소설과 영화] 소설의 길 영화의 길-9
※ 미리보기 이미지는 최대 20페이지까지만 지원합니다.
  • 분야
  • 등록일
  • 페이지/형식
  • 구매가격
  • 적립금
자료 다운로드  네이버 로그인
소개글
[소설과 영화] 소설의 길 영화의 길에 대한 자료입니다.
본문내용
소설의 길, 영화의 길
1. 소설과 영화의 거리
영상, 특히 영화가 대중의 일상에 급속하게 편입되어 들어오기 시작했던 시기에 ‘문학의 위기론’이 득세하게 된 가장 큰 이유는 영화와 소설이 지닌 장르적 속성과 환경이 유사하다는 점 때문이다. 영화가 소설과 마찬가지로 중산층의 공포와 욕망, 불안과 소망을 대변하는 속성을 지닌 장르이며 중산계급이 영화를 수용하는 태도 역시 소설을 수용하는 태도와 유사했다. 영화가 소설과 마찬가지로 중산계급에 기반하고 있다는 속성을 무엇보다 잘 드러내는 반증이 소설의 영화화이다. 영화는 소설이 씌어지는 것과 유사한 방법으로 서사적 담론을 만들어 낸다. 작가가 머릿속에 그린 형상을 문자로 옮기고, 감독이 머릿속에 그린 형상을 직접적인 영상으로 옮긴다는 도구의 차이가 있을 뿐 시각적 형상 과정을 거친다는 점에서는 동일하다.
직접적 영상으로 보여주는 영화와 달리 엄격한 의미에서 기호에 불과한 문자로 표현된 소설이 실제 사물의 형상을 보여주거나 소리를 들려주는 것이 아니라고 말한다면, 그것은 영상에 대한 맹신을 드러내는 주장이 된다. 소설을 읽는 독자들은 자신의 경험을 바탕으로 문자라는 기호를 해독해내서 시각적으로 재형상화 뿐만 아니라 소리와 냄새까지 떠올린다. 영화감독은 소설가와 달리 직접적으로 시간을 사로잡아서 보여줄 수 있다. 그렇지만 작가의 뇌리에서 숙성되고 발효된 형상은 결코 직접적으로 보여 지는 영상보다 실감이 덜 하지 않다. 소설이 단순한 재현이 아니라 예술인 이유는 실제 사물의 움직임과 모습, 소리, 향기를 넘어선 지점까지 상상력의 눈으로 포착하고 독자의 영혼에 그 형상을 전달할 수 있기 때문이다.
소설의 시각적 예술성이 영화의 시각적 예술과 다르듯이 영화의 언어문법도 소설의 언어와는 다르다. 두 장르가 지닌 양식의 특성이 어떻게 작품으로 나타나는지를 검토하기 위해서는 구체적인 텍스트의 분석이 필요하다.
첫째로, 두 장르의 차이를 분명하고 효과적으로 드러내기 위해서 원작 소설을 각색하여 영화화한 작품으로 선정한다.
둘째로, 소설을 영화화하는 대표적인 유형을 잘 드러내주고 있는 작품을 선정한다.
셋째로, 소설과 영화의 장르 자체적으로 지니고 있는 양식적 특성을 대비해볼 수 있는 작품을 선정한다.
넷째로, 국내외의 사례를 모두 분석해보기 위해서 한편은 우리나라 작품을 선정하고 다른 한 편은 외국 작품으로 선정한다.
위에 네 가지 기준을 동시에 충족시킨 국내외 작품을 한 편씩 선정하였는데 소설『참을 수 없는 존재의 가벼움』과 이것을 영화화한 , 그리고 소설 『낯선 여름』과 영화이 그것이다. 소설 『참을 수 없는 존재의 가벼움』과 영화은 소설의 스토리와 담론을 비교적 충실히 옮긴 경우인 동시에 소설의 양식이 익숙하지 않은 것에 비해서 영화의 양식은 매우 전통적인 경우에 해당한다. 소설『낯선 여름』과 영화은 그와 반대로 소설의 스토리와 담론을 영화에서 대폭 변형시킨 경우인 동시에 소설의 양식이 매우 전통적인 것에 비해서 영화의 양식이 익숙하지 않은 경우에 해당한다.
2. 『참을 수 없는 존재의 가벼움』과 견주어보기
밀란 쿤데라(Milan Kundera)의 장편소설 『참을 수 없는 존재의 가벼움』은 1984년 체코어로 출간된 뒤 세계의 주요한 언어로 번역 소개된 작품이다. 『참을 수 없는 존재의 가벼움』은1988년 필립 카우프만 감독에 의해 미국에서 이라는 제목으로 영화화되었다. 밀란 쿤데라의 소설을 텍스트 분석의 대상으로 삼은 이유는 무엇보다 그의 장편소설 『참을 수 없는 존재의 가벼움』이 문학적 성취와 완성도에 있어서 높은 평가를 얻었으며, 이를 원작으로 만들어진 필립 카우프만(Philip Kaufman)감독의 영화 역시 영화적 성가가 확인된 작품이기 때문이다.
오늘 본 자료
더보기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해당 정보 및 게시물의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위 정보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에 신고해 주시기 바랍니다.